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이클 포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케팅론의 산업구조 분석
1.1. 현재 시장 내 경쟁
1.2.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1.3. 대체재의 위협
1.4. 구매자의 교섭력
1.5. 공급자의 교섭력
1.6. 샴푸바 시장에 대한 시사점
2. 마이클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
2.1. 저비용전략
2.2. 차별화전략
2.3. 집중전략
2.4. 본원적 전략의 수행에 필요한 사항
3. 마이클 포터의 Activity System
3.1. 공급자(Suppliers)
3.2. 잠재적 진입자(New Entrants)
3.3. 대체재(Substitutes)
3.4. 구매자(Buyers)
3.5. 경쟁사(Rivalry)
3.6. Activity System 분석의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케팅론의 산업구조 분석
1.1. 현재 시장 내 경쟁
최근 사람들이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학원료를 적게 사용하고 자연에 가까운 성분으로 만든 제품들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 플라스틱 폐기물 감소를 위한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운동의 일환으로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 샴푸바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따라서 샴푸바 시장은 환경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 변화로 새롭게 떠오르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샴푸바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고객들로, 제품의 친환경성을 중요한 구매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이에 샴푸바 업체들은 제품의 친환경성을 적극 부각시켜 고객들에게 환경보호에 동참한다는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줄 필요가 있다.
1.2.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샴푸바 시장은 크게 남다른 기술력이 필요한 영역이 아니라 진입장벽이 낮다. 그리고 비슷한 원료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들로는 차별화를 주기에는 한계가 있어 브랜드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해놓지 않았을 시(예를 들어 특정한 기능성 비누를 생산하거나 패키지를 특별하게 하는 것) 새롭게 시장에 뛰어든 사업체에 쉽게 자리를 뺏길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즉, 샴푸바 시장에는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이 높다고 할 수 있다.
1.3. 대체재의 위협
샴푸바가 아직 보편화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는 것에 관심이 없는 고객들은 기존의 플라스틱통에 든 대중화된 형태의 샴푸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이유뿐만이 아니라 요즘은 가는 모, 억센 모 등 모발별로 제품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되어 나오기도 하며, 탈모 방지같은 기능성 샴푸도 많아지는 추세라 샴푸바만의 장점을 내세우는 게 쉽지 않다. 또한 샴푸와 바디워시의 기능을 묶은 상품도 있어 간편한 것을 좋아하는 고객은 샴푸바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요즘엔 커스터마이즈 샴푸도 출시되어, 자신이 원하는 색과 향기에 자신만의 문구를 넣어 제작하는 것도 가능해서 특별한 것을 찾는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샴푸바만의 특별한 특징을 살려서 마케팅 해야한다."
1.4. 구매자의 교섭력
샴푸바 시장에서 구매자의 교섭력은 낮은 편이다."구매자의 협상력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샴푸 시장에서 샴푸바 외에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샴푸 제품군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샴푸바 시장만 놓고 보면 선택의 폭이 넓다고 할 수 없다. 아직 샴푸바를 판매하는 브랜드가 많지 않아 구매자의 선택권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샴푸바 브랜드는 영국의 '러쉬(Lush)'이며, 그 외에는 아로마티카, 동구밭 등의 신생 업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샴푸바 시장에서 구매자의 교섭력은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1.5. 공급자의 교섭력
샴푸바의 원료를 생산하는 회사는 너무 종류가 다양해서 교섭력이 높다 낮다 쉽게 말하기 힘들지만 대체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렌시아라는 브랜드의 '고그린헤어샴푸바'는 보성 녹차, 동백오일, 티트리오일로 혼합하여 만든 고체 샴푸인데, 보성 녹차나 동백오일과 티트리오일 같은 재료들은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운 재료가 아니다. 그런 원료들을 판매하는 업체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급자의 교섭력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원료를 다른 회사들과 다르게 특별한 방법으로 가공할 수 있다면 그 공급자의 교섭력을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상품으로 대체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샴푸바를 제외하고서라도 대부분의 샴푸바 원료들은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공급자의 교섭력은 높지 않다.
1.6. 샴푸바 시장에 대한 시사점
샴푸바 시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샴푸바 시장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시장이다. 제로웨이스트(zero waste)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한 샴푸바는 쓰레기를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샴푸바 업계에 진출할 경우 제품의 친환경성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자신이 환경 보호에 동참하고 있다는 연대의식을 느낄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둘째, 샴푸바 시장은 아직 브랜드가 많지 않은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에 자신만의 확고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색상을 내거나 특정 고객군을 겨냥한 제품을 개발하는 등 차별화된 특징을 만들어내야 한다. 이를 통해 시장 진입 후에도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하더라도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지켜갈 수 있다.
셋째, 샴푸바 시장에서는 플라스틱 통 샴푸, 기능성 샴푸, 간편한 2-in-1 제품 등 다양한 대체재가 존재한다. 따라서 샴푸바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 예를 들어 제로웨이...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https://blog.naver.com/okayboomer/221988013146
https://ok-bmr.tistory.com/2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https://blog.naver.com/miso03845/22138162691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cao&logNo=50176361794
설빙 경쟁력:https://blog.naver.com/kchldydtjr/222342409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