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Jfet 10vdd"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JFET 바이어스 회로
1.1.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
1.2. JFET 자기 바이어스 회로
1.3. JFET 전압 분배 바이어스 회로
2. MOSFET 바이어스 회로
2.1. 공핍형 MOSFET의 제로 바이어스
2.2. 증가형 MOSFET의 전압 분배 바이어스
3. JFET과 MOSFET 바이어스 회로 실험 결과
4. FET 바이어스 회로의 특성 및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JFET 바이어스 회로
1.1.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는 게이트 전압 VGG를 직접 JFET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게이트-소스 전압 VGS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이 회로에서는 게이트 전류 IG가 0이기 때문에 게이트 저항 RG에 걸리는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VG는 -VGG가 되어 VGS와 같아진다.
이러한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는 BJT의 고정 바이어스 회로와 달리 게이트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강하가 0V가 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압 VG는 -VGG와 같아지고, 게이트-소스 전압 VGS는 -VGG로 고정된다.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서 드레인 전류 ID는 쇼클리 방정식에 의해 정의된다. 즉, ID = IDSS(1 - VGS/VP)^2의 관계를 가진다. 이때 VGS가 -VGG로 고정되므로 ID의 값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출력단에서는 VDS = VDD - IDRD의 관계에 따라 드레인-소스 전압 VDS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압 VS는 0V, 드레인 전압 VD는 VDS와 같게 된다.
이처럼 JFET 고정 바이어스 회로는 게이트 전압을 직접 인가하여 VGS를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함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2. JFET 자기 바이어스 회로
JFET 자기 바이어스 회로는 JFET의 소스 단자에 직렬로 저항을 연결하여 바이어스를 형성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두 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JFET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소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S)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자기 바이어스 회로의 직류 해석을 보면, JFET의 게이트 전류(IG)가 0A이므로 게이트 저항(RG)에 걸리는 전압강하도 0V가 된다. 따라서 RG는 단락 회로로 대치할 수 있다. JFET에서는 드레인 전류(ID)가 소스 전류(IS)와 같으므로, VGS는 ID*RS의 관계식으로 표현된다.
이 관계식을 쇼클리 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된다:
ID = IDSS(1 + ID*RS/VP)^2
여기서 IDSS는 JF...
참고 자료
Wikipedia" 'JFET 회로’
전자 회로 제 11판” by R. L. Boylestad/L. Nashels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