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0대와 통하는 스포츠 이야기 줄거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스포츠 내에서의 성차별
2.1. 영화 《빌리진 킹; 세기의 대결》에 나타난 스포츠 내 성차별 문제
2.2. 스포츠 세계에서의 성차별 양상
2.3. 스포츠 세계에서 성차별의 원인
2.4. 스포츠 세계에서 성차별 극복의 해결방안
3. 스포츠 문화 내 폭력 문제
3.1. 영화 《4등》에 나타난 스포츠 폭력의 문제
3.2. 스포츠 폭력의 실태와 사례
3.3. 스포츠 폭력의 근절을 위한 대책
4. 청소년 게임문화의 분석과 이해
4.1. 게임의 종류 및 특성
4.2. 청소년 게임문화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
4.3. 청소년기 발달 특성과 게임문화의 관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스포츠 속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은 남녀간의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더욱 확연하게 드러난다.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뛰어난 운동능력을 보이는데, 이는 신체구조와 운동능력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며 생물학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러한 "남녀간의 차이"를 "차별"로 정당화하는 것을 "스포츠에서의 성차별"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빌리진 킹; 세기의 대결》은 남녀평등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자리 잡지 않은 시대에서 성별에 대한 차별에 맞서 싸우는 여성 테니스 선수 '빌리진 킹'의 삶을 다루고 있다. 이 영화를 통해 당시 시대상과 남녀평등을 향한 빌리진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스포츠 속에서의 성차별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시대가 변함에 따라 남녀평등을 넘어 역차별까지 벌어지고 있는 최근의 분위기와도 비교해보며 남녀평등의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다"이다.
2. 스포츠 내에서의 성차별
2.1. 영화 《빌리진 킹; 세기의 대결》에 나타난 스포츠 내 성차별 문제
영화 《빌리진 킹; 세기의 대결》에 나타난 스포츠 내 성차별 문제는 다음과 같다.
영화는 초반부터 문제점을 두드러지게 제시한다. 주인공 빌리진 킹이 남성과 여성의 대회 우승 상금이 8배나 차이 나는 것이 불공평하다고 테니스협회장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즉, 본 영화가 제시하는 문제는 스포츠 안에서의 '성평등'이라 할 수 있다.
영화의 주인공 빌리진 킹은 남성우월주의자인 바비 릭스와 경기를 하며 성 평등의식을 고착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경기의 전후 주변 등장인물의 대사를 보면, 당시 미국이 남성우월주의적 행동과 발언에 얼마나 자연스러운지 알 수 있다. 마가렛과 바비의 성 대결 중계 장면 중 바비가 마가렛을 압도하는 장면에서, 해설위원은 "아까도 말했듯이 여자가 테니스를 못 친다는 게 아닙니다. 심리적으로 약하다는 거죠. (중략) 오늘 보셨듯이 여자는 남자를 못 이겨요. 사업, 정치, 스포츠 어느 분야에서도 최고의 자리는 항상 남자 몫이죠."라 말한다. 마가렛이 패하자 이들은 바로 '여성은 어떠한 분야에서도 남성을 이길 수 없다'고 일반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보아 이 영화에서 나타나는 스포츠의 문제는 임금대우, 전통적인 성 역할에 고착된 사람들의 인식, 성별에 따른 능력 평가, 대중 미디어에서의 차별 등으로 할 수 있다. 즉, '성차별'이라고 할 수 있다.
2.2. 스포츠 세계에서의 성차별 양상
스포츠 세계에서의 성차별 양상은 다음과 같다"
성적 수치심을 야기하는 질책, 지도자 임용 시 남성 우대, 복장과 화장에 간섭, 보상과 보너스 차이, 여성의 생리적·심리적 특성을 이해하지 않고 훈련, 대회에서 남자부 중심으로 진행 등이 대표적인 성차별 양상이다". 이러한 양상은 주로 남성 지도자와 여성 선수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며, 언어 및 신체적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성적 비하, 여성성 강조에서 성차별이 잘 드러난다". 특히 본 영화의 시작에서부터 제시된 남녀 대회 우승상금의 차이는 대표적인 성차별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3. 스포츠 세계에서 성차별의 원인
스포츠 세계에서 성차별의 원인은 첫째, 남성 스포츠의 지배적 경향으로 인해 여성 스포츠가 상대적으로 차별받고 있기 때문이다"" 남자 종목이 인기도와 선호도가 높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둘째, 전통적인 가부장적 관리체계로 인해 남성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 정책, 미디어에서의 주된 내용, 체육계 지도층 등이 모두 남성이 주를 이루다 보니 이것 또한 성차별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셋째, 여성 선수 스스로 소극적인 행동을 하고 수동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
참고 자료
논문
박현우, 나영옥. "스포츠세계에서 성차별의 양태와 극복에서 제약 연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1.1 (2013): 77-95.
이혁기. "스포츠영화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의 전개구조와 이데올로기적 담론."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2. (2018): 267-280.
주동진, 박문석, 김성일. "여성스포츠경기에서의 인권: 性(sex)의 차이와 차별." 한국스포츠학회지, 18.1 (2020):611-622.
뉴스
이현택 기자. “英 EPL 축구캐스터, 딸 친구와 바람나 암투병 조강지처 떠나”, 중앙일보, 2016.10.01.
https://news.joins.com/article/20662519
영상(강의)
스포츠문화 8, 9주차 강의
논문
김현수.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정책 분석과 개선방향 : (성)폭력 피해구제와 보호를 중심으로."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8.3 (2020): 67-83.
전상완, 이종하. "영화 <4등>을 통해 본 한국 스포츠폭력 문화의 실상 고찰." 한국스포츠학회 17.1 (2019): 829-838.
조흡. "[영화이야기] 〈4등〉 : 의지의 승리와 상징적 폭력." 대한토목학회지 64.7 (2016): 51-53.
뉴스
김영은 기자. “"담뱃불로 지지고, 끓는 물 붓고" 中 뒤집은 체육계 폭력 사건”. 아시아경제, 2021년 3월 17일,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31710455927494
류형근 기자. “'체벌·언어폭력' 순천 모 여고 운동부 지도자 자격정지 2년”. 뉴시스, 2021년 3월 26일,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26_0001384428&cID=10201&pID=10200
소해준 칼럼니스트. “[소해준의 스포츠 멘탈코칭] 스포츠 폭력, 발생 원인과 근절 방안”, 스포츠Q, 2021년 3월 23일, http://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814
이준규 기자. “[단독]코로나로 훈련 줄었지만 체육계 폭력은 '진행형'”. 노컷뉴스, 2021년 3월 12일,
https://www.nocutnews.co.kr/news/5514705
영상(강의)
스포츠문화 3,4주차 강의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 조사 , 2022.04.18. 한국콘텐츠진흥원 보도자료 “건전하게 게임 즐기는 이용자 10년간 지속 증가”
신순영, 김창석 컴퓨터 게임의 이용행태가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02, vol.5, no.2, pp. 79-90 (12 pages)
https://namu.wiki/w/%EA%B8%B0%EB%8A%A5%EC%84%B1%20%EA%B2%8C%EC%9E%84 (나무위키 기능성게임 최근 수정 시각: 2023-06-04 03:56:15)
SportsW 스포츠산업 미디어/게임 임가을 기자 기사승인 : 2022-01-28 12:07:51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2021년 한국 게임이용자 조사' 결과 발표
정의준 '게임이용자패널 4차 연도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