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cu 검사와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용어 및 약어
1.1. 약어 정의
1.2. 의미 설명
2. 학습 내용
2.1.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2.1.1. A-line, CVP, PAP/PCWP 모니터링
2.1.2. 중심 정맥압 측정 및 간호
2.1.3. 폐동맥압 모니터링
2.2. 인공 환기요법과 간호
2.3. 혼수 환자 간호
2.4. CRRT(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적용 환자 간호
2.5. 약물중독 환자 간호
3. 주요 질환
3.1. 심장질환(협심증, 부정맥, 심부정맥 등)
3.2. 급성호흡기 장애 증후군(ARDS)
3.3. 폐렴(pneumonia)
3.4.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ARDS)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용어 및 약어
1.1. 약어 정의
AAA는 abdominal aortic aneurysm, 복부 대동맥류를 의미한다"
ABGA는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분석을 의미한다"
ABP는 arterial blood pressure, 동맥혈압을 의미한다"
ABR은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을 의미한다"
AC는 abdominal circumference, Assist control, 복부 둘레 및 보조조절을 의미한다"
ADI는 Acute drug intocication, 급성 약물중독을 의미한다"
AF는 atrial fibrillation, aterial flutter,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을 의미한다"
A-line은 arterial line, 동맥카테터를 의미한다"
AP는 Angina Pectoris, 협심증을 의미한다"
ARDS는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을 의미한다"
ARF는 acute renal failure, 급성신부전증을 의미한다"
AS는 aortic stenosis, 대동맥 협착을 의미한다"
ASD는 atrial septal defect, 심방 중격 결손을 의미한다"
AV block은 atrioventricular block, 방실 차단을 의미한다"
BBB는 bundle branch block, 각차단(다발갈래차단)을 의미한다"
CABG는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 우회술을 의미한다"
CAD는 coronary artery disease, 관상동맥질환을 의미한다"
CAG는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을 의미한다"
1.2. 의미 설명
A-line은 동맥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말초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해 동맥압을 측정하고 동맥혈 가스분석(ABGA)을 위한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동맥압 모니터링은 동맥압 측정을 위해 동맥(일반적으로 요골 동맥이나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생리식염수(헤파린을 희석시키기 위함)로 채운 고압수세식 시스템에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혈압 수치를 확인하고 동맥혈 가스분석검사나 다른 혈액 검사를 위한 검체채취가 가능하다.
중심정맥압(CVP)은 우심방의 압력을 측정하여 우측 심장의 기능을 사정하는 것으로, 쇄골하정맥이나 내외경정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압력계에 연결하여 측정한다. 중심정맥압 측정 시 환자를 반드시 앙와위로 하도록 한다. 중심정맥압 측정에는 3가지 주요 문제가 있는데, 삽입부의 통증과 염증, 정맥주입이 잘 안되는 경우, 카테터 제거 시 카테터 끝이 빠지는 경우 등이다.
폐동맥압 모니터링은 폐동맥압과 폐모세관압을 측정하여 좌심장 기능을 사정하고 체액 주입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Swan Ganz 카테터를 사용한다. 측정 후에는 풍선의 공기를 빼서 폐 조직의 괴사를 막도록 한다. 폐동맥 카테터는 감염, 페동맥 파열, 폐혈전증, 폐경색증, 카테터의 꼬임, 심장 부정맥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학습 내용
2.1.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2.1.1. A-line, CVP, PAP/PCWP 모니터링
A-line, CVP, PAP/PCWP 모니터링은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분야 중 하나이다. A-line은 동맥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말초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해 동맥압을 측정하고 동맥혈 가스분석을 위한 혈액을 채취하는 데 사용된다. CVP는 우심방의 압력을 측정하여 우측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PAP/PCWP는 폐동맥압과 폐모세관쐐기압을 측정하여 좌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체액 주입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동맥압 측정을 위한 A-line 삽입은 동맥압의 감시, 지속적인 검사가 필요한 경우, 간접법으로 측정한 혈압을 믿지 못할 경우, 동맥혈 가스분석 반복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적응증이 있다. A-line 삽입 시 합병증으로는 손가락 허혈, 도관 삽입 부위의 출혈, 응고혈에 의한 색전증 등이 있다.
중심 정맥압 측정을 위한 CVP 카테터 삽입은 출혈성 쇼크의 초기에 필수적이며, 우심방의 압력을 측정하여 우측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는 삽입부의 통증과 염증, 정맥주입이 잘 안 되는 경우, 카테터 끝이 빠지는 경우 등이 있다.
폐동맥압 모니터링은 Swan Ganz 카테터를 이용하여 폐동맥압과 폐모세관압을 측정함으로써 좌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체액 주입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폐동맥 카테터 사용 시 감염, 폐동맥 파열, 폐혈전증, 폐경색증, 카테터의 꼬임, 심장 부정맥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A-line, CVP, PAP/PCWP 모니터링은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검사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검사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환자의 상태를 세심하게 사정하고 모니터링해야 한다.
2.1.2. 중심 정맥압 측정 및 간호
중심 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은 우심방의 압력을 측정하여 우측 심장의 기능을 사정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7, page 31,33-45,226-247,266,484,341,600,841,864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7, page 1021-1155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Ⅱ」, 현문사, 2012, page 1049-1245
Lewis 외.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5
Lewis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015
김금순 외. 최신 중환자간호. 수문사, 2014
김남영 외. 중환자간호. 현문사 2013
박은영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지원 외. 제 8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5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김선희(2009).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이행률과 방법에 미치는 영향
안미정(2002). 중환자실 간호인력의 손씻기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최영자,전은경(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교육효과
김경완(2009).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행위별 손씻기 수행률과 수행방법
김상복(2004), 병원감염 방지를 위한 중환자부의 건축계획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