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립중앙도서관의 역사와 현황
1.1. 국립중앙도서관의 개요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의 모든 문헌을 수집, 정리, 보존하며 이를 국민에게 열람시켜 조사·연구·학습·교양·레크리에이션 기타 사회교육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개관한 국가중앙도서관이다. 최근에는 국립중앙도서관 앱 서비스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손안의 도서관 운영 등 정보서비스 실현을 위해 힘쓰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 시대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며 나아갈 수 있도록 국립중앙도서관은 더 많은 변화를 꿈꾸고 있다. 이런 변화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은 5개년 발전계획안을 세워놓고 있다. 또한 시대변화에 부응하여 종이매체에서 전자매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풍부한 장서를 구축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손안의 도서관' 운영 등 고도의 정보서비스 실현을 위해 힘쓰고 있다.
1.2. 공간과 시설 및 접근성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 10월 15일 서울시 중구 소공동에서 개관하였다. 이후 1974년 남산으로 이전하였다가 1988년 5월 서초구 반포대로 201로 현재의 위치로 확장 이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현재 위치는 서초구 반포대로 201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조달청, 서초 경찰서 등의 기관이 있고 건너편에는 성모병원이 위치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공간은 서가 6층, 7층 규모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서관 운영위원회실 등의 업무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접근성은 낮은 편이다. 서초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지만, 도서관을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의 경우 도서관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도서관을 찾기 위해서는 뚜렷한 목적의식이 필요하며, 고속터미널역에서 도서관을 가리키는 표지판이나 안내가 부족하여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또한 고속터미널역에서 상당한 거리를 걸어야 하고 언덕이 있어 노인이나 장애인 등 노약자의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1.3. 조직과 인력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직은 관장 아래 기획연수부, 자료관리부, 디지털자료운영부 등의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 관장은 학력 및 경력 등 측면에서 문헌정보학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았다. 현재 관장인 임원선 관장의 경우에도 행정학과 법학을 전공했으며, 이전 관장인 권경상 관장도 공학을 전공했었다. 이는 국내 대표 도서관의 최고 책임자가 문헌정보학 전공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아쉬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직원 현황을 보면, 전체 직원 수는 582명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기획연수부, 자료관리부, 디지털자료운영부 등의 부서에 소속되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관장을 비롯한 고위직 관리자들은 주로 행정고시 출신들이며, 사서직 직원들은 문헌정보학 전공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관장의 경우 출신 배경이 문헌정보학과와 거리가 멀다는 점은 국내 대표 도서관의 최고 책임자로서 전문성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1.4. 예산
국립중앙도서관의 예산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2013년을 기준으로 볼 때, 국립중앙도서관의 총 예산 578억 3,700만 원 중 도서관 자료 확충비로 59억 7,800만 원(10.3%)을 사용하고, 디지털정보자원 확충비로 57억 8,600만 원(10.0%)을 사용하여 총 자료구입비에 117억 6,400만 원(20.3%)의 예산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 장서 확충과 디지털정보자원 구축에 상당 부분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산 내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서관 자료 확충을 위해서는 납본, 구입, 기증, 교환, 자체생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그 중 납본이 7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기증 9.1%, 구입 8.5%, 교환 4.7%, 자체생산 1.8%의 순이다. 이를 통해 납본제도가 국립중앙도서관 장서 확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디지털정보자원 확충을 위해서는 마이크로필름 제작, 디지털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13년에는 1983년 이전 자료를 중심으로 78종 877책을 마이크로필름화하여 432롤(부본 포함)을 제작하는 등 보존가치가 있는 자료의 디지털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처럼 국립중앙도서관은 방대한 장서 확충과 디지털정보자원 구축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