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호흡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호흡부전은 허파꽈리(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이다.
이러한 급성호흡부전의 병태생리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환기부전(ventilatory failure)이다. 관류(혈류공급)는 정상이나 환기가 비정상적인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허파나 흉벽의 구조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결함, 호흡근의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흉곽내압이 적절하게 변화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둘째, 산소화부전(oxygenation failure)이다. 이는 흉곽압이 정상이고, 허파의 공기유입(폐 환기)도 정상적이나 허파순환이 적절하지 못하여 가스교환이 불충분한 상태이다. 즉, 환기는 정상이나 관류가 비정상인 환기-관류 불균형의 결과로 나타난다. 셋째, 환기와 산소화부전 혼합이다. 이는 환기와 산소화가 모두 저하된 상태로서 저산소혈증이 심한 경우이다. 이러한 병태생리의 결과로 폐포에 들어오는 산소가 충분하지 못하고, 탄산가스는 배출되지 못하여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1.2. 원인 분류
급성호흡부전의 원인은 저산소혈성 호흡부전과 고탄산혈성 호흡부전으로 구분된다"" 저산소혈성 호흡부전의 원인에는 급성 폐외상, 성인 호흡장애증후군, 그리고 기흉 등이 있다"" 고탄산혈성 호흡부전의 원인에는 과소환기, 비만, 가로막 피로 등의 신경계 호흡중추 장애, 그리고 중증근무력증 등이 있다""
1.3. 임상증상
급성호흡부전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호흡기계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빠른 호흡, 호흡 시 보조근육 사용, 거품소리(악설음, 수포음), 썩썩거림(천명음), 호흡음 감소, 흡기·호기 시 그렁그렁(협착음, stridor), 기침 및 분비물 증가, 좌식호흡 등이 나타난다. 신경계 증상으로는 지남력 상실, 각성 어려움, 졸음(고탄산혈성 호흡부전), 불안, 혼동, 근육연축(muscle twitching) 등이 나타난다. 그 외 심장계 증상으로 빠른맥, 부정맥, 심실변위, 발한, 고혈압 또는 저혈압 등이 관찰된다. 방사선 검사 소견으로는 폐침윤, 무기폐, 공기가슴증(기흉) 등이 나타나며, 때로는 정상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급성호흡부전의 임상증상은 환기부전, 산소화부전, 환기와 산소화부전 혼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환기부전이 있는 경우 호흡곤란, 빠른 호흡, 호흡보조근육 사용, 호흡음 감소 등이 관찰된다. 산소화부전이 있는 경우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청색증, 발한, 불안, 혼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환기와 산소화부전이 모두 있는 경우 저산소혈증이 더욱 심각해져 호흡곤란, 빠른 호흡, 천명음, 저혈압 등이 동반된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침윤, 무기폐, 기흉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1.4. 치료와 간호
급성호흡부전의 치료와 간호는 다음과 같다.
치료의 목적은 저산소혈증과 호흡산증을 교정하며, 원인질환을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먼저 호흡횟수와 양상의 변화, 폐음의 변화,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의 증상과 징후, 산소포화도의 감소 등을 사정한다. 산소화 상태를 적절하게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가스분석이 필요하다.
산소요법으로 동맥혈산소포화도를 95% 이상, 동맥혈산소분압을 80 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동맥혈산소분압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기계적 환기를 실시한다. 또한 허파꽈리 환기를 증가시키거나 중탄산염을 투여하여 산증을 치료한다.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 유도심상법, 기분전환법 등을 시도한다.
기도를 개방하고 가스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은 전신적 또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흡입기와 약물 사용법, 심호흡과 기타 호흡운동방법을 교육한다. 그러나 치료가 적절하지 않으면 빠른호흡을 지속하다가 결국 호흡근 피로에 의한 환기저하가 발생하면서 저산소혈증이 악화된다. 이 경우 폐 성심, 자연기흉, 호흡산증, 이산화탄소 혼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급성호흡부전이 약물과량에 의한 경우는 예후가 좋지만, 패혈증과 관련된 경우는 예후가 좋지 않다.간호사는 급성호흡부전 환자의 치료와 간호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환자의 호흡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를 신속히 파악한다. 호흡수, 호흡양상, 폐음 등을 확인하고 동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