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주와 2주차 강의를 통해 대조언어학의 기본 개념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거꾸로 한국인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겪은 어려움의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조언어학의 정의와 중요성
1.2. 외국어 학습 시 모국어 간섭에 대한 이해
2. 한국인이 외국어 학습 시 겪는 어려움
2.1. 발음
2.1.1. 영어의 /θ/, /ð/ 소리
2.1.2. 중국어의 성조 구분
2.2. 어휘와 문법
2.2.1. 영어 명사의 복수형
2.2.2. 스페인어 명사의 성과 일치
2.2.3. 중국어 동사의 시제와 상
2.3. 문화적 차이
2.3.1. 영어권 인사 예절
2.3.2. 한국어의 높임법
3. 대조언어학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전략
3.1. 언어 간 차이 인식
3.2. 오류 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조언어학의 정의와 중요성
대조언어학은 서로 다른 두 언어의 체계와 구조를 비교하여 언어 간의 차이와 유사점을 밝히는 학문 분야이다. 이는 외국어 학습에 중요한 개념으로, 언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여 언어의 본질적인 특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조언어학을 통해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문화 간의 소통과 이해를 촉진한다. 또한 다양한 언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언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외국어 학습자가 기존의 언어적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려고 할 때, 언어 간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대조언어학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1.2. 외국어 학습 시 모국어 간섭에 대한 이해
외국어 학습 시 모국어 간섭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모국어의 습관과 체계가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모국어 간섭은 언어의 발음, 어휘, 문법,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다.
발음 영역에서는 모국어의 음운체계가 외국어 발음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 없는 영어의 /θ/, /ð/ 자음을 한국인 학습자가 발음하기 어려워한다. 또한 성조 언어인 중국어의 성조를 구분하는 것도 한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이처럼 모국어의 음운 체계와 차이가 있는 외국어 발음은 학습자에게 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어휘와 문법 영역에서도 모국어의 영향이 나타난다. 영어의 명사 복수형 규칙과 한국어의 복수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는 이를 혼동하게 된다. 또한 스페인어의 명사 성별 구분과 일치 현상은 한국어에 없는 문법 범주이므로 한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준다. 중국어의 동사 시제와 상 표현 방식도 한국어와 차이가 커서 한국인 학습자가 이를 습득하기 어렵다.
문화 영역에서도 모국어 간섭이 발생한다. 영어권의 인사 예절과 한국어의 높임법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국인이 영어를 사용할 때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이처럼 모국어의 습관과 체계가 외국어 학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모국어와 외국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학습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2. 한국인이 외국어 학습 시 겪는 어려움
2.1. 발음
2.1.1. 영어의 /θ/, /ð/ 소리
영어의 /θ/와 /ð/ 소리는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발음이다.
/θ/는 혀끝을 위쪽 치아에 붙이고 공기를 빼내며 내는 치간마찰음으로, "think"나 "thought"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이 소리는 한국어 화자들에게 발음하기 매우 어려우며, "씽크" 또는 "띵크"와 같이 발음하게 된다.
/ð/는 /θ/와 유사한 발음으로, 혀끝을 살짝 밖으로 내밀어 치간에 두고 공기를 빼내며 내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then"이나 "father"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나는데, 한국어 화자들은 이 소리를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ð/를 /d/나 /z/로 대체하여 "덴" 또는 "젠"과 ...
참고 자료
박의재, 1991, 영어교육에서 정의적인 측면과 연령의 문제, 충남대학교
범기혜, 2021,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한국어 연어 연구, 한국문화사
이정희, 2002,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발음 오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지도 방안, 동신대학교
한국어 동사 반복 구문 분석/박소영/한국어학회/2018
한국어 동사 오다의 문장구조 교육 연구/jiang hongfang/경희대학교/2020
교안. 『대조언어학』.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손정애. (2015). ‘한국인 학습자의 중간언어 분석을 통한 중국어 조사 `了`의 교육 순서 연구’. 『중국문학』. Vol.84. pp.301~328.
유승남, 야코블례프. (2000). ‘한국인들의 러시아어 발음에 있어서 모국어의 간섭현상 -음운론적 관점에서의-’. 『슬라브학보』. Vol.15(1). pp.97~120.
임홍수. (1990). ‘한국인의 러시아어 발음교육에 관하여 -자음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Vol.3. pp.323~338.
쭈즈훼이. (2019). 문장 차원에서의 한국어 ‘-었-’과 중국어 ‘了’의 대조 연구 -완전상(Perfective)과 완료상(Perfect)1)의 의미를 중심으로-
허용, 김선정. (2014). 『대조언어학』.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