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혈기흉 간호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질환의 정의
1.2. 원인
1.3. 증상 및 징후
1.4. 진단적 검사
1.5. 치료
1.6. 간호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개인력
2.1.2. 건강력
2.1.3. 간호력
2.1.4. 건강증진
2.1.5. 영양
2.1.6. 배설/교환
2.1.7. 활동/휴식
2.1.8. 지각/인지
2.1.9. 자아 지각
2.1.10. 역할관계
2.1.11. 성
2.1.12. 대응/스트레스 내성
2.1.13. 삶의 원리
2.1.14. 안전/보호
2.1.15. 안위
2.1.16. 성장/발달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질환의 정의
혈기흉(Haemopneumothorax)은 흉막강으로의 출혈을 동반한 기흉을 의미한다. 즉,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동시에 흉막강 내에 혈액이 고이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늑골골절이나 폐 및 혈관 손상 등 외부 외상에 의해 발생하며, 출혈로 인한 저혈압,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혈기흉은 기흉보다 더 심각한 상태로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1.2. 원인
외상성 혈기흉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나 흉곽 손상, 뾰족한 물건에 찔리는 등의 외상 또는 병원에서 진단·치료 목적으로 처치를 시행할 때 기구를 흉부에 삽입하여 폐를 손상시킬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늑골골절이나 폐쇄성 흉부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며 그중 다발성 늑골골절에 의한 흉벽 손상의 70% 이상에서 혈기흉을 볼 수 있다. 늑골 골절편이 흉막 열상을 야기하면 기흉이 나타나며 골절된 늑골이 흉벽혈관과 흉내장기를 손상시키며 출혈을 일으키면 혈흉이 나타난다.
1.3. 증상 및 징후
혈기흉은 기흉보다 더 심한 상태로, 흉통과 호흡곤란 증상을 주로 관찰할 수 있다. 청색증, 혈압 하강, 맥박 증가, 호흡음 소실이나 감소, 병소 부위의 탁음, 복부에 대한 방사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흉강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폐를 압박하고 흉강 내 압력이 증가하며 종격동이 반대편으로 밀려, 종격동 이동과 그로 인한 저산소증, 산증 및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심장이나 대혈관의 파열로 인해 심장막으로 혈액이 유입되면 심장이 압박되고 그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며 혈압이 저하된다.
출혈이 심할 경우 목정맥이 수축하여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거나 혹은 혈흉으로 인해 심장이 압박받아 목정맥이 팽대되는 걸 관찰할 수 있다. 편측으로 호흡음이 청진되지 않으면서 둔탁한 타진음이 들린다. 대량의 출혈은 흉막강 내 혈액유출로 이어져 쇼크까지 발생할 수 있다.
1.4. 진단적 검사
혈기흉 환자의 진단적 검사는 다음과 같다.
흉곽 내의 변형, 종양, 타박상 등이 의심되는 경우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여 폐, 늑골, 종격동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흉부 CT 검사 결과 이 환자의 경우 양측 기흉과 우측 혈흉, 폐 타박상, 양측 상하엽의 피하 기종 및 종격동 기종이 관찰되었다. 또한 제1흉추에서 제6흉추까지의 다발성 늑골골절도 확인되었다.
혈액 검사상 WBC 5.4×10³/㎕, RBC 4.09×10¹²/L, Hb 11.9g/dL, Hct 37.0%, platelet 275×10³/㎕으로 나타났다. 백혈구 중 중성구 61%, 림프구 21%, 단핵구 10%, 호산구 7%, 호염기구 1%의 소견을 보였다. 이를 통해 외상으로 인한 급성 염증 반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단을 위해 시행한 다른 검사로는 동맥혈 가스 분석이 있다. 입원 당시 측정한 결과 pH 7.312, PaCO₂ 43.0mmHg, PaO₂ 224mmHg, BE -4.2mEq/L, HCO₃- 21.1mEq/L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호흡성 산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혈기흉 환자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CT 검사를 통한 해부학적 변화 확인, 혈액 검사를 통한 염증 반응 확인, 동맥혈 가스 분석을 통한 환기 및 산-염기 균형 평가 등 다양한 진단적 검사가 필요하다.
