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전통무용 작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전통문화의 가치창조 - 한국무용의 가치창조 및 활용방안
1.1. 서론
1.1.1. 들어가는 글
1.1.2. 한국무용의 개념
1.2. 본론
1.2.1. 한국무용의 가치
1.2.2. 한국무용의 OSMU 사례
1.2.3. 한국무용 가치창조의 어려움 및 문제점
1.2.4. 한국무용 OSMU 방향 제안
1.3. 결론
1.3.1. 마치는 글
2. 한국무용 - 한국 춤이 소재나 주제로 활용된 공연예술
2.1. 서론
2.2. 본론
2.2.1. 전통무용의 정의
2.2.2. 선구자로 불리는 최승희
2.2.3. VR을 통한 최승희의 무용 복원노력
2.2.4. 재현을 통한 최승희 다시보기
2.2.5. 이영란과 석예빈의 공통점, 그 안에 공연예술학적 가치
2.3. 결론
3. 차범석의 <창극>
3.1. 차범석의 소개
3.2. 차범석의 <산불>
3.3. <창극>에 대한 분석
3.4. 가상 인터뷰 - 점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전통문화의 가치창조 - 한국무용의 가치창조 및 활용방안
1.1. 서론
1.1.1. 들어가는 글
세계는 지금 '한류열풍(韓流烈風)'의 시기에 있다. 여기서 '한류'란 대한민국의 대중적인 문화가 외국에서도 유행하고 관심을 얻는 것이다. 1996년 중국으로 수출된 한국드라마를 시작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으며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인 '한류'에 '열풍'이란 단어가 더해져 하나의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신조어로 부상했다. 본격적으로 2002년부터 "겨울연가"를 비롯한 한국 드라마들이 일본,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며 지금은 한류스타로 불리는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k-pop열풍이 불고, 한국의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또한 한국의 다른 문화들도 알고 싶어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는 외국인에게 새로운 트렌드가 된 한류문화 속에 한국에서 이전부터 내려온 전통이 점점 사라지고, 대중화 된 한류만 남게 되는 것은 진정으로 한국을 알리는 한류가 아닐 것이다.
1.1.2. 한국무용의 개념
한국무용이란 "넓게는 한국적 미형식과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발생한 모든 종류의 무용"을 일컫는다. 실제로 한국무용은 서양의 발레와 구분되는 특징이 있는데, 서양의 발레가 발끝으로 서서 안무를 하는 반면 한국무용은 발뒤꿈치부터 누르듯한 모양새를 보이며 겸손함을 드러내는 굴신동작이 특징이다. 이처럼 한국무용은 한국의 배려와 은근, 한의 정서 및 한국의 문화양식과 고려와 조선의 사상이 바탕이 된 유교의 정서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창작무용은 전통무용의 형식이나 현대무용의 형식을 토대로 새롭게 창작되는 무용으로, 이를 통해 한국무용의 가치창조 및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1.2. 본론
1.2.1. 한국무용의 가치
한국무용은 아름다움 몸짓 안에 한국의 전통, 정서, 문화가 다 담겨있다. '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는 서민사회에서 자연 발생한 민중 놀이로, 양반들로부터 박대를 당해 마을에서 공연하는 것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서민층에서 발생하여 서민들을 위해 공연된 놀이로, 당시 사회에서 천대받던 한과 양반사회의 부도덕성을 놀이를 통해서 비판하며 풀고, 민중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역사가 춤에 담겨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겸손과 배려와 예의를 강조하는 정서도 한국무용에 담겨있다. 외국인들에게 우리 한국을 소개할 때 이것이 우리의 춤이라고 보여주면 한 나라의 문화를 수박 겉핥기식으로 접하는 것밖에 안 된다. 한 나라의 문화를 배우려면 그 나라의 역사적 배경 및 정서와 그 정서에 따른 문화를 배우며 연결이 되어야 진정으로 배울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이 잘 되는 것이 바로 한국무용이다.
대표적으로 한국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곡선미가 한국무용에 포함되어 있다. 한국의 대표적 의복인 한복은 직선형태의 딱딱한 느낌이 아니라 한복의 저고리의 소매부분과 치마 부분이 부드럽게 곡선으로 되어있어 부드러움과 따듯함을 준다. 이러한 곡선미는 한국의 정과 부드러움을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또 다른 문화인 한옥도 지붕이 곡선으로 나열되어 있어 안정적이고 따듯한 느낌을 준다. 한국무용도 대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로 안무가 이루어져 있다.
언어와 한국무용도 연결시킬 수 있다. 한국은 중국에서 들어온 유교사상을 바탕이 되어있다. 유교의 대표적인 것은 '인. 의. 예. 지. 신'이다. 간략히 말하면 예의를 중시하고 절제하고 겸손한 정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의 문화는 영미권에 비해 정말 두드러지게 차이가 난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인은 도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과장하지 않고 소박성을 가진 민족이다. 한국무용의 곱고 아름다운 자태는 절제함에 있어 품격과 절도를 보여준다.
