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데이터처리와활용 데이터베이스 설계 ER 다이어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
1.1. 만 7세 남자 아동의 평균 몸무게 추정
1.2.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의 개념
2. 췌장암 환자 데이터 분석
2.1.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저장
2.2. 범주형 변수를 factor 형태로 저장
2.3. 수축기 혈압(SBP) 분포 히스토그램
2.4. 수축기 혈압의 중앙값 계산
2.5. 평균 수축기 혈압에 대한 95% 신뢰구간
3.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평균 수축기 혈압 비교
3.1. 귀무가설 정의
3.2. 대립가설 정의
3.3. 이표본 이분산 t-검정 수행
3.4. 가설검정 결과 해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
1.1. 만 7세 남자 아동의 평균 몸무게 추정
만 7세 남자 아동의 평균 몸무게 추정은 모집단인 전체 만 7세 남자 아동의 몸무게 특성을 알기 위해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만 7세 남자 아동 100명을 모집하여 몸무게를 측정하고 그 평균을 계산하였다. 여기서 모집된 만 7세 남자 아동 100명은 표본이며, 이들의 평균 몸무게는 통계량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전체 만 7세 남자 아동의 평균 몸무게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모집단인 전체 만 7세 남자 아동의 평균 몸무게가 모수이고, 표본 100명의 평균 몸무게가 통계량이다.""
1.2.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의 개념
우리가 알고 싶은 대상 전체를 "모집단(population)"이라고 한다. 모집단은 연구나 조사의 대상이 되는 전체 집단을 의미한다.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관측한 특성을 "통계량(statistic)"이라고 한다. 통계량은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값으로, 평균, 분산, 중앙값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을 "모수(parameter)"라고 한다. 모수는 그리스 문자로 표현되며, 모집단 전체의 평균, 분산 등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표본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 7세 남자 아동 전체가 모집단이고, 이 중 100명을 선별하여 관측한 평균 몸무게는 통계량이다. 반면, 만 7세 남자 아동 전체의 실제 평균 몸무게는 모수에 해당한다. 연구자는 표본의 평균 몸무게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실제 평균 몸무게를 추정하게 된다.""
2. 췌장암 환자 데이터 분석
2.1.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저장
바이오통계학 깃허브 웹페이지 https://github.com/biostat81/biostatistics에서 데이터 파일(biostat_ex_data.csv)을 다운로드 받고 R에...
참고 자료
데이터처리와 활용, 심송용 외 4인, KNOU PRESS, 2020
김연희(2019), 데이터베이스개론 2판, 한빛아카데미.
https://draw.io/
바이오통계학(2023) 박서영·김화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통계학개론(2022), 박서영·이기재·이긍희·장영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