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산
1.1. 정의
조산이란 임신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완료된 37주 이전의 분만으로 정의된다. 조산은 20주를 지나 37+0일(259일)까지로 볼 수 있다. 이는 임신기간이 미숙한 상태에서 분만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조산 시 태아는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자연적인 진통과 조기양막파수
자연적인 진통과 조기양막파수는 전체 조산의 약 75%를 차지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자연적인 진통은 자궁 팽창, 모체-태아 스트레스, 조기 자궁경부 변화,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하며, 조기양막파수는 자궁 내 감염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적인 진통과 관련된 주요 위험요인에는 생식기계 감염, 다태임신, 임신 2,3분기 출혈, 태반 경색, 자궁경부 무력증, 양수과다증, 자궁저부 이상, 태아기형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자궁 팽창과 자궁경부 변화를 유발하여 자연진통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조기양막파수의 경우 자궁 내 감염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양막과 양수의 감염은 여러 가지 세균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염은 조기진통과 조기양막파수를 유발할 수 있다. 세균으로 인한 내독소 등의 산물이 탈락막의 단핵구를 자극하여 시토카인을 생산하게 하고, 이는 다시 아라키돈산 및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유도하여 자궁근육 수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자연적인 진통과 조기양막파수는 조산의 주된 원인으로, 이를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2.2. 임신부나 태아의 적응에 의한 조산
약 25%의 조산이 임신부나 태아의 적응에 의한 범주에 포함된다. 이 경우 전치태반(29.9%), 산모의 고혈압(23.6%), 태아사망(23.0%), 선천성 기형(9.8%), 태아절박가사(3.4%), 자궁내성장지연, 태반조기박리 순으로 원인이 나타났다.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착상하여 임신 말기에 자궁 경부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출혈과 조기분만의 위험이 크다. 산모의 고혈압은 자궁 내 혈류를 저하시켜 태아성장을 방해하고 조기분만을 유발할 수 있다. 태아사망 또한 조산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선천성 기형이나 태아절박가사 등도 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조산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내성장지연과 태반조기박리 역시 태아와 임신부의 상황에 따라 조산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임신부와 태아 관련 요인들이 조산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2.3. 기타 요인
기타 요인 중 절박유산, 유전적 요인, 융모양막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절박유산은 조산과 관련이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 임신 20주 이전에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발생하는 자궁수축과 출혈을 특징으로 한다. 절박유산은 태아의 생존 가능성을 낮추며, 조산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절박유산의 병력이 있는 임신부는 조산의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 또한 조산과 관련이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조산의 위험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자형이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조산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유전적 요인은 조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마지막으로 융모양막염은 조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융모양막염은 자궁 내 감염으로 인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