[사회복지조사론]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에 대해 설명한 후 예를 각각 2개이상 쓰시오.
본 내용은
"
[사회복지조사론]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에 대해 설명한 후 예를 각각 2개이상 쓰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7
문서 내 토픽
  • 1.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가장 기본적인 척도로, 데이터 간의 구분만을 목적으로 한다. 명목척도는 측정된 대상을 고유의 값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집단을 나누는 데 사용된다. 명목척도에서의 값은 단순히 분류 기준이 되며, 숫자나 문자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 값들 사이에는 어떠한 서열이나 수량적 의미가 없다. 명목척도는 데이터의 분류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수학적인 연산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성별: 남성(1)과 여성(2)으로 분류하는 경우, 혈액형: A형(1), B형(2), AB형(3), O형(4)으로 나누는 경우 등이 있다.
  • 2.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명목척도보다 한 단계 발전된 척도로, 데이터 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이다. 서열척도는 대상들 사이의 서열이나 순서를 정의하지만, 값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다. 서열척도는 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각 데이터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지만, 그 차이의 크기나 간격은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학업 성취도: 1등, 2등, 3등으로 순위를 매기는 경우, 만족도 조사: 매우 만족(1), 만족(2), 보통(3), 불만족(4), 매우 불만족(5)으로 평가하는 경우 등이 있다.
  • 3. 등간척도
    등간척도는 서열척도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척도로, 값들 간의 간격이 일정한 척도이다. 등간척도는 서열뿐만 아니라 값들 간의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등간척도에는 절대적 0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율 계산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섭씨 온도: 온도는 값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만, 절대적 0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율 계산은 불가능하다. 지능지수(IQ): IQ 점수도 값들 간의 차이가 일정하지만, 0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율 계산이 불가능하다.
  • 4. 비율척도
    비율척도는 모든 척도 중 가장 정밀한 척도로, 절대적 0점이 존재하고 값들 간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척도이다. 비율척도는 값들 간의 간격이 일정할 뿐만 아니라, 값들의 비율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수학적 연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무게: 몸무게는 절대적 0점이 존재하며, 값들 간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kg은 30kg의 두 배이다. 나이: 나이 역시 절대적 0점이 존재하며, 값들 간의 비율을 비교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대상을 단순히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나 크기 관계를 나타내지 않으며, 단지 범주를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성별, 혈액형, 직업 등이 명목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명목척도는 통계 분석 시 빈도 분석이나 교차 분석 등에 주로 활용됩니다. 명목척도는 단순한 분류 기준이지만, 데이터 분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는 없지만, 순위를 매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점, 선호도, 만족도 등이 서열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서열척도는 통계 분석 시 순위 검정이나 상관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서열척도는 명목척도보다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지만, 등간척도나 비율척도에 비해서는 제한적입니다.
  • 3. 등간척도
    등간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 관계와 함께 크기 차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도, 점수, 연령 등이 등간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등간척도는 통계 분석 시 평균, 표준편차, 상관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등간척도는 서열척도보다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지만, 비율척도에 비해서는 제한적입니다.
  • 4. 비율척도
    비율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영점이 존재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 관계와 크기 차이를 모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길이, 무게, 시간 등이 비율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비율척도는 통계 분석 시 평균, 표준편차, 상관 분석, 회귀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비율척도는 등간척도보다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며, 모든 통계 기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