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간전증, 제왕절개, 조직관류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간전증의 정의
1.2. 임신 시 고혈압증의 분류
2. 자간전증
2.1. 병태생리
2.2. 위험요인
2.3. 증상
2.4. 자간전증의 분류
2.5. 예측과 예방
2.6. 치료
3. 자간증
3.1. 자간증의 정의
3.2. 증상 및 징후
4. 제왕절개 분만
4.1. 정의
4.2. 수술 유형
4.3. 적응증과 금기증
5. 간호과정
5.1. 간호사정
5.2. 간호진단
5.3. 간호계획 및 중재
5.4.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간전증의 정의
'자간전증(Preeclampsia)'은 혈압이 정상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140/90mmHg 이상으로 혈압이 상승하고, 단백뇨,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혈관 경련성 질환이다. 태반 및 태아로의 혈류공급에 장애가 발생하여 태아의 성장부전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태아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1.2. 임신 시 고혈압증의 분류
임신 시 고혈압증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Pregnancy-induced hypertension)은 임신에 의해 20주 이후 갑작스럽게 발현된 고혈압으로 산후 12주 이내 정상화되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성 고혈압의 유형에는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자간증""이 있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나 부종이 없는 경우를 말하며, 자간전증은 단백뇨나 부종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자간증은 단백뇨나 부종과 함께 발작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만성 고혈압(Coincidental hypertension)은 임신 전 혹은 임신 20주 이전에 140/90mmHg 이상의 고혈압이 존재하며 분만 후에도 지속되는 기존의 만성 고혈압을 의미한다.
임신 악화성 고혈압(Pregnancy-aggravated hypertension)은 임신에 의해 기존의 고혈압이 악화된 경우를 말하며, 중복 자간전증과 중복 자간증으로 구분된다.
일시적 고혈압(Transient hypertension)은 고혈압이 임신중기 이후에 발생하지만 임신에 위협을 주지 않는 가벼운 혈압 상승으로, 분만 후 소실되지만 다음 임신에 재발하기도 한다.
2. 자간전증
2.1. 병태생리
자간전증의 병태생리는 임신 중 생리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요 병리적 요인은 혈관 경련에 의한 관류 저하, 세동맥 수축, 혈관 손상이다.
동맥순환은 임신으로 인해 변화된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방해를 받는다. 혈관의 수축에 의해 혈압이 오르게 되고, 조직 관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신장, 간, 뇌 등 주요 장기들도 손상을 받게 된다. 또한 태반으로의 혈류 공급도 저하되어 태반의 조기 퇴행성 노화와 함께 태아의 성장발육도 지연되게 된다.
혈관 경련은 혈관의 직경을 감소시켜 혈압을 상승 시키고, 신체 모든 조직으로의 혈류량이 감소되어 태반, 신장,간, 뇌와 같은 기관의 기능은 40~60% 정도 감소된다. 이는 혈관의 손상을 초래한다. 혈관내피세포 손상이 일어나 모세혈관 삼투력이 증가되어 알부민 등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여 부종이 발생하고 적혈구 용적률이 증가한다.
감소된 신장 관류는 사구체 여과율을 감소시키며, 사구체의 퇴행성 변화 및 핍뇨를 초래한다. 단백질, 특히 알부민이 소변내로 배출되며 크레아티닌 제거율은 감소하나 BUN,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요산 수치는 증가한다. 나트륨과 수분은 정체된다.
간으로의 관류 감소로 간기능 부전을 초래하여 간성 부종과 피막하 출혈을 유발한다. 또한 RLQ통증을 느끼면 자간증의 전조증상 중 하나로 의심해 봐야 한다.
2.2. 위험요인
자간전증의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부와 다태임부이다. 초임부는 자간전증의 발생 위험이 2-3배 높고, 다태임부는 단태임부에 비해 4-7배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이는 임신에 의한 생리적 변화와 관련이 깊은데, 초임부의 경우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적응이 아직 충분하지 않고, 다태임부는 태반 용적의 증가로 인한 산모의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둘째, 고령 임부와 저연령 임부이다. 20세 이하 및 35세 이상의 임부에서 자간전증의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고령 임부의 경우 기저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저연령 임부는 신체적 성숙이 완전하지 않아 임신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셋째, 과도한 비만이다. 비만 임부는 자간전증 발생 위험이 2-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 증가 등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와 관련된 요인들을 악화시킬 수 있다.
넷째, 가족력이다. 고혈압, 혈관성 질환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자간전증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 자간전증 발생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기존 질환이다. 임부가 고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간전증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질환들은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임신 합병증이...
참고 자료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 l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현문사, 2015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Ⅱ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현문사, 2015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3판』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2013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2020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l,Ⅱ』. 메디컬사이언스, 2019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병원 편』.
KIMS 의약정보센터, https://www.kimsonline.co.kr/
왕희정 외. 여성 모성간호학 II. 제 2판. 서울: 신광출판사; 2018. 495-497 p.
국제간호진단협회 저. 고일선 등역.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제 11판. 서울: 학지사메디컬; 2018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전자간증(자간전증, 임신중독증)[Internet]. 서울. 2018 [cited 2018 2 5]. available from: https://labtestsonline.kr/conditions/preeclampsia
김영환 외. 하지 심부 정맥 혈전증의 진단과 치료: 한국형 진료지침. 대한영상의학회지. 2016;75(4):233-262. 13 p. https://doi.org/10.3348/jksr.2016.75.4.233
구유진 외. 임신 중 고혈압.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1):24-30. 3 p. https://doi.org/10.5124/jkma.2016.59.1.24
Gil Wayne, BSN, RN. Nurselabs. 6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Nursing Care Plans[Internet]. 2016 [cited 2016 9 27]. avilable from: https://nurseslabs.com/pregnancy-induced-hypertension-nursing-care-plans/
네이버백과사전. 정수압[Internet].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666&cid=60408&categoryId=55558
네이버백과사전. 혈장 삼투압Internet].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83902&cid=50314&categoryId=50314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고혈압의 합병증[Internet]. 서울. 2011 [cited 2011 8 30]. available from:: https://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disease_info/dise_sym/view.asp?con_no=48786&page=1&SearchField=&SearchWord=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김혜원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