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응급상황대처2025.03.011. 응급상황 대처 1.1. 영유아 응급상황 영유아는 병에 걸리거나 사고로 인한 응급상황에 매우 취약하다. 영유아의 응급상황에는 고열로 인한 경련, 구토나 화상 등이 있다. 영유아는 면역체계가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응급상황이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응급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유아의 부모가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다. 영유아는 발달 단계에 따라 위험한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발달에 맞게 지도해야 한다. 응급상황이 생겼을 때 더 큰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미리 대처방법을 익혀두어 ...2025.03.01
-
중환자실에서 쓰는 카테터 종류2024.12.041. 중심정맥관 1.1. 정의 및 특징 1.1.1. 중심정맥관의 정의 중심정맥관이란 혈역학적 감시, 수액 주입, 투석, 정맥 영양 공급, 대량 수혈, 승압제 투여, 항암제나 항생제 투여 등을 목적으로 카테터 말단이 우심방입구(상대정맥)에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주로 쇼크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중심정맥압 측정을 목적으로 중심 정맥관 삽입을 시행하는 경우, 1회의 정맥천자 이후 통증 없이 반복적으로 채혈이나 약물 주입 목적 때문에 많이 쓰고 있다. 실제로 2006년 한 해 충남대학교 병원 응급실에서만 2300여건이 행해진 것을 보...2024.12.04
-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2025.02.261. 서론 1.1.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의 개요 혈역학 감시(hemodynamic monitoring)란 혈역학적 불안정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혈역학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혈압, 맥박수, 중심정맥압, 말초산소포화도 등의 기본적인 방법부터 일회박출량변동, 맥박압변동, 심초음파, 비침습적 생체임피던스 등 다양한 방법들이 혈역학적 감시에 이용되고 있다. 외상 및 패혈증 등의 중증 환자에서 산소의 공급과 전달, 소비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2025.02.26
-
icu 물품2025.02.071. 중환자실 물품 1.1. 모니터 1.1.1. 중심정맥압 측정 중심정맥압 측정은 우심방 압력과 우심실 압력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혈액량과 심장으로 귀환하는 정맥혈액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쇽의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울혈성 심부전의 초기진단을 할 수 있다. 중심정맥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순환 혈액량, 우측 심장의 펌프기능, 말초혈관의 수축정도이다. 중심정맥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우선 손을 씻고 대상자에게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정맥 울혈을 찾아 표시하고...2025.02.07
-
응급상황대처2025.03.051. 영유아 응급상황 대처 1.1.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 영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는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는 위험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발달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더 큰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미리 대처방법을 익혀두어야 한다. 먼저 가까운 병원의 응급실이나 구급차를 부를 수 있는 전화번호, 119구조대, 주치의 전화번호 등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준비해두어야 한다. 또한 상황별로 참고할 수 있는 응급처...2025.03.05
-
응급상황대처2025.03.051. 응급상황 대처의 필요성 1.1. 영유아 응급상황의 특징 아기들의 응급상황에는 고열로 인한 경련, 구토나 화상 등이 있다. 아기들은 면역체계도 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응급상황이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등 치명적이다. 이런 응급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기의 부모님들이 당황해서 허둥지둥 하는 게 아닌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는 많지 않다. 아직 위험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기 어려운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아이도 발달에 맞게 인지할 수 있도...2025.03.05
-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2025.03.051.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 1.1. 혈역학 감시 측정 지표 1.1.1. 동맥 내 카테터 동맥 내 카테터는 정상 혈압 수치인 120/80mmHg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요골동맥이나 상완동맥에 흔히 삽입되며 삽입 전 알렌검사를 시행하여 척골동맥의 측부 순환 상태를 확인한다. 정상 측부 순환 시 7초 이하여야 한다. 동맥 내 카테터를 통해 정확한 동맥압 측정이 가능하며 이는 심박출량이 매우 감소하여 비침습적인 혈압 측정이 부정확할 경우에 유용하다. 그러나 동맥 내 카테터 삽입에 따른 합병증으로 출혈, 허혈, 색전증, 감염 등이 ...2025.03.05
-
간호교직 실습일지2024.09.031. 실습일지 1.1. 입퇴원 현황 및 진단명 입원 환자들의 주요 진단명은 다음과 같다. 서00 환자는 C1-2 instability로 제1~2경추부위의 불안정성을 보였고, 조00 환자는 L4-5 ruptured HNP(Herniated Nucleus Pulposus)로 제4~5요추부위의 파열된 추간판 탈출증을 겪고 있었다. 김00 환자는 AEDH(Acute Epidural Hematoma)로 급성 경막외 혈종 증상을 보였고, 김00 환자는 HDC(Hydrocephalus)로 수두증 진단을 받았다. 김00 환자는 UTI(Urina...2024.09.03
-
성인중환자실사전과제2025.02.181. 서론 중환자실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급성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위해 존재한다. 다양한 감시 장치와 충분한 간호 및 의료 인력을 갖추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며 중요 장기의 손상을 예방, 치유, 혹은 최소화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원적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어 병원의 중앙에 위치하고, 수술실, 회복실 등과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간호와 모니터링이 다르므로, 중환자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와 주어진 간호 내용을 자세히 파악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한...2025.02.18
-
icp control 간호2025.03.151. ICP(Intracranial Pressure) 관리 1.1. ICP 정의 및 정상 범위 ICP(Intracranial Pressure) 정의 및 정상 범위 두개강 내부의 뇌(70-80%), 혈액(4-10%), 뇌척수액(9-10%)으로 구성되어 있는 두개내압은 정상적으로 5-15mmHg의 범위를 유지한다. 이는 뇌실질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적절한 혈류와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한 수준이다. 정상 두개내압 범위를 벗어나 상승하거나 감소하면 뇌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1.2. ICP 상승 원인 두개내압(ICP)은 수술,...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