또한 한국무용은 호흡으로 안무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를 단전으로 모아 호흡을 하며 춤을 추는데 대체적으로 밑으로 누르는 느낌이다. 나 자신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숙이는 듯한 느낌으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은 한국의 정서를 춤으로 아름답게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정서에는 '한'을 빼놓을 수 없다. 한은 응어리라고도 표현할 수 있으며 정의를 내리자면 욕구나 의지의 좌절과 그에 따르는 삶의 파국 등과 그에 처한 편집적이고 강박적인 마음의 자세와 상처가 의식, 무의식적으로 얽힌 복합체를 가리키는 민간 용어이다. 이러한 역사 가운데 생긴 한의 정서를 이해하고 한국무용에 담긴 한을 본다면 역사와 한국인의 정서와 더불어 한국무용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한국무용으로는 '살풀이 춤'이 있다.
한국무용 안에는 한국의 전통, 정서, 역사, 문화 등 다양한 것이 연결되어 포함되어 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말처럼 한국무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한국 전통문화가 정말 다양하다. 한국무용이야 말로 높은 가치가 담겨있는 한국의 보물이라 할 수 있다.
1.2.2. 한국무용의 OSMU 사례
현재 한류의 대표가수라 하면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를 소개할 수 있다. 그 중 BTS는 2018년 멜론 뮤직어워드에서 한국무용을 OSMU하여 한국의 전통문화도 홍보하고, 그 가치를 통해 대중들의 마음도 사로잡은 사례가 있었다. 바로 공연에서 BTS의 노래 IDOL노래를 국악버전으로 편곡한 뒤 3개의 북을 아름다운 몸짓으로 치는 삼고무와 부채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요소를 더한 부채춤과 한국의 흥과 해학이 들어있는 탈춤을 바탕으로 전통스러운 댄스동작과 국악기와 함께 퍼포먼스를 펼쳤다. 단지 전통무용이었으면 요즘 시대에는 눈길을 사로잡기보다 지루했을 텐데 현대의 노래와 현대 춤과 적절히 배합하여 k-pop을 통해 한국의 전통을 알린 이 사례야 말로 가치창조를 제대로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방송사 Mnet에서 방영한 '댄싱9'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장르의 무용가들이 대결을 통해 우승자를 가리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무용에 대한 대중화를 높였을 뿐더러 '무용'이라는 예술에 대한 접근성도 높여주었다. 이어서 댄싱9 출연자 일부가 '무용10년'이라는 공연을 펼쳤는데 1월 10~12일 5회 공연 모두 매진을 하였다. 이것은 무용을 주제로 한 콘텐츠로 인해 대중화되었고, 팬덤이 형성되었다는...
참고 자료
민필원. 『한류열풍 속 대중문화를 통한 아시아 선교의 가능성』, 성경과 신학 64, no.0 (2012): 65-87.
이기청. 한국무용, 『학문명백과』, 형설출판사(2014)
박미영.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무용의 한恨과 신명神明 연구』,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 no.1 (2017): 137-157
이창식. 『한국의 전통문화유산』, 월인, 2018, 307.308.321쪽
정옥조. 『웰빙시대의 무용 트렌드와 전망』,(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권5호,2012년),181-197
김혜련. 『한국무용 한류 화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 결정요인 탐색: 데이터 마이닝 기반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 no.1 (2019): 17-29.
100년의 전설 최승희, ‘리틀 최승희’ 석예빈을 통해 부활한다, 인재후, 서울경제, 2017.03.30.
한류의 원조 ‘최승희 무용’ VR 콘텐츠 개발 연구 – 쟁강춤을 중심으로-, 이영란,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 52집 pp.9-29, 2021.
최승희 무용 <장구춤> VR 콘텐츠 개발 연구, 이영란, 우리춤과 과학기술 54, pp.9-24.
식민지기 여성의 해외체험과 세계 인식의 재편 가능성 – 최승희를 중심으로-, 성현경, 반교어문연구 61권 0호, 2022, pp.161-190.
신무용 위상의 논쟁에 관한 소고: 신무용 90년을 맞이하여, 김선미,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26권 제3호, 2017, pp.876-879.
무형문화유산의 사적(私的) 보호의 한계- 전통무용 ‘삼고무’의 사유화 논란에 비추어 -, 서재권, 정보법학 23권 2호, 2019, pp.183-207.
무형문화재 ‘전통무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재고찰, 김선정·최해리, 한국무용과학회지 39권 3호, 2022, pp.79-92.
김향(2004) 차범석의 <산불>퍼포먼스 연구>
자료출처-차범석. 작성자 희망목포>
이승희(2006) 1960년대 차범석 희곡 연구 . 한국극예술학회. 한국극예술연구>
자료출처-네이버백과사전>
자료출처-위키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