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문화-한국무용의 가치창조
- 최초 등록일
- 2020.12.18
- 최종 저작일
- 2020.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참고용으로 잘 활용하여 좋은 레포트 만드세요~!
목차
Ⅰ서론
1. 들어가는 글
2. 한국무용의 개념
Ⅱ본론
1. 한국무용의 가치
2. 한국무용의 OSMU 사례
3. 한국무용 가치창조의 어려움 및 문제점
4. 한국무용 OSMU 방향 제안
Ⅲ결론
1. 마치는 글
본문내용
1. 들어가는 글
세계는 지금 ‘한류열풍(韓流烈風)’의 시기에 있다. 여기서 ‘한류’란 대한민국의 대중적인 문화가 외국에서도 유행하고 관심을 얻는 것이다. 1996년 중국으로 수출된 한국드라마를 시작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으며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인 ‘한류’에 ‘열풍’이란 단어가 더해져 하나의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신조어로 부상했다. 본격적으로 2002년부터 “겨울연가”를 비롯한 한국 드라마들이 일본,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며 지금은 한류스타로 불리는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k-pop열풍이 불고, 한국의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또한 한국의 다른 문화들도 알고 싶어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는 외국인에게 새로운 트렌드가 된 한류문화 속에 한국에서 이전부터 내려온 전통이 점점 사라지고, 대중화 된 한류만 남게 되는 것은 진정으로 한국을 알리는 한류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전통과 대중성을 동시에 잡아 오래가고 튼튼한 한류문화 즉 가치창조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보존이 되는 콘텐츠로 한국을 널리 알릴 수 있게 만들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답변으로 ‘한국무용’을 주목해보자.
2. 한국무용의 개념
한국무용이란 넓게는 한국적 미형식과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발생한 모든 종류의 무용을 일컫는다.(김혜련,2019,p.18) 실제로 한국무용을 배워본 입장으로 한국무용의 특징을 소개하자면 서양의 발레의 경우 발동작이 발끝으로 서서 안무를 하게 되고, 호흡도 위로 솟는 반면, 한국무용은 발동작이 발뒤꿈치부터 누르는 듯 한 모양이고, 겸손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굴신동작을 통해 누르듯이 발동작이 이루어진다. 서양에 비해 정적이고, 의상도 노출되지 않고 가리는 특성을 가진 한국무용은 한국의 배려와 은근, 한의 정서 및 한국의 문화양식과 고려와 조선의 사상이 바탕이 된 유교의 정서가 춤에도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민필원. 『한류열풍 속 대중문화를 통한 아시아 선교의 가능성』, 성경과 신학 64, no.0 (2012): 65-87.
이기청. 한국무용, 『학문명백과』, 형설출판사(2014)
박미영.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무용의 한恨과 신명神明 연구』,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 no.1 (2017): 137-157
이창식. 『한국의 전통문화유산』, 월인, 2018, 307.308.321쪽
정옥조. 『웰빙시대의 무용 트렌드와 전망』,(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권5호,2012년),181-197
김혜련. 『한국무용 한류 화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 결정요인 탐색: 데이터 마이닝 기반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 no.1 (2019):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