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산업혁명시대의 교육의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과 요구되는 인재상
2.1. 초연결성과 인재상
2.2. 불확실성과 인재상
2.3. 인공지능·자동화와 인재상
2.4. 빠른 변화와 인재상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의 특징
3.1. 교육의 형태·방법적 특징
3.1.1. 개인 맞춤형 학습(Adaptive and Personalized Learning)
3.1.2.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3.1.3.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
3.1.4. 크로스오버러닝(crossover learning)
3.1.5. 게임 기반 학습(Game based Learning)
3.2. 교육의 내용적 특징
3.2.1. 창의력의 배양
3.2.2. 비판적 사고능력의 배양
3.2.3. 적응력과 유연성의 배양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거부터 교육은 사회를 지속하게 만드는 핵심 원동력이었고,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삶의 질과 교양 수준을 개선하는 효과적 방법론이었다. 때문에 우리는 변화하는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교육의 발전방향을 예측하고, 그중에서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통제하여 교육이 우리 사회에 유의미한 순기능을 보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현대에는 교육환경에 급진적인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기에, 우리는 그 방향성을 고찰하고 적절한 대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과 요구되는 인재상
2.1. 초연결성과 인재상
뉴스의 전달 매체가 1인 방송 및 개인기자 시대가 도래하여 뉴스가 시민기자, SNS 이용자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달·확산되는 초연결성을 통해 참여민주주의, 생산과정의 민주화 등 새로운 기회가 발생한다. 그러나 동시에 가짜뉴스가 범람하고, 비윤리적 방송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이에 사회적 문제 예방·해결을 위해 비판적 사고능력, 시민정신, 글로벌 사고 등이 부상되었으며, 이에 걸맞는 인재상이 요구되고 있다. 즉, 초연결성은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특성으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력, 시민정신, 글로벌 사고 등의 역량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2. 불확실성과 인재상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하는 시대이다. 이처럼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새로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이 요구되며, 문제해결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을 가진 문제해결력을 보유한 인재상이 필요하다.
과거와 달리 미래사회의 변화 양상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연성과 적응력을 갖춘 인재가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다.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황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상이 요구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기존의 지식과 기술만으로는 미래를 준비하기 어렵다. 이에 평생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상이 필요하다. 개인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적응력이 중요해지면서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평생학습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종합해보면, 불확실성이 증대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평생학습 역량을 갖춘 인재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2.3. 인공지능·자동화와 인재상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인공지능의 고도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면서 단순 노동 분야의 많은 직업들이 기계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의성과 혁신이 요구되는 직업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융합적 사고와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협업 능력과 윤리의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먼저,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가 단순 반복 작업을 대체하게 되면서 창의성과 혁신이 중요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의 습득이 중...
참고 자료
한둥숭,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2016
박수홍,장재혁 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시스템디자인」, 협동조합꿈샘, 2019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017
김대식,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 2017
김귀환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민사, 2013
안병영,김인희, 「교육복지정책론」, 다산출판사, 2009
김윤희, 「4차산업혁명시대의 유아교육방향탐색」,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정용찬, 「빅데이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드림원격평생교육원 : “교육학개론 교안”
KICE, 2016, <제4차 산업혁명, 학교 교육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NIA, 2017,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방향>, Special Report 2017-11
KERIS,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준비하기(초등)>, 교육자료 TM 2017-56-1
한국교육개발원, 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학교의 미래>
한둥숭 저,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2016
박수홍, 장재혁 외 8명 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시스템디자인, 협동조합꿈샘, 2019
이선영 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017
김대식 저,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