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의 각료회의
본 내용은
"
WTO의 각료회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5
문서 내 토픽
  • 1. WTO의 사무국
    WTO의 사무국은 스위스 제네바에 소재하며, 영어, 불어, 스페인어 3개 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Roberto Azevedo WTO 사무총장 이하 약 634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 중이다. 또한 사무국은 여타 국제기구와 마찬가지로 각 회원국들의 분담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 2. WTO의 회원국
    2012년 8월 22일 러시아의 WTO 가입이 발효됨으로써 156번째 회원국이 되었으며, 8월 24일 바누아투가 가입함에 따라 WTO 회원국은 충 157개국이 되었다. 그 이후 여러 나라가 가입을 하였고, 아프가니스탄이 2016년 7월 29일에 16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이 되었다. 2017년 8월말 현재 회원국은 가입국이 더 늘지 않아 164개국이다.
  • 3. WTO의 의사결정방식
    WTO는 회원국 정부에 의해 운영이 된다. 모든 주요한 결정들은 각료회의, 대사 또는 대표단을 통해 전체 회원국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WTO는 기본적으로 과거 GATT 체제와 같이 합의제(consensus)를 원칙으로 하지만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다수결 투표에 의하여 의사를 결정한다. 의사결정의 신속성을 확보한 것이다. 그러나 회원국의 권리나 의무를 변경하는 사항 또는 협정 조문을 수정하는 사항 등 중요한 수정변경의 경우에는 단순한 과반수 표결이 아닌 2/3 또는 3/4 이상의 동의를 규정하고 있다.
  • 4. 우리나라와 WTO
    우리나라는 1967년 4월에 GATT 회원국이 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WTO 출범과 함께 WTO 회원국이 되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무역규모 기준 세계 10위권 이내의 무역대국으로 성장하였으며, WTO 가입을 통해 무역규모를 확대하고 무역상대국을 다양화하여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 5. GATT와 WTO
    WTO의 전신인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출범하여 우루과이 라운드까지 총 8차 협상을 진행하였으며, GATT 체제를 대체하는 항구적이고 강력한 새로운 세계무역기구를 탄생시켰다.
  • 6. WTO 협정문 및 양허표
    WTO 설립협정은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결과로 체결된 협정으로 세계무역기구 설립을 위한 마라케쉬협정(Marrakesh Agreement)이라 불리고 있다. 또한 양허표는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이후 각 회원국들이 WTO사무국에 제출한 것으로 크게 상품 및 서비스로 구분되어 있다.
  • 7. WTO 각료회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각료회의는 최소 매 2년마다 개최되어야 하며, WTO 다자무역협정하의 모든 분야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다. 2005년 홍콩 각료회의에서 이미 모든 수출보조금을 폐지한다는 선언이 이루어졌으며, 2008년에는 수출보조의 완전 철폐와 수출신용 등 기타 수출지원 정책의 활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농업협상 4차 의장수정안이 수립됐다. 제9차 'WTO 각료회의에서 DDA 협상 의제 중 무역원활화, 농업 일부, 면화, 개발 ? 최빈개도국 등 4개 분야로 구성된 '발리패키지'를 타결했다. 제10차 각료회의가 2015년 12. 15-18일 간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서 개최되었으며, 농업분야 수출경쟁 분야가 타결됐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WTO의 사무국
    WTO의 사무국은 WTO 협정에 따라 설립된 국제기구로, 회원국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WTO 협정의 이행을 감독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무국은 WTO 회원국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중립적인 입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며, 회원국들 간의 분쟁 해결을 지원하고 협상을 촉진하는 등 WTO 체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무국의 전문성과 공정성은 WTO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WTO의 회원국
    WTO는 현재 164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세계 무역의 약 9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회원국들은 WTO 협정에 따라 관세 인하, 비관세 장벽 제거, 서비스 무역 자유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원국들은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세계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원국들 간의 이해관계 차이로 인해 협상이 지연되거나 교착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WTO의 의사결정방식
    WTO의 의사결정은 회원국 간의 합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모든 회원국은 평등한 지위를 가지며, 1국 1표의 원칙에 따라 의사를 결정합니다. 이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이해관계를 균형있게 반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선진국의 영향력이 크고, 개발도상국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WTO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우리나라와 WTO
    우리나라는 1995년 WTO 출범 당시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으며, 현재 WTO의 주요 회원국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WTO 체제 하에서 우리나라는 관세 인하, 비관세 장벽 제거, 서비스 무역 자유화 등을 통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 증대를 도모해 왔습니다. 또한 WTO 분쟁 해결 절차를 활용하여 우리 기업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향후에도 우리나라는 WTO 체제 내에서 자국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대변하면서도 개발도상국의 입장을 고려하는 균형 잡힌 역할을 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 5. GATT와 WTO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는 1947년 체결된 다자간 무역 협정으로, 관세 인하와 무역 자유화를 추진해 왔습니다. 그러나 GATT는 법적 구속력이 약하고 분쟁 해결 절차가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1995년 WTO(세계무역기구)가 출범하면서 GATT를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WTO는 GATT의 기본 틀을 계승하면서도 분쟁 해결 제도, 무역 정책 검토 제도 등을 도입하여 무역 체제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이를 통해 WTO는 세계 무역 질서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6. WTO 협정문 및 양허표
    WTO 협정문은 무역 자유화와 공정한 무역 질서 확립을 위한 규범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협정으로는 상품무역에 관한 GATT, 서비스무역에 관한 GATS, 지적재산권에 관한 TRIPS 등이 있습니다. 각 회원국은 이러한 협정문에 따라 관세율, 서비스 시장 개방 수준 등을 자국의 양허표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양허표는 회원국 간 상호 약속한 무역 자유화 수준을 구체화한 것으로, WTO 체제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원국들은 예측 가능한 무역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7. WTO 각료회의
    WTO 각료회의는 WTO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2년마다 개최됩니다. 각료회의에서는 WTO 협정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새로운 협상 의제를 설정하며, 주요 정책 방향을 결정합니다. 각료회의는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장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각료회의에서는 회원국들의 입장을 균형 있게 반영하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WTO 체제의 신뢰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