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입원과 관련된 불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입원과 관련된 불안
1.1. 입원 시 대상자의 불안
1.2. 불안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1.3. 보호자 교육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1. 고체온 사정
2.2. 해열 및 수분 공급
2.3. 탈수 예방
2.4. 열 상승 요인 관리
3. 음주, 흡연과 관련된 건강관리
3.1. 금연 및 금주 교육
3.2. 건강한 생활습관 증진
4. 활동 제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4.1. 병원 내 여가활동 제공
4.2. 정서적 지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입원과 관련된 불안
1.1. 입원 시 대상자의 불안
대상자는 입원 당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주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는 "엄마 집에 가자.", "(보호자)아이가 의사 선생님을 무서워해요.", "(보호자)우리 애가 입원은 처음이라서 더 그러는 거 같아요."라고 말하며 입원에 따른 불안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객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대상자가 항상 엄마를 찾고 엄마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며 울고 보채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의료진이 보이면 무서워하며 더 울고 보채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38개월의 영유아기 대상자는 낯선 병원 환경과 의료진들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불안은 애착 대상인 엄마와 떨어져있고 익숙하지 않은 의료기구와 절차들에 대한 두려움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입원 시 대상자가 겪는 이러한 불안은 환자의 건강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불안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불안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처치실에서만 불안을 유발하는 처치를 시행하고, 병실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의료진이 방문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병실 내에 귀여운 소품을 두고, 엄마와 함께 좋아하는 동요를 듣거나 영상을 보는 등 편안한 분위기를 만든다. 청진기나 가운 등에 인형을 부착하여 친근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병실은 안전한 곳이라고 인지하여 병실 내에서의 불안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대상자의 선호하고 익숙한 물건을 가져와 갖고 있도록 한다. 애착 인형이나 집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가 좋아하는 물건을 병원에 가져와 갖고 있도록 한다."
셋째,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대상자와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 눈을 마주치고 경청하는 태도로 대화하며, 대상자의 감정을 비판하지 않고 수용적인 자세를 보인다. 또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대상자의 걱정과 불안을 파악하고, 일관된 태도로 대하여 혼란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와의 긍정적인 라포 형성을 도모한다."
넷째, 대상자와 자주 접촉하며 놀이를 통해 라포를 형성한다. 청진기나 주사기와 같은 의료기구로 병원 놀이를 하며 대상자와 친밀감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간호사를 친숙하게 느끼고, 불안이 감소될 수 있다."
다섯째, 대상자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처치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처치 전 시범을 보이고, 직접 만져보게 하는 등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안내한다. 이를 통해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낮출 수 있다."
1.3. 보호자 교육
보호자 교육은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보호자는 대상자와의 신뢰 관계에서 큰 역할을 하므로, 대상자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특성과 발달단계를 설명하여, 대상자의 불안 행동이 정상적인 반응임을 이해시킨다. 예를 들어 학령전기 아동의 경우 낯선 환경과 상황에서 불안해하며 보호자와의 분리를 힘들어하는 것은 발달 특성상 당연한 것이므로, 보호자가 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간호사는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을 교육한다. 보호자가 대상자와 함께 있어주고, 대상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수용해주는 등의 방법으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특히 아동의 경우 주 양육자인 보호자가 함께 있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므...
참고 자료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2019). 현문사. Susan Rowen James. 박호란 옮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2019). 수문사. 이수연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학술자료: 『입원아동-간호사의 신뢰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2014).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분당서울대병원.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0 No. 1, p.1-11. 최연주 외
학술자료:『Minimizing pediatric healthcare-induced anxiety and trauma』(2016). World Journal Clinical Pediatrics. 8; 5(2): p.143–150. Julie L Lerwick.
윤희옥 외 공역. 아동간호학1, 현문사
약학정보원
박은영 외 공역(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Patricia A.Potter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메디컬사이언스
박충선 외 9명,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2017)
윤희옥 외 9명, 『아동간호학Ⅱ』, 현문사(2016)
김미예 외 15명,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2014)
방경숙 외, 『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2018)
정용선 외.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MEG GULANICK JUDITH L. MYERS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3판.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