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방문건강관리사업
1.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념
1.2.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이론적 접근
1.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1.4. 우리나라 방문보건사업의 역사
2.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2.1. 건강취약계층
2.2. 대상자 우선순위
3. 방문건강관리사업 방법
3.1.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
3.2. 대상자 발굴
3.3. 대상자 등록 및 군 분류
3.4. 군별 관리 내용
3.5. 대상자 평가
4.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내용
4.1. 건강문제 스크리닝
4.2. 건강행태개선
4.3.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
4.4. 생애주기별 건강문제관리
4.5.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관리
4.6. 장애인 재활관리
4.7.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사업
1.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념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보건소에 소속된 방문간호사가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가구 및 가구원을 직접 방문하여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질병예방, 만성질환 관리 등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의료사업의 기본적인 접근방법이다.
이는 취약계층의 보건의료이용 형평성 제고, 고령사회 도래 및 만성질환자 증가, 적극적인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활동, 국민의료비 절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등의 배경 하에 발전해왔다.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기능은 가구원의 건강문제나 사회·경제적 문제를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요구에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주민의 의료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국민 의료비 절감을 유도하며, 나아가 주민 스스로 건강을 유지·증진하여 삶에 대한 자립의지를 고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시행은 건강증진사업과 지역보건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1.2.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이론적 접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이론적 접근은 가족건강관리에 대한 기본가정과 서비스 제공 원칙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가족건강관리에 대한 기본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족건강의 1차적 책임은 가족에게 있으며, 가족의 건강은 건강한 사회의 초석이자 모든 가족에게 보장되어야 한다. 가족건강관리는 가족원의 건강문제에 대한 이해, 가족원의 특성, 자신감, 가족의 전통이나 가치에 영향을 받는다. 가족은 스스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역량과 힘을 기를 수 있으며, 정보와 자원이 지원되었을 때 능력이 증강되어 건강증진 행위를 할 수 있다.""
둘째,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서비스 제공 원칙은 다음과 같다. 방문건강관리는 가족들에게 공정하고 책임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서비스의 원칙은 계획, 중재, 평가의 틀 내에서 형성되어야 하며, 가족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지역사회의 연계체계 구성을 촉진해야 한다. 간호사와 가족은 상호 동등하고 존경의 관계를 갖고 활동해야 하며, 간호사는 가족원의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여 가족역량을 증강시켜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을 가족과 함께 개발해야 하며, 프로그램은 융통성 있어야 하고 지속적으로 가족과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
1.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은 취약계층 건강인식 제고, 취약계층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취약계층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취약계층의 건강인식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는 건강생활실천 및 질병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신생아와 영유아의 경우 성장 및 발달에 따른 건강문제 스크리닝, 예방접종 관리,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을 실시한다. 임부의 경우 건강문제 발견(고위험 임부 등)과 건강행태 및 지식 관련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한다.
둘째, 취약계층의 자가건강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상자 중심의 보건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건강위험요인과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팀 접근의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보건소 내외 자원을 연계하여 다양하고 적절한 보건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셋째, 취약계층의 건강상태를 유지 및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건강행태개선,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관리,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관리, 장애인 재활 관리 등의 다양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취약계층의 건강인식 제고,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건강형평성 제고와 취약계층의 건강수명 연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1.4. 우리나라 방문보건사업의 역사
우리나라 방문보건사업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1956년 보건소법의 제정과 더불어 방문보건사업이 시작되었다. 1962년에는 분야별로 보건요원을 배치하여 결핵, 가족계획 및 모자보건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였다. 1985년에는 포괄적인 보건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통합보건사업이 시작되었다.
1995년 지역보건법이 개정되면서 방문보건사업은 보건소 업무 중 '가정,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사업'이라는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진단을 기반으로 한 지역보건사업의 기본 수단으로서 방문보건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1999년부터 2000년에는 외환위기로 생겨난 여성 실업 인력에게 고용기회를 부여하고 지역 주민의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공근로사업의 일환으로 보건소 공공근로 방문보건사업이 전개되었다.
2001년부터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방문보건서비스 표준화를 개발하여 매년 '방문보건사업 안내지침'을 전국 보건소에 배부하였다. 2007년에는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 2,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찾아가는 보건소'라는 새로운 개념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실시하였다.
2013년부터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었으며, 2015년부터는 국가주도형 사업방식에서 지역 여건에 따라 사업대상, 목표, 서비스 제공 등을 자체적으로 계획하여 추진할 수 있도록 지자체 주도방식으로 개선되었다.
2.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2.1. 건강취약계층
건강취약계층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으...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 지역사회간호학2 (수정판)」, 수문사.
보건복지부(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종도, "2021년 고령자통계 발표, 올해 노인인구 853만명, 전체 인구의 16.5%", 백세시대, 2021.10.01, https://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109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22), 「2022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방문건강관리)」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장기보건지소 홈페이지,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clinic_branch/index.jsp
김민영, "청통면 따숨가게, 집수리 봉사 위해 구슬땀",영천시뉴스포털,2022.05.19., https://www.yc.go.kr/news/ycNews/view.do?newsEpctNo=18583&mId=0100000000
김형식,"구미시 복지위기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실시",경북도민일보, 2021.07.05., 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7656
유인영(2005),「노인 단독가구의 낙상과 주거환경 문제」,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2권 제3호, pp.199-201
인천광역시 계양구,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년도(2021년) 시행계획」
김춘미 외. (20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