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복강경 담낭절제술
1.1. 목적 및 적응증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목적은 담즙의 주성분인 콜레스테롤의 결정화와 담낭의 구조적 이상으로 발생한 담석을 제거하는 것이다. 한번 발생한 담석은 시간이 지날수록 결석의 크기와 개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담석급통증이나 담관급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담석의 지속적인 물리적 자극으로 만성 담낭염이 유발되어 식후 명치부위 또는 우상복부 불편감, 소화불량, 위식도역류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담석 제거와 만성 담낭염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관리가 필요하며, 그중에서도 담낭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복부에 작은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미용상 장점이 있으며,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일찍 직장에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개복 수술에 비해 술기 습득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담도나 십이지장 등의 장기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증상 담석증 중 담석이 3cm 이상이거나, 담낭 벽에 용종이나 비후 소견, 석회화 소견이 있는 경우, 다른 수술을 위해 개복할 때 등에서 담낭절제술이 필요하다. 둘째, 급성 담낭염의 경우 즉각적인 담낭절제술이 필요하다. 셋째, 증상이 있는 만성 담낭염 환자에서도 담낭절제술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한편, 개복 담낭절제술은 심한 염증 반응이나 주위 조직과의 유착, 출혈 및 담도 손상, 악성 종양 의심 등 복강경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된다.
1.2. 수술 준비물 및 방법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위해 사용되는 준비물 및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술에 필요한 장비로는 복강경 및 비디오 카메라, 영상장치, 조명장치, 탄산가스 주입기, 흡입 세척기, bovie 전기소작기 또는 레이저 등이 사용된다. 수술 기구로는 트로카, 포셉 및 그래스핑 기구, 박리기, 가위, Endoloop와 EndoGIA 등이 준비된다.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전신마취를 실시한다. 배꼽 아래 약 1cm 절개를 하고 Veress 침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복강 내 시야를 확보한 후, 10mm 크기의 첫 번째 트로카를 삽입하고 복강경을 삽입하여 복강 내 장기를 관찰한다. 이후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트로카를 각각 10mm, 5mm, 5mm 크기로 추가 설치한다.
담낭의 저부에 클램프를 채운 후 forcep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담낭관을 부분 절개한다. 이어서 cystic duct artery, cystic bile duct의 근위부를 clipping하고 절개한다. 복강경으로 관찰하며 전기소작기를 이용하여 담낭 주위를 박리하고 담낭관과 담낭동맥을 박리한다. 철저한 지혈 후 normal saline으로 세척하고 담낭을 배꼽관을 통해 제거한 뒤 상처를 봉합하여 수술을 마무리한다.
1.3. 수술 전·후 간호
수술 전 간호에는 영양을 보충하고 호흡운동방법을 교육하며 수술 후의 처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포함된다. 수술 후 간호에서는 폐 환기를 촉진하고 비위관 배액을 관리하며 영양을 증진시키고 안위를 제공하는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수술 전 간호 활동으로는 수술 전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호흡운동법을 교육하며 수술 후 처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있다.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해 적절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심호흡과 기침 등의 호흡운동법을 익히게 함으로써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에 힘쓴다. 또한 수술 후 삽입될 비위관이나 배액관 등의 처치에 대해 환자에게 미리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수술 후 간호에서는 폐 환기 증진, 비위관 배액 관리, 영양 섭취 증진, 안위 제공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체위 변경, 심호흡 및 기침 유도, 진통제 투여 등을 통해 폐 환기를 촉진하고, 비위관의 배액량을 정확히 측정하며 누출 여부를 관찰한다. 초기에는 경정맥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다가 경구 섭취가 가능해지면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하여 영양 상태를 개선한다. 또한 통증 조절, 구강 간호, 보행 격려 등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안위를 도모한다.
이와 같이 수술 전후 간호는 합병증 예방과 회복 증진을 목표로 하며,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하고 개별화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가능한 간호진단
가능한 간호진단은 수술실 환경과 관련된 수술중 저체온 위험이다. 이것은 수술 전 1시간에서 수술 후 24시간까지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는 36도 이하로 심부체온이 우연히 하강할 위험에 취약한 상태를 의미한다.""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는 환자는 수술실 환경으로 인해 저체온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수술실은 실내 온도가 차갑고 수술 중 노출된 체표면적이 넓어지면서 체온의 하강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수술 전 1시간부터 수술 후 24시간 동안 심부체온이 36도 이하로 떨어질 위험이 높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러한 저체온 위험을 사정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 위암
2.1. 정의 및 구조
위암은 위 점막상피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크게 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