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적이 있다 한국어 교수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속담 교육의 필요성과 유의점
1.1. 속담 교육의 필요성
1.2. 속담 교육 시 유의점
2. 속담 교수학습 지도안
2.1. 수업 개요
2.2. 수업 전개
2.3. 수업 정리 및 평가
3. 관용표현의 특성과 교육 방안
3.1. 관용표현의 개념
3.2. 관용표현 교육의 필요성
3.3. 관용표현 교수방법
4.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
4.1. 학습대상
4.2. 목적과 기능
4.3. 제작 의도와 목표
4.4. 구현 매체
4.5. 기타 고려사항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속담 교육의 필요성과 유의점
1.1. 속담 교육의 필요성
속담 교육의 필요성은 속담이 오랜 생활 체험에서 얻어진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구 나 문장으로, 언어 공유자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이 담겨 있어서 한국의 문화를 쉽게 접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속담이 독특한 의미구조, 수사적 기교를 지니고 있어서 학습자에게 있어서 속담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가 있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다양한 한국어 표현 자료를 제공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속담 교육이 필요하다.
1.2. 속담 교육 시 유의점
속담 교육 시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특성을 다룰 때 속담에 반영된 문화가 한국 전체 문화를 항상 대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속담은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다른 지역이나 계층의 문화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속담이 한국 문화를 대변한다고 일반화하기보다는 특정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속담이 조선 시대 평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다른 나라 문화와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 속담은 특정 시기와 계층의 문화적 맥락에서 생성된 것이므로, 이를 보편적인 한국 문화로 간주하여 다른 문화와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셋째, 속담에 반영된 문화적 가치가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과거에는 중요했던 가치가 현재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새로운 가치가 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속담을 교육할 때는 역사적 맥락을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가 속담의 의미와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속담 교수학습 지도안
2.1. 수업 개요
이 수업에서는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라는 속담을 중심으로 중급 학습자들에게 속담의 의미와 활용법을 교수하고자 한다. 먼저 속담 교육의 필요성 및 유의점을 설명한 뒤, 수업 개요, 수업 전개, 수업 정리 및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업 개요에서는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이 수업의 목적과 방향성을 명확히 한다. 이를 토대로 수업 전개 단계에서는 속담의 개념과 의미를 설명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화권의 유사한 표현을 찾아보는 활동을 진행한다. 또한 실생활 상황에서 속담을 적용해보는 역할극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정리 및 평가 단계에서는 오늘 배운 속담의 의미와 활용방안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다른 속담에 대해 알아보는 과제를 제시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한다.".
2.2. 수업 전개
모둠별로 수업 전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속담이란 무엇인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속담은 오랜 생활 체험에서 얻어진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구 나 문장으로, 언어 공유자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이 담겨 있어 한국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고, 독특한 의미 구조와 수사적 기교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알고 있는 한국 속담과 그 의미를 자유롭게 발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술은 물보다 싸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 갚는다' 등의 속담과 그 의미를 공유하게 한다"
이어서 '윗물이 맑아야 아래물이 맑다'의 의미에 대해 자유롭게 발표하도록 한다. 이 속담은 윗사람이 모...
참고 자료
원은영ㆍ이경아(2017), 관용어와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여, 도서출판 참
김원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김나영(2008), 영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속담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 문화연구
박영순(2004),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어 1, 한국문화사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태학사
박영순(2007),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임지룡(1992),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조수진(2010),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김준기·김향숙(2003), 현대국어 관용어 연구, 한국문화사
국립국어원
좋은글, 좋은 말을 위한 우리말 활용 사전
배움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