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e스포츠의 개념과 역사
1.1. e스포츠의 정의와 특징
e스포츠는 "electronics sports"의 약자로 전자오락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e스포츠는 일반적인 스포츠와는 달리 육체적인 능력보다는 정신적인 능력 위주로 펼쳐나가는 경향이 있다. 과거의 전자오락은 말 그대로 오락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으나 1990년대 이후 게임 산업이 급격히 발달하고 이를 전문 직업으로 하는 프로게이머가 등장하면서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또한 발달하였고 이 과정에서 e스포츠라는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1.2. e스포츠의 태동과 발전
1.2.1. 한국의 e스포츠 태동과 발전
한국의 e스포츠는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을 e스포츠의 종주국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e스포츠의 종주국은 미국이다.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와 같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던 게임들은 모두 미국 회사들이 개발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전자오락은 과거 단순한 오락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으나, 1990년대 후반 게임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프로게이머라는 새로운 직업이 등장했고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본격적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시작되었으며,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IT 산업을 중심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e스포츠 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인기를 얻으면서 임요환, 이윤열, 박정석 등 e스포츠계의 아이콘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프로팀들이 우후죽순 늘어났고 프로리그도 확대되었으며, 2008년에는 광안리 프로리그에 절정을 이루었다.
한편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들의 투자 감소로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위기를 맞았고, 이어진 승부조작 사건으로 많은 타격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는 결국 2012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등장한 리그오브레전드는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e스포츠의 화려한 부활을 이끌었다. 페이커, 매드라이프, 벵기 등 롤계의 새로운 아이콘들이 등장했고, 한국 e스포츠팀들이 롤드컵에서 6번이나 우승하면서 한국이 e스포츠의 패권을 쥐고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해냈다.
이처럼 한국의 e스포츠는 스타크래프트 시대를 거쳐 리그오브레전드 시대로 넘어가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왔다. 비록 일시적인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새로운 게임의 등장과 선수들의 활약, 그리고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e스포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해왔다고 할 수 있다.
1.2.2. e스포츠의 쇠퇴와 부활
이렇게 스타크래프트를 필두로 한 한국의 e스포츠의 발전은 미국발 리만 브라더스 사태로 인해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 투자하였던 대기업들의 투자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한국의 e스포츠 몰락의 불씨를 남기게 되었다. 이후 유럽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 미국의 야구 그 외의 농구 등 승부조작 사건이 전 세계로 퍼지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도 피해갈 수 없었다.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의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많은 프로게임팀과 게이머들에게 투자를 하고 있었던 대기업들이 발을 빼게 되었고 이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존폐를 결정짓는 수준까지 다다르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