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음장애 뇌경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졸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1.1. 뇌 손상으로 인한 구음장애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1.2. 구음장애 관련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1.2.1.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진단
1.2.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목표 및 간호수행
1.3. 뇌졸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관리
1.3.1. 언어적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중재
1.3.2.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활용
2. 뇌졸중 환자의 간호문제
2.1. 두개내 적응능력 감소
2.2. 낙상 위험성
2.3. 자기돌봄결핍
2.4. 비사용증후군 위험성
2.5. 출혈 위험성
2.6. 감염 위험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졸중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1.1. 뇌 손상으로 인한 구음장애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뇌 손상으로 인한 구음장애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는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 혹은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말을 만드는데 결함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음장애의 주요 특징은 조음기관의 근육 약화 또는 마비로 인해 호흡, 발성, 공명 등에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말의 속도, 강도, 시간, 정확성 등에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화가 지연되고 부정확해지며, 발음이 어눌해지는 등의 의사소통 능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구음장애의 발생 원인은 크게 상위운동신경세포형, 하위운동신경세포형, 운동과다형, 이완형, 실조형, 혼합형으로 분류된다"". 상위운동신경세포형은 대뇌 피질의 언어 영역 손상으로 인한 편측성 마비와 언어장애가 동반되는 유형이며, 하위운동신경세포형은 말초신경 또는 신경근육 손상으로 인한 근육의 이완과 위축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과다형은 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과도한 불수의적 움직임과 발성 장애를, 이완형은 소뇌 병변에 따른 근긴장도 저하와 비정상적인 발화를 보인다"". 혼합형은 이러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이처럼 구음장애의 양상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저하는 환자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구음장애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중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2. 구음장애 관련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1.2.1.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진단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진단은 "중추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이다. 이는 언어적 의사소통의 감소, 지연 또는 인지능력, 의사소통 과정, 전달능력의 부재와 기호 체계의 사용, 즉 의사소통을 위해 말을 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뇌졸중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인 구음장애(dysarthria)는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또는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의 손상이나 질환으로 인해 말을 만드는데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조음기관의 근육 약화 혹은 마비로 인한 호흡, 발성, 공명 등의 문제로 정상적인 말의 속도, 강도, 시간, 정확성에 어려움이 있다.
구음장애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는 환자의 발화 속도 저하, 발음 부정확, 발화 내용 이해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환자의 인지기능은 유지되어 있으나 말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까지 면밀히 사정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유형을 파악하고, 환경적 요인, 대화 상황, 언어 능력 등을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에게 편안한 대화 환경을 조성하고, 천천히 또박또박 말하기, 단순한 문장 사용, 경청과 피드백 제공 등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언어재활치료 등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여 환자의 언어능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이처럼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진단은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과 타인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정확히 사정하고, 환자 맞춤형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소통 증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1.2.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목표 및 간호수행
장기목표 ①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통한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는 대상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회복하여 퇴원 후에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언어적 표현 능력 향상과 더불어 비언어적 표현 기술의 활용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장기목표 ②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발음이 또렷해지고 ...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강보라,정은송,김재희,and 하유나.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인지, 일상생활 평가의 상관성 연구."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0.2 (2018): 45-52.
강수균(Kang Soo-Kyoon),박은실(Park Eun-Sil),and 강은희(Kang Eun-Hee). "뇌졸중자의 언어치료 프로그램 개발." 難聽과 言語障碍 28.2 (2005): 45-57.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2014)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Ⅰ, Ⅱ』, 수문사(2017)
Lippincott Williams, WILKINS 저, 『알기쉽게 풀이한 성인간호학』, 아카데미아(2017)
Priscilla LeMone, Karen Burke 외 2명 저, 『성인간호학 1, 2』, (신나미), 정담미디어(2017)
한국간호과학회 저, 『성인간호학』, 대한간호협회(2010)
LEWIS, Dirksen 외 2명 저, 『성인간호학 상, 하』, (신경림), 현문사(2015)
정면숙 외, 『간호학개론』, 현문사(2012)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3)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5)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하) (제7판), 현문사, 432-449
서울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N 의학정보 (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 건강정보 > 의료정보 (www.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