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1.1. 정의 및 목적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는 동맥혈 가스 분석으로, 폐와 조직의 산소화 능력 및 상태, 폐의 환기 능력 및 상태, 산-염기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이다. 급성 질환 및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할 때, 인공 호흡기를 사용할 때, COPD와 같은 폐질환을 평가할 때, 혈중 전해질 수준을 알고자 할 때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1.2. ABGA 구성요소와 정상범위
ABGA 구성요소와 정상범위는 다음과 같다.
pH는 혈액의 산-염기 균형을 나타내는 수소 이온 농도를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7.35~7.45이다. pH가 7.35 미만이면 산증, 7.45 초과이면 알칼리증을 나타낸다.
PaCO2는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35~45mmHg이다. PaCO2가 45mmHg 초과이면 호흡성 산증, 35mmHg 미만이면 호흡성 알칼리증을 나타낸다.
HCO3-는 중탄산염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22~26mEq/L이다. HCO3-가 22mEq/L 미만이면 대사성 산증, 26mEq/L 초과이면 대사성 알칼리증을 나타낸다.
PaO2는 동맥혈 산소 분압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80-100mmHg이다. PaO2가 80mmHg 미만이면 저산소혈증, 60mmHg 미만이면 저산소증에 의한 혐기성 대사과정 증가로 대사성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SaO2는 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95~100%이다. SaO2가 95% 미만이면 저산소혈증을 의미한다.
BE(Base Excess)는 혈액의 염기 과잉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2~-2mEq/L이다. BE가 음의 값이면 대사성 산증, 양의 값이면 대사성 알칼리증을 나타낸다.
1.3. ABGA 해석 절차
1.3.1. pH 사정
pH 사정은 ABGA 해석의 첫 단계로, 동맥혈의 pH 수준을 확인하여 산-염기 평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정상 pH 범위는 7.35~7.45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산증(acidosis) 또는 알칼리증(alkalosis)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H가 7.35 미만인 경우 산증에 해당하며, 이는 수소 이온(H+) 농도가 증가한 상태를 의미한다. 수소 이온은 산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므로, pH가 낮아지면 산성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pH가 7.45를 초과하면 알칼리증에 해당하며, 수소 이온 농도가 감소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처럼 pH 수치를 통해 산-염기 균형의 기본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pH만으로는 그 원인이 호흡기 문제인지 대사성 문제인지 구분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으로 PaCO2와 HCO3-를 확인해야 한다.
1.3.2. PaCO2 사정
PaCO2는 폐의 환기 효율을 일차적으로 반영하는 지표이다. 정상범위는 35~45mmHg이다. PaCO2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환기 장애를 의미한다. PaCO2가 45mmHg를 초과하면 호흡성 산증이 발생하고, 35mmHg 미만이면 호흡성 알칼리증이 발생한다.
PaCO2는 폐에서의 이산화탄소 제거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PaCO2가 증가하면 과소환기 상태, 즉 호흡성 산증을 의미한다. 이는 COPD, 신경근 질환, 호흡 중추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한 호흡 저하로 발생할 수 있다. 반면 PaCO2가 감소하면 과대환기 상태, 즉 호흡성 알칼리증을 의미한다. 이는 저산소성 혈증, 폐 확장의 부전, 호흡 중추의 화학적 자극 등으로 인한 호흡 과다로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