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장의 종류에 대해서 조사하시오
본 내용은
"
신용장의 종류에 대해서 조사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0
문서 내 토픽
  • 1. 취소불능신용장과 취소가능신용장
    신용장이 개설된 후 취소가능여부에 따라 취소가능신용장(irrevocable credit)과 취소불능신용장(revocable credit)으로 구분된다. 취소불능신용장이란 신용장이 일단 개설되어 수익자에게 통지된 이상 신용장 관계당사자를 구속하여 신용장상의 유효기간 내에는 신용장 관계당사자의 합의 없이는 신용장을 취소하거나 신용장의 조건변경이 불가능한 것을 말한다. 취소가능신용장이란 신용장을 개설한 은행이 수익자에게 사전통지 없이 일방적으로 신용장 자체를 취소하거나 신용장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신용장으로서의 가치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 2. 확인신용장과 불확인신용장
    신용장을 제2의 은행이 확인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확인신용장(confirmed credit)이란 신용장에 개설은행 이외에 제2은행의 확인, 즉 수익자가 발행하는 어음의 인수 ? 지급 또는 매입에 대한 제2은행의 추가적 확약이 있는 신용장을 말한다. 이는 수익자가 이중(二重)의 지급확약을 받게 되므로 신용도가 높아지고, 만약의 경우 개설은행이 지급불능 상태에 빠지면 확인은행이 개설은행을 대신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한편 불확인신용장(unconfirmed credit)이란 제2은행의 확인이 없는 신용장을 말한다.
  • 3. 매입신용장과 지급신용장
    신용장에 의해서 발행되는 어음의 매입 허용여부에 따라 매입신용장(negotiation credit)과 지급신용장(straight credit)으로 구분된다. 매입신용장이란 신용장에 의해서 발행되는 어음이 매입될 것을 전제로 하여 어음발행인은 물론이고, 어음의 배서인(endorser)이나 선의의 어음소지인(bona fide holder)에게도 지급을 확약하고 있는 신용장이다. 이에 반하여 지급신용장은 신용장에 의한 환어음의 매입 여부에 대하여는 아무런 명시가 없이 신용장 개설은행 또는 그가 지정하는 은행에 환어음을 제시하면 지급하겠다고 확약하고 있는 신용장을 말한다.
  • 4. 화환신용장과 무담보신용장
    신용장에 의한 지급이나 신용장에 의해 발행되는 환어음의 지급 또는 인수에 선적서류의 요구여부에 따라서 화환신용장(documentary credit)과 무담보신용장(clean credit)으로 구분된다. 화환신용장이란 신용장 개설은행이 수익자가 발행한 환어음에 유가증권인 선하증권 등의 선적서류를 첨부할 것을 조건으로 하여 인수 ? 지급 또 매입할 것을 확약하는 신용장, 또는 단순히 신용장 소정의 서류의 제출을 조건으로 지급할 것을 확약하는 신용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신용장이라 하면 이러한 화환신용장을 지칭한다. 무담보신용장이란 신용장에 의하여 발행되는 환어음에 선하증권 등의 선적서류가 첨부되어 있지 않는 무담보어음(clean bill)의 경우에도 어음을 인수 ? 지급 또는 매입할 것을 확약하고 있는 신용장을 말한다.
  • 5. 일람출급신용장과 기한부신용장
    신용장에 의하여 발행되는 어음이 일람출급인지, 기한부인지 여부에 따라 일람출급신용장(sight credit)과 기한부신용장(usance credit)을 구분된다. 일람출급신용장이라 함은 신용장에 의해서 발행되는 어음이 지급인(drawee)에게 제시되면 즉시 대금이 지급되는 일람출급환어음(sight企aft) 인 경우를 말하고, 기한부신용장이란 신용장에 의해서 발행되는 어음이 지급인에게 제시된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지급받는 기한부환어음(time draft ; term draft ; usance draft) 인 경우를 말한다.
  • 6. 양도가능신용장과 양도불능신용장
    신용장상의 수익자가 신용장을 제3자에게 양도가능 여부에 따라 양도가능신용장(transferable credit)과 양도불능신용장(non-transferable credit)으로 구분된다. 양도가능신용장이란 수익자가 신용장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3자(제2의 수익자)에게 양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신용장을 말하고, 또 한편으로 수익자가 신용장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도록 한 것을 양도불능신용장이라고 한다.
  • 7. 회전신용장
    회전신용장(revolving credit)이란 거래처와 동일한 물품을 계속적으로 거래할 경우 거래할 때마다 매번 신용장을 개설하려면 개설의뢰인의 많은 시간과 노력 및 경비가 들게 되고, 거래예상액 전액을 한꺼번에 개설한다면 일시에 많은 대금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불편과 경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신용장 금액이 자동적으로 갱생되도록 되어 있는 신용장을 말한다.
  • 8. 전대(선대) 신용장
    전대(선대) 신용장(red clause credit)이란 수출업자의 수출에 따른 수출물품의 생산 ? 가공 ? 집화 ? 선적 등에 필요한 자금을 수입업자가 미리 융통해 주기 위하여, 매입은행으로 하여금 일정한 조건하에 신용장 금액의 일부를 수익자 앞으로 전대(선대) 하여 줄 것을 허용하고 그 전대금 상환을 보증하는 신용장을 개설할 수 있다.
