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인해 순환기계 질병인 심근경색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근경색은 남성, 그리고 고령으로 가면서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심근경색을 경험하는 대상자 중 50%는 1년 이내에 사망하고, 심장발작(Heart attack) 환자의 95%는 병원 도착 이전에 심실세동으로 사망하며 국내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사례연구를 함으로써 문헌고찰을 통해 성인 심장질환에 대한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방법 및 적절한 간호를 이해하고, 간호과정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과 적절한 간호를 제공 및 합병증 예방으로 간호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 대상자의 안녕을 추구하기 위해 이 사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1. 심혈관계 질환의 정의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과 혈관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의 총칭이다.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 심부전 등이 대표적인 심혈관계 질환에 포함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주로 심장에 혈액과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한다. 심혈관계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률 2위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질병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1.2.2.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지방의 덩어리가 여러 원인에 의해 파열되게 되면 그 부분에 급속히 피가 엉겨 붙어 혈전이 되고 혈관이 막히게 된다. 이렇게 혈전에 의해 피와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그 아래의 심장 근육이 죽게 되는데, 그 범위는 혈전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1.2.3.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은 크게 수정 가능한 요인과 수정 불가능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수정 가능한 위험요인에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흡연, 과도한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로,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혈증 또한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적정 범위로 관리해야 한다. 당뇨병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을 2-4배 증가시키는데,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이 중요하다. 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요인을 증폭시키므로 적정 체중 유지가 필요하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 역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을 높이므로 금연과 절주가 권장된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수정 불가능한 요인에는 나이, 성별, 가족력 등이 있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서 그 위험이 증가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처럼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므로,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수정 가능한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질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4.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질환 종류와 발병 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흔히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 이전에 느껴보지 못한 기분 나쁜 느낌, 가슴 정 중앙부인 명치 또는 턱 끝의 통증, 왼쪽 어깨 또는 왼쪽 팔의 안쪽으로 통증이 퍼지는 느낌"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구토 증상, 소화가 되지 않거나 속이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