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업복지에서사회복지역활에대하여구체적으로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의 개념
3. 역할의 개념
4.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4.1. 생활시설 내 사회복지사
4.2.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4.3. 사회복지전담공무원
4.4. 학교사회복지사
4.5. 의료사회복지사
4.6. 교정복지지사
4.7. 건강가정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론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변화에 대응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사회복지 현장은 근로기준법 미준수, 과다 업무, 욕설·폭행 등으로 인한 직장 스트레스가 극심한 편이다. 또한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외부 환경이 조직에 변화와 적응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조직은 퇴보하게 된다. 사회복지 조직도 이러한 조직 메커니즘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복지 다원주의에 의한 경쟁 개념 도입, 클라이언트 욕구 다양화에 따른 대응 전략, 지식정보화 사회에 따른 조직 환경변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조직과 개인을 연결하는 매개체라는 점에서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개념은 시대와 나라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고 동시에 상이한 정치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사회서비스, 사회복지, 사회사업 등 서로 다른 용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현대적 사회복지의 개념은 사회구성원인 개인이 최소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소득 수준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보건위생과 주택 및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복지사회를 건설 하려는 데서 사회복지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Friedlander는 사회복지는 사회 구성원인 개인과 집단이 그들의 생활과 건강상태를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와 조직적 활동이라고 하였다"" 오늘날 사회복지의 정의는 점점 길어지고 구체화 또는 세분화되어 가는 경향에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설명이 정의로 바뀌거나 사회복지에 대한 설명과 토론에서 용어에 대한 정의를 분명히 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하지 않게 된다""
개인의 필요에 의해서 구성된 사회는 개인의 행복과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그 기능이 하나의 행동유형으로 조직되어 전수됨으로써 사회제도를 만든다"" 가족제도는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가치와 지식을 전수하는 사회 기능을 수행한다"" 국가는 정부 등의 조직을 통해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일정한 규범과 가치를 순응하도록 강제하는 사회통제 기능을 담당한다"" 시장의 기능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나 재화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경제 기능을 맡는다"" 종교조직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깊은 관여와 헌신을 강화하는 사회통합과 영적 개발 기능을 갖는다"" 다양한 사회복지기관과 공공부조는 조직적이고 제도적인 장치를 통해 오늘날 사회복지는 상부상조의 기능을 수행한다""
3. 역할의 개념
역할의 개념은 1930년대 Mead, Moreno, Lintion 등이 학술용어로 사용하면서 많은 학자로부터 개념화되기 시작했다. Goffman은 사회에서의 어떠한 지위에 있는 사람이 보이는 반응으로 역할을 정의하였으며, Biddle & Thomas은 개인행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규정하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Rizzo Et al.은 '사회구조 안에서 직위에 맞는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으로 정의하였다. Kahn은 역할 개념이 '개인과 조직을 연결하는 주요수단'이라고 하면서 개인이 사회 시스템의 구성요소로부터 직...
참고 자료
한국복지정책연구소.(2013).「사회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사의 역할」.서울: 한국사회사업(복지)대학 협의회.
사회복지론 2012, 최일섭·류진석 서울대학교출판부
사회복지실천론,최옥채 지음, 인간과 복지, 2015
김현중, 사회복지 실천론, 시대고시기획, 2013
문영주 (2014).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규수(2006).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출판사.
김상곤(2005).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상황과 복지.
이윤로 외(2005). 의료사회사업론. 학지사
고득영(1994).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