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심부전은 심장질환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상당수의 환자에서 예후가 좋지 않고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갑자기 호흡곤란이 심각해져 응급진료센터를 방문하거나 입원하는 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높다"." 심부전 환자는 심장이 점차 기능을 잃으면서 폐나 다른 조직으로 혈액이 모이는 질환을 앓고 있다. 심장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서 혈액을 심장 밖으로 충분히 내보내지 못하면 심장에 혈액이 고이게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혈액이 폐나 간 등 다른 기관으로 역류하기도 한다. 심장에서 필요한 양의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므로 심장에서 생산해서 내보내는 산소와 영양분이 신체가 요구하는 만큼 충분하지 못하고, 따라서 체내 곳곳에서 혈액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2. 증례 개요
2.1.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남자이며 56세의 나이이다. 입원 당시 혈액형은 Rh+A형이었고, 입원일은 2021년 1월 24일이었다. 정보 제공자는 본인이었으며, 진단명은 울혈성심부전이었다. 입원경로는 응급실이었고, 입원방법은 차량을 통해 입원했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혈압 150/90 mmHg, 맥박 105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5°C였다. 신장은 170.6 cm, 체중은 78.9 kg이었다. 입원 동기는 2주 전부터 생긴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내원한 환자로, 흉부 X선 결과 심비대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전날 저녁 호흡곤란이 더 심해져서 응급실을 통해 입원했다.
2.2. 입원 경과
입원 경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주전부터 생긴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 입원 당일 저녁 더욱 심해진 호흡곤란으로 인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135/90 mmHg, 맥박 105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5℃였고, 흉부 X-ray 결과 심비대 소견이 관찰되었다. 입원 후 1일차 활력징후는 혈압 130/8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수 22회/분, 체온 36.5℃였으며, 2일차에는 혈압 110/70 mmHg, 맥박 95회/분, 호흡 수 20회/분, 체온 36.5℃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3일차에는 혈압 115/78 mmHg, 맥박 100회/분, 호흡 수 24회/분, 체온 36.5℃였으며, 4일차에는 혈압 113/75 mmHg, 맥박 95회/분, 호흡 수 22회/분, 체온 36.2℃로 안정화되었다. 입원기간 동안 산소요법과 함께 이뇨제, 강심제 등의 약물치료가 병행되었으며, 흉막삼출액 배출을 위해 좌측 흉막천자가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전해질 불균형과 감염 위험, 낙상 위험 등의 문제들이 있었지만 약물요법과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3. 이론적 배경
3.1. 심부전의 정의
심부전은 심장이 점차 기능을 잃으면서 폐나 다른 조직으로 혈액이 모이는 질환이다"" 심장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서 혈액을 심장 밖으로 충분히 내보내지 못하면 심장에 혈액이 고이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혈액이 폐나 간 등 다른 기관으로 역류하기도 한다"" 심장에서 필요한 양의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므로 심장에서 생산해서 내보내는 산소와 영양분이 신체가 요구하는 만큼 충분하지 못하고, 따라서 체내 곳곳에서 혈액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3.2. 심부전의 원인
심부전의 주요 원인은 심근병증, 선천성 심질환,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한 심근경색증, 고혈압성 위기를 포함한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심근염, 폐고혈압, 류마티스성 심질환, 판막질환 등이다""
심부전을 촉진시키는 원인으로는 빈혈, 세균성 심내막염, 부정맥, 과혈량증, 갑상선 중독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영양결핍,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파제트병, 폐색전 등이 있다""
빈혈은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감소로 인해 조직의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심박출량 증가를 자극하여 심장의 작업량을 증가시키고 좌심실 크기를 증가시킨다""
세균성 심내막염은 감염으로 인해 대사요구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판막 기능부전을 유발한다""
부정맥은 심박출량 감소, 심근조직의 작업량과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킨다""
과혈량증은 우심실의 체액과부하를 유발하는 전부하를 증가시킨다""
갑상선 중독증은 조직대사율 변화로 심박수와 심장의 작업량을 증가시킨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간접적으로 죽상경화증 증가의 소인이 되며 심한 경우 심근수축력을 감소시킨다""
감염은 조직의 산소요구량 증가로 심박출량 증가를 자극하고
영양결핍은 심근질량과 심근수축력 감소로 심장기능을 떨어뜨린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잦은 야간무호흡으로 인한 폐압력 증가, 간헐적인 저산소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