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재 분석과 평가 기준 및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교재의 중요성
1.2. 교재 분석 및 평가의 필요성
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2.1. 교재 분석의 개념 및 절차
2.2. 교재 평가 기준
2.2.1. 이지영(2004)의 평가 기준
2.2.2. 배두본(1999)의 평가 기준
2.2.3. 서종학(2001)의 평가 기준
2.2.4. 이해영(2001)의 평가 기준
3. 한국어 교재 분석
3.1. 이화 한국어 3-1
3.2. 세종 한국어 2
4. 한국어 발음 교육
4.1. 한국어와 일본어 자음 체계 비교
4.2. 일본어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자음 오류 및 교정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교재의 중요성
교재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지원하면서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이다. 목적에 맞는 올바른 교재의 선택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 학습의 구조적인 안내를 받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의 기반을 다지고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문장 및 문화를 학습하며 전반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서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자 기본적인 지침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목적과 수준에 맞게 효율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1.2. 교재 분석 및 평가의 필요성
교재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지원하면서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목적에 맞는 적절한 교재의 선택은 학습자가 언어 학습의 구조적인 안내를 받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의 기반을 다지고 전반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서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자 기본적인 지침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습자의 목적과 수준에 맞게 효율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재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은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2.1. 교재 분석의 개념 및 절차
교재 분석의 개념 및 절차""
교재 분석은 교재를 연구하거나 선정하거나 개발하기 위한 과정적 행위로서, 교재 편찬자의 의도와 학습자의 요구 및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교재 분석에는 교수 변인과 학습 변인 분석, 교재 구성물 분석, 교재 내용 분석 등이 포함된다"" 교수 변인과 학습 변인 분석에는 교육 기관, 학습자, 교사 등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포함된다"" 교재 구성물 분석에는 교사용 지침서와 학습자용 워크북 등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포함된다"" 교재 내용 분석에는 학습 목표, 주제, 문화 등의 교재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포함된다""
2.2. 교재 평가 기준
2.2.1. 이지영(2004)의 평가 기준
이지영(2004)은 교재를 구성(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지영(2004)은 교재 구성 평가 항목으로 교재의 단계, 단원 수, 단원구성, 삽화, 관련 구성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세분화하였다. 또한 교재 내용 평가 항목으로 주제, 언어, 기능, 과제 및 활용, 문화 등을 제시하였다"
2.2.2. 배두본(1999)의 평가 기준
배두본(1999)의 평가 기준은 교재 평가를 위한 다양한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배두본은 교재 평가 기준을 크게 교...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교안
서종학·이미향·박진욱, 2017,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교안
서울대학교 한국어 문학 연구소, 국어교육연구소, 언어교육원 공편.‘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p.471-510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2’,2021.01.07
송향근, 『한국어교육론』, 하우, 2016.
허용, 「자음체계대조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55, 2010. pp.30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