  • 9. 기탁신용장
    기탁신용장(escrow credit)이란 수출입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구상무역의 경우 사용되는 신용장으로 수입업자가 수입신용장의 개설 시에 신용장의 한 조건으로서, 그 신용장에 의하여 발행되는 어음의 매입대금은 수익자에게 지급되지 않고 수익자명의로 상호약정에 따라 매입은행 ? 개설은행 또는 제3국의 환거래은행 등의 기탁계정에 기탁하여 두었다가 그 수익자가 원신용장 개설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품의 대금결제에만 사용하도록 하는 요건의 신용장을 말한다.
  • 10. 보증신용장
    보증신용장(stand-by-credit)이란 통상적인 수출입상품대금의 결제를 목적으로 하는 신용장이 아니고, 금융이나 보증을 위하여 발행되는 특수한 조건의 무담보신용장을 말한다.
  • 11. 내국신용장
    내국신용장(local credit ; domestic ere ; secondary credit ; subsidiary credit)이라 함은 외국이 수입업자로부터 수출신용장을 받은 국내의 수출업자, 즉 원수출신용장의 수익자가 그에 따른 수출품 또는 원자재 등을 국내에서 조달할 경우, 동 수출품 또는 원자재 등의 공급자에 대한 대금지급을 보증하기 위하여, 수출신용장에 의한 청구권을 담보로 해서 원수출신용장의 통지은행 또는 자기의 거래은행에 의뢰하여 수출품 또는 원자채 등의 공급자를 수익자로 하는 제2의 신용장을 개설하는 것을 말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취소불능신용장과 취소가능신용장
    취소불능신용장은 발행은행이 일단 발행하면 취소할 수 없는 신용장으로, 수익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대신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반면 취소가능신용장은 발행은행이 필요에 따라 취소할 수 있는 신용장으로, 발행은행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취소불능신용장은 수익자에게 안정적인 거래를 보장하지만 발행은행의 입장에서는 위험이 크다. 취소가능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낮지만 수익자의 거래 안정성이 낮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취소불능신용장과 취소가능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2. 확인신용장과 불확인신용장
    확인신용장은 발행은행 외에 확인은행이 추가로 신용을 보증하는 신용장으로, 수익자의 거래 안전성이 높다. 반면 불확인신용장은 발행은행만 신용을 보증하는 신용장으로, 수익자의 거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확인신용장은 수익자 입장에서 거래 위험이 낮지만 발행은행과 확인은행의 수수료 부담이 크다. 불확인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수수료 부담이 낮지만 수익자의 거래 위험이 크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확인신용장과 불확인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3. 매입신용장과 지급신용장
    매입신용장은 수익자가 서류를 제시하면 발행은행이 대금을 지급하는 신용장이다. 지급신용장은 수익자가 서류를 제시하면 발행은행이 대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신용장이다. 매입신용장은 수익자가 즉시 대금을 받을 수 있어 거래 안전성이 높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지급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익자가 대금 지급을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매입신용장과 지급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4. 화환신용장과 무담보신용장
    화환신용장은 상품의 선적서류를 담보로 발행되는 신용장이다. 무담보신용장은 상품의 선적서류를 담보로 하지 않고 발행되는 신용장이다. 화환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낮지만 수익자가 상품 선적서류를 제공해야 한다. 무담보신용장은 수익자의 부담이 적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화환신용장과 무담보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5. 일람출급신용장과 기한부신용장
    일람출급신용장은 수익자가 서류를 제시하면 즉시 대금을 지급받는 신용장이다. 기한부신용장은 수익자가 서류를 제시하면 일정 기간 후에 대금을 지급받는 신용장이다. 일람출급신용장은 수익자가 즉시 대금을 받을 수 있어 거래 안전성이 높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기한부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익자가 대금 지급을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일람출급신용장과 기한부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6. 양도가능신용장과 양도불능신용장
    양도가능신용장은 수익자가 신용장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있는 신용장이다. 양도불능신용장은 수익자가 신용장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신용장이다. 양도가능신용장은 수익자가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거래 유연성이 높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양도불능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익자의 거래 유연성이 낮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양도가능신용장과 양도불능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7. 회전신용장
    회전신용장은 동일한 신용장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장이다. 회전신용장은 거래 당사자들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크다. 회전신용장을 사용하면 거래 당사자들이 매번 새로운 신용장을 발행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발행은행은 회전신용장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위험이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회전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8. 전대(선대) 신용장
    전대(선대) 신용장은 수익자가 자신의 거래 상대방에게 신용장을 양도하는 것을 말한다. 전대(선대) 신용장을 사용하면 거래 당사자들의 편의성과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발행은행은 전대(선대) 신용장이 사용되면서 거래 당사자들이 늘어나고 거래 내역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전대(선대) 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9. 기탁신용장
    기탁신용장은 수익자가 발행은행에 일정 금액을 예치하고 발행은행이 그 금액을 담보로 신용장을 발행하는 것이다. 기탁신용장은 발행은행의 위험이 낮아 안전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수익자가 예치금을 제공해야 하므로 자금 운용의 유동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기탁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10. 보증신용장
    보증신용장은 발행은행이 수익자의 채무를 보증하는 신용장이다. 보증신용장을 사용하면 수익자의 거래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발행은행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발행은행은 수익자의 채무를 보증하므로 수익자의 신용도에 따라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보증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11. 내국신용장
    내국신용장은 국내에서 발행되고 사용되는 신용장이다. 내국신용장은 국내 거래에 사용되므로 국제거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편리하다. 또한 국내 거래이므로 환율 변동 위험이나 국가 간 거래에 따른 위험이 없다. 하지만 국내 거래라도 신용장 거래의 복잡성과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거래 상황에 따라 내국신용장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