1.5. 치료
치료 방법은 증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경우, 단순히 흉막강 내 축적된 혈액과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흉강천자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출혈이 심하거나 폐가 심하게 허탈된 경우, 흉관 삽입술을 시행해 흉강 내 공기와 혈액을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흉관 삽입술은 흉부 X선 촬영과 CT 검사를 통해 삽입 위치를 확인하며 실시한다. 주로 16~32Fr 크기의 흉관을 사용하며, 배액량이 많을수록 더 굵은 관을 삽입한다.
때로는 흉관 삽입술만으로는 상태 호전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비디오 흉강경 수술이나 개흉술을 고려할 수 있다. 과거에는 개흉술을 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비디오 흉강경 수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디오 흉강경 수술은 작은 절개만으로도 흉막하 소기포 절제와 흉막 유착술을 시행할 수 있어 개흉술에 비해 수술 부위가 작고 통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혈액 손실이 심각한 경우, 신속한 수액 및 수혈 요법이 필요하다. 수액과 수혈을 통해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산소 운반 능력을 높여야 한다. 이 때 동맥혈 가스 분석, 심전도, 중심정맥압 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한편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투여도 병행된다. 외상으로 인한 폐 손상과 흉강 내 오염으로 폐렴, 농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혈기흉 환자의 치료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며,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1.6. 간호
기도를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가 질식하지 않도록 하는 자세를 취해 주어야 한다. 필요할 경우 흡인을 시행한다.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해야 하는데 흉통으로 어려울 경우 흉부를 지지한 상태로 기침을 하도록 교육해야 하며 경한 진정제나 메페리딘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마약성 진통제는 호흡을 억압시킬 수 있어 금기된다.
기도가 피나 구토물, 점액 등으로 막힐 경우 인공기도를 삽입한다.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나 환자의 호흡상태를 세밀히 평가하여 산소를 투여하고 필요할 경우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상체를 상승시킨 자세는 호흡을 쉽게 하므로 의식이 명료한 흉부 손상 환자에게 적절한 자세이다.
흉부 손상 시 쇼크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입원과 동시에 혈액형 검사를 시행하여 손실된 혈액을 보충해야 한다. 외출혈뿐만 아니라 청색증, 불안정, 차고 축축한 피부, 낮은 혈압, 빠르고 약한 맥박, 허탈된 정맥 등의 내출혈의 증상도 관찰해야 한다. 폐순환이 손상된 경우 정맥 내 수액을 과하게 투여하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섭취와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며 수액을 조절하여야 하고 심장과 폐에 합병증이 발생하는지 세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호흡곤란, 갑작스런 예리한 통증, 혈액 섞인 가래와 같은 합병증이 나타나면 즉시 보고해야 한다. 외상이나 ...
참고 자료
김금순 외 7명, 2012, 성인간호학1, 수문사
성미혜 외 3명,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의학 검색 엔진 www.kmle.co.kr
"기흉."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22년, 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20&cid=51007&categoryId=51007. 2022년 11월 5일 접속.
"혈액공기가슴증." 지식백과-두산백과, n.d., 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1872&cid=40942&categoryId=32774. 2022년 11월 5일 접속.
"기흉." 지식백과-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2021년 7월 9일, 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374&cid=51004&categoryId=51004. 2022년 11월 5일 접속.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민용일. "흉부외상의 응급처치 Emergency Management of Thoracic Trauma." 대한의사협회지, vol.50, no.8, 2007, pp. 702-710. 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0-702.pdf.
"약학정보원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n.d., www.health.kr/. 2022년 11월 5일 접속.
"흉관 삽입술."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n.d., 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46&ref=y&cid=51007&categoryId=51007. 2022년 11월 5일 접속.
"CT검사." 경북대학교병원, n.d., www.knuh.kr/content/04information/06_05.asp?sh_d_buseo=&sh_d_body_self=&sh_d_disease=&p_keyword=&sh_name_sort1=%EC%A0%84%EC%B2%B4&sh_name_sort2=&sh_d_num=15. 2022년 11월 5일 접속.
"뇌 컴퓨터 단층촬영 [brain computed tomography, brain CT]." 서울대학교병원, n.d., 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05. 2022년 11월 5일 접속.
"간호사정: 섭취량과 배설량 (Assessment: Intake and Output)." Nursing skills, n.d., www.els-nursingskills.kr/SkillContent/IndexLearning/3830. 2022년 11월 19일 접속.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