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방문건강관리사업
- 최초 등록일
- 2021.02.02
- 최종 저작일
- 2019.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_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방문건강관리사업
1) 방문건강
2) 방문건강관리사업
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4) 우리나라 방문보건사업 역사
5) 보건복지가족부
2. 방문건강관리 사업 대상
3. 방문건강관리사업 방법
1)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
4.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내용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사업
1) 방문보건
정의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의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질병 예방 및 관리, 건강증진 등을 위하여 적합한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의료사업의 기본적인 접근방법
배경
: 지역사회에 만성 건강문제 증가
-인구의 노령화
-만성질환 및 사고로 생긴 심각한 합병증 발생 증가
-사회∙경제 발전으로 인한 질병구조의 변화
기능
가구원의 건강문제나 사회∙경제적 가족문제를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가구와 시설 방문하여 요구에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
효과
-주민의 의료 이용 편의성 높임
-국민 의료비 절감 유도
-주민 스스로 건강을 유지∙증진하여 삶에 대한 자립의지 고취함
2) 방문건강관리사업
정의
취약 계층 가족 및 가구원 개인의 생애주기별 건강 위험요인 및 질환에 대한 자가관리능력 향상을 돕는 포괄적인 사업
제공자
간호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의 보건전문 인력
서비스
①지역 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
②가구원 혹은 가족의 건강문제를 스크리닝하여 발견
③문제해결에 적합한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리 등 제공
참고 자료
김춘미 외. (20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