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5개
-
ERCP 담관염2024.08.281. 담관염의 개요 1.1. 담관염의 정의 담관염이란 담관에 급성 또는 만성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급성 담관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담관 내의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담관 내 담석이나 악성 종양, 양성 협착 등으로 인한 담관 폐색이 주된 원인이 된다. 담관 내 담즙의 정체와 더불어 세균감염이 동반되면 담관에 염증이 발생하여 임상적으로 고열, 황달,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급성 담관염은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 질환이다. 1.2. 담...2024.08.28
-
담관염2024.12.041. 담관염(Cholangitis) 1.1. 정의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소화액)을 장으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수많은 담관으로 이루어진 담도는 간 안에 퍼져있는 작은 담관(간내담관)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굵은 담관으로 합류하여 간 밖으로 나와 총담관을 형성하고 마지막에 유두부를 통해서 십이지장까지 도달하게 된다. 담관염은 이러한 담관의 염증 상태를 말한다. 1.2. 원인 1.2.1. 담관 폐쇄 원인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이다.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2024.12.04
-
담관염 case2024.09.061. 담관염 1.1. 정의 담관염은 담도계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담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 담관염이다. 담관의 염증은 주로 담석, 악성 종양, 축농증 등에 의해 발생하여 담즙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정체되면서 세균감염이 되어 발병하게 된다. 따라서 담관염은 담즙의 흐름이 막히는 폐쇄와 세균 감염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1.2. 병인론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담즙의 흐름이...2024.09.06
-
방사선촬영2024.12.231. 방사선 영상검사 1.1. 방사선 투시촬영의 특징 방사선 투시촬영은 밝은 실내에서 검사를 할 수 있어 편리하며, 실시간으로 객관적인 소견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진단 능률이 향상되며, 해상력이 우수하여 미세한 병변의 관찰이 용이하다. 또한 휘도(brightness)와 대조도(contrast) 조절이 가능하고, 종래의 형광판 투시에 비해 적은 선량으로 투시가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직접촬영, 확대촬영, 방사선 영화장비 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1.2. 위장조영술 (Uppe...2024.12.23
-
췌장염을동반한 담관염2024.08.291. 담관염 1.1. 정의 담관염은 담관 계통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에는 혈압 저하, 의식 저하를 동반한 패혈증과 같은 전신의 염증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사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1.2. 원인 담관염의 원인은 담즙에 세균이 감염되어 매우 빠르게 번식하게 되는 데에 있다.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 하부 담도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은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2024.08.29
-
간 담도계 질환 ERCP2025.03.121. 서론 1.1. 간 담도계 질환의 이해 간은 체내에서 가장 큰 장기로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기관이다. 간은 각종 독성 물질을 대사하여 배출하고, 담즙을 생성하여 지방 소화를 돕는다. 또한 혈액 응고에 필요한 여러 물질을 생성하며, 탄수화물과 단백질 대사에도 관여한다. 따라서 간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간에 질병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간 담도계 질환에는 간염, 간경화, 간암 등 간 질환과 담낭염, 담석증, 담관암 등 담도 질환이 포함된다. 간 질환은 바이러스, 약물, 알코올 등 다양...2025.03.12
-
Calculus of bile duct with obstruction2025.02.091. 서론 1.1. 사례의 배경 62세 남성으로 내원하기 2일 전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느낌의 cpigastric pain(상복부 통증)으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했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Calculus of bile duct with cholangitis,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을 진단받았다. 현재 PTGBD로 처치 중이며 추후 3~6개월 간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1.2. 질병의 정의와 특징 담도계(biliary system)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및 담낭관(...2025.02.09
-
Ercp2024.09.021.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1.1. ERCP란?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란 내시경을 이용하여 췌관과 담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십이지장경과 방사선투시기를 사용하여 십이지장으로 연결된 유두부를 통해 담관 및 췌관을 직접 관찰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영상을 얻는 방법이다. 간과 췌장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췌장액은 각각 담관과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연결되어 음식물 소화에 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담관과 췌관에 결석, 종양 또는 염증으로 인한 협착이 있을 경우 소화액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2024.09.02
-
CBD stone with acute cholangitis 간호진단2024.11.211.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 1.1. 정의 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급성 담관염을 말한다. 급성 담관염은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하부 담관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이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으로,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도 담관에 악성 혹은 양성 종양이나 기생충 감염이 있거나 양성협착이 있는 경우에도 담관염은 발생할 수 ...2024.11.21
-
담낭암 간전이2024.10.271. 담낭암 개요 1.1. 담낭암의 정의 담낭암은 담낭(쓸개)에서 생기는 암으로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보통 담낭암이라고 하면 담낭선암종을 말한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2~3배 많고 60대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 대부분 담석 때문에 많이 발생하며 서양에서는 80%가 담석 때문에 발생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담낭암 환자의 약 30%에서만 담석이 발견된다." 1.2. 담낭암의 종류 담낭암은 분화 정도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먼저 분화 정도에 따라 담낭암은 선암종(Adenocarcin...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