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산쯔얼(쥐 요리), 박쥐탕, 원숭이 골 요리, 곰 발바닥 요리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중국에서 야생동물을 먹는다는 '츠예웨이(吃野味)'라는 말에는 신분 과시용의 우쭐함이 배어 있다. 옛날에는 먹을 것이 없어 야생동물을 잡았지만, 시대가 흐르며 돈 있는 자가 보신을 위해, 또는 새로운 음식을 탐하는 식도락 차원에서 '예웨이(野味)'를 찾아 앞서 말한 요리 외에도 신기한 음식들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현지 시간 기준 3월 18일, 존 코닌 텍사스 상원의원은 '박쥐 수프'를 먹는 동영상 속 중국 여성을 언급하며 "(코로나 19는) 중국에 책임이 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박쥐와 뱀 등을 먹는 식문화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6월 1일 오전 8시경 업데이트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 19 확진자는 6,220,980명이며 이 중 사망자는 373,631명이며,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최초 근원지로 주목받는 중국의 확진자 수는 83,001명, 사망자는 4,634명으로 발생 초기에는 환자 수가 급증해 환자들을 수용할 병원이 부족해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임시 병원을 짓기도 하였으나, 최근 확진자 증가 추세가 급격히 감소하여 5월 말에는 10명 안팎의 확진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 이제 국내에만 국한되는 것들은 큰 의미가 없어졌다. 국내를 넘어 세계로 다양한 문화들이 향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식문화도 빠질 수 없다. 식문화는 일상생활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손꼽히며 그 다양성이 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인류 문명사에서 음식문화는 중요한 영역이며 중국의 경제나 사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그리고 세계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조는 중국의 음식이 세계로 뻗어나간 이유, 그리고 음식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2. 음식 문화의 변화
2.1. 중국 음식의 세계화
중국 음식의 세계화는 약 150년의 역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1850년대 미국의 골드 러시로 인해 2만5천여 명의 중국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최초의 중국식당 'Chow Chows'가 생겼다. 이후 미국인들은 저렴하고 푸짐한 중식에 눈을 뜨게 되었다. 초기의 중국 음식점들은 차이나타운 등에서 주로 중국인을 상대로 팔렸지만, 점차 도시 전체로 확산되었다. 한때 중국 음식은 저급한 이미지와 위생상태, 일부 재료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대중화되지 못했지만, 화교들의 확산과 중국인의 비즈니스 성공으로 인해 대중화에 성공하였다. 동시에 제비집 수프, 샥스핀 요리 등 재료의 희귀성을 강조한 고급화 전략 역시 중국 음식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최근 마라 열풍이 불면서 마라탕이 국내뿐만 아니라 독일, 폴란드, 캐나다, 미국 등 아시아 뿐만 아니라 남미, 북미,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 퍼져나가고 있다. 마라탕은 중국 쓰촨(四川) 러산(樂山)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는 바로 훠궈의 전신이다. 훠궈는 끓는 육수에 육류, 해산물, 채소류 등을 기호에 따라 즉석에서 담가 익혀 먹는 중국식 요리이다. 중국인들은 지역의 기후와 특산품에 따라 훠궈에 들어가는 재료를 다양하게 변형시켰고, 이에 따라 지역마다 고유의 개성을 지닌 훠궈가 탄생했다.
예를 들어 몽골식 훠궈는 양고기와 소고기를 펄펄 끓는 고기 육수에 푹 익혔다가 깨소스에 찍어 먹는다. 쓰촨성 중경 훠궈는 고추와 화지아오 등 맵고 자극적인 향신료를 듬뿍 넣어 매운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대만식 훠궈는 1인용 또는 2-3인용 냄비로 작고 맑은 육수와 매운 육수, 카레, 해산물, 쏸차이, 토마토 육수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이처럼 훠궈는 지역마다 특색을 지니며, 그중에서도 차오산 지역의 훠궈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가장 잘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중국 음식이 세계화 되는 데에는 화교들의 확산, 비즈니스 성공, 재료의 희귀성 강조, 지역별 특성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특히 최근 유행하고 있는 마라탕과 훠궈는 중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그 기원과 지역별 특색을 통해 중국 음식이 세계 속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2.2. 훠궈의 지역별 특성
중국 지방마다 고유의 개성을 지닌 훠궈가 탄생했다. 몽골 스타일의 양고기 샤브샤브는 추운 겨울 큰 냄비에 둘러앉아 먹으면 몸과 마음이 따뜻해지는 훈훈한 음식이다. 매운 마라 훠궈의 원조인 쓰촨성 중경 훠궈는 고추와 화지아오 등 맵고 자극적인 향신료를 넣어 만들어 매운맛이 강하며, 중경의 덥고 습한 날씨에 이열치열로 땀을 빼주며 몸을 건강하게 지켜주는 보양식이다. 중국 내 여러 훠궈와 달리, 대만식 훠궈는 냄비 크기가 작고 맑은 육수와 매운 육수 외에도 다양한 육수를 갖춰 취향에 맞게 골라 먹을 수 있다. 한편 차오산 지역의 훠궈는 부드럽고 싱싱한 소고기와 식감 좋은 소고기 완자를 넣어 보양 음식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잘 맞을 것이다.
3. 음식과 사회의 상호작용
3.1. 음식에 대한 중국 철학의 영향
음식에 대한 중국 철학의 영향은 두드러진다. 중국인들의 식생활에는 음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