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발달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가정)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1.1. 대가족과 핵가족
1.2. 취업모 환경
1.3. 주거환경
1.4. 문화실조 환경
2. 학교 환경이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2.1.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1.1. 물리적 환경
2.1.2. 교사와 수업 방식
2.1.3. 또래 관계
2.1.4. 가정 환경과의 연계성
2.2.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2.2.1. 또래 관계 형성의 기회 제공
2.2.2. 다양성 존중 및 배려심 함양
2.3.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 방안
2.3.1. 안전하고 쾌적한 물리적 환경 구축
3. 아동발달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3.1. 환경의 영향
3.2. 유전의 영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가정)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1.1. 대가족과 핵가족
가족구성원의 수에 따른 가족형태는 아동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준다. 대가족 환경은 인생의 경험이 풍부한 노인세대를 포함하여 여러 성인가족들로부터 아동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대가족 관경 하에서 아동은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관심과 애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아동이 정서적 안정감을 얻고 올바른 질서 의식을 발달시키는 데도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다. 대가족에서 성장하는 아동은 많은 가족구성원들과의 긴밀한 유대 속에서 자라는 만큼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며 일찍부터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비결도 배운다. 또한 여러 성인들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성인의 가치 기준을 보다 일찍 배우며 사회성이 높고 협동과 경쟁을 조화시키는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반면에 부모 외의 아동양육과 관계하는 여러 성인들의 다양한 가치관이 아동의 일관된 가치체계 형성에 장애가 될 수도 있으며 타인의 도움에 의해 인정을 받으려 하거나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의존적인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부부와 자녀 중심으로 이루어진 핵가족 환경은 대가족 환경이 지닌 보살핌, 타협과 양보, 다양하고 풍부한 지적 정서적 경험과 같은 장점은 지니지 못하나 아동에게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아동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핵가족 환경은 아동의 사회적 경험이 부모로 한정되며 다양한 집단과 친밀한 관계를 충분히 갖지 못한다는 점에서 아동이 자기중심적이며 사회성이 낮고 때로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태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인간관계의 기술이 서툴고 지적인 영역에서도 성인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1.2. 취업모 환경
오늘날 기혼 여성의 취업화 경향은 인적 자원의 활용이라는 사회적 측면에서 공헌하고 있으나 아동의 양육 면에서는 양육 환경의 결손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취업모의 환경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사실상 모성실조의 범주에 속할 수도 있다. 대체로 취업모 환경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포한다. 첫째, 취업모 자신이 아동 양육에 할당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주로 낮 시간은 취업활동에 내보내기 때문에, 아동을 보살피고 함께 놀아주며 상호작용할 시간이 부족하다. 수유 및 배변 훈련과 같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을 감당할 시간조차 없다. 따라서 적절한 대리 모성으로 보완할 수 없는 환경일 때에 아동은 거의 모성실조와 같은 환경에서 양육되는 셈이 된다. 둘째, 대체로 취업모는 직장에서 지쳐서 돌아오기 쉽다. 근무시간이 길고, 근무 여건이 적절하지 못할 때 피로감은 더욱 축적된다. 따라서 가정에 돌아온 취업모는 긴장된 직장 생활에서 벗어나 휴식을 원한다. 그러므로 아동 양육에 충실할 수 있는 여분의 에너지가 부족하여, 역시 모성실조와 비슷한 환경이 될 수 있다. 셋째, 취업모는 직장과 가정이라는 이중의 부담을 감당하게 된다. 가사는 아동 양육 이외에도 주부 역할을 요구한다. 이러한 과중한 부담이 아동 양육에 할애할 관심과 노력과 시간까지 빼앗아 가기 쉽다. 이러한 취업모의 환경은 아동 양육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기 때문에, 아동의 여러 특성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취업모 환경이 아동양육의 환경에 전적으로 부적절한 것만은 아니다. 취업모의 경우 아동과 어머니가 분리되어 있는 것 그 자체보다도 취업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양육에 대한 질이 아동양육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된다고 밝히고 있는 연구도 있다. 즉 어머니가 직업을 가짐으로써 자기 직업을 통해 만족하는 경우 자기만족과 행복감으로 아동 양육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취업모의 경우 짧은 시간...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4
발달 [發達, development]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민대기,and Min Dae Kee. "환경적 요인이 아동 성장기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5.2 (2014): 293-304.
허윤미,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쌍둥이 연구>, 서울대학교, 2005.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