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HTP(집,나무,사람) 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HTP(House, Tree, Person) 검사
1.1. HTP 검사의 개요
1.1.1. HTP 검사의 발달
1.1.2. HTP 검사의 구성 및 실시
1.1.3. HTP 검사의 장단점
1.2. HTP 검사의 주요 요소
1.2.1. 집(House) 그림의 특징
1.2.2. 나무(Tree) 그림의 특성
1.2.3. 사람(Person) 그림의 특성
1.3. HTP 검사의 해석
1.3.1. 구조적/표현적 요소 해석
1.3.2. 내용적 요소 해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HTP(House, Tree, Person) 검사
1.1. HTP 검사의 개요
1.1.1. HTP 검사의 발달
HTP 검사의 발달은 192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Goodenough(1926)가 아동기부터 청소년기까지의 인물화 발달 과정을 연구하며 아동의 지능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면서 HTP 검사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Buck(1953)은 H-T-P를 하나의 통합된 검사로 구성하였고, Hammer(1971)는 이를 임상적으로 확대 적용하였다"" Machover(1949)는 투사적 그림 검사에 대한 상세한 임상 해석을 제시하였으며, Koppits(1968)은 투사적 채점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Burns(1987)는 기존 HTP 검사를 변형한 동작성 HTP(kinetic-HTP)를 고안하여 사람-집-나무 간의 관계에서 개인적으로 중요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처럼 HTP 검사는 정신분석 체계와 Maslow의 욕구 위계설 등 다양한 이론적 기반 아래에서 발달해 왔다""
1.1.2. HTP 검사의 구성 및 실시
HTP 검사의 구성 및 실시는 다음과 같다.""
HTP 검사를 실시할 때 사용되는 도구는 B2연필, 지우개, 그리고 17.8x21.6cm의 백지 4장이다.""
검사 시 지시사항은 비지시적이다. 즉, 피검자에게 "그리고 싶은 대로, 지우고 싶은 대로 그려보세요"라고 말한다.""
각 그림을 그릴 때 소요되는 시간은 측정하여 기록한다.""
검사 순서는 심리적인 어려움을 가장 적게 유발시키는 대상부터 실시한다. 즉, 중립적인 자극에서 점차 self-portrait에 근접하도록 한다.""
먼저 종이를 가로로 제시하여 "이 집은 어떤 집입니까?"라는 질문과 함께 '집' 그림을 그리게 한다.""
다음으로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여 "이 나무는 무슨 나무입니까?"라는 질문과 함께 '나무' 그림을 그리게 한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종이를 세로...
참고 자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