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텔 감정노동근로자의 스트레스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감정의 정의와 중요성
1.2. 감정노동의 개념 및 확산 배경
2. 감정노동의 특성
2.1. 감정노동의 정의
2.2. 감정노동의 대상자
3. 감정노동자의 부작용과 피해
3.1. 감정소진과 정신적 피해
3.2.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지는 사례
4. 감정노동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4.1. 사용자의 책임
4.2. 소비자의 인식 개선
4.3. 정부의 법적 대응 방안
5. 결론
5.1. 감정노동자 문제 해결을 위한 각계의 노력 필요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감정의 정의와 중요성
감정은 우리 사람이 생활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감정이란 어떠한 현상이나 어떤 일에 대해 일어나는 마음 또는 느끼는 기분을 말한다. 흔히 "사람은 감정 동물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감정은 우리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개인이 느끼는 감정을 억제하거나 통제하며 일상업무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감정은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기업이나 조직이 고객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정노동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정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2. 감정노동의 개념 및 확산 배경
감정노동의 개념 및 확산 배경은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이란 사람을 대하는 일을 할 때,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관계없이 조직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는 감정을 표현하는 노동을 의미한다. 즉, 개인의 실제 감정을 억압하고 조직에서 요구하는 특정 감정을 연기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감정노동은 서비스업, 판매직, 고객응대 직종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구조의 변화로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는 노동자가 증가하면서 감정노동이 확산되었다. 과거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고객을 직접 대면하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감정노동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둘째, 기업들이 고객만족 극대화를 위해 감정노동을 강화하고 있다. 기업은 고객에게 친절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기 위해 직원들에게 무조건적인 친절과 미소 등을 강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정노동이 확산되고 있다.
셋째, 한국 사회의 과도한 경쟁 문화가 감정노동 확산의 배경이 되고 있다. 치열한 삶의 경쟁 속에서 소비자들은 자신이 지불한 대가에 대한 최대치의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배출구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스트레스를 전가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감정노동의 확산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2. 감정노동의 특성
2.1. 감정노동의 정의
감정노동의 정의는 직업에 감정적으로 요구되는 것을 충족하기 위하여 본인의 감정과 표현을 조절하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에는 실제로 느꼈든 또는 느끼지 못하였든 감정 표현에 대한 분석, 의사결정이 포함된다. 즉, 감정을 느끼지만 표현되지 않는 감정을 억압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기업이나 조직이 각 분야에 성공할 수 있도록 고객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느낌을 주기 위해 행해진다.
2.2. 감정노동의 대상자
감정노동의 대상자는 판매나 유통, 음식, 간호 등 서비스업의 노동에서 주로 발생한다. 일반 사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공공기관 업무와 관련된 ...
참고 자료
왕저펑(2018).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현용숙(2018).감정노동자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준규(2014).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혜정(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동아일보(2014,12,19),‘땅콩 회항’과 비교되는 감정노동자 보호 기업들
시사포커스(2014,12,24), 대한민국 '슈퍼 갑질' 온상…이래도 되나?
국제뉴스(2014,10,23), [기고]감정 근로자의 정신건강
스포츠조선(2013,4,30), 프라임베이커리 회장 폭행 논란 '포스코 라면상무' 이어 '빵 회장'
이성종, 「웃다가 병든 사람들, 우리는 감정노동자입니다. 감정노동이 무엇이길래?」 , 『비정규 노동』 97호, 한국비정규노동센터, 2012. 12. 93-95쪽
이명준·신동희·윤간우·한인임·임상혁, 「서비스직 노동자에서 감정노동과 우울증상」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13. 11. 605쪽
이정국, 「재떨이 던져도 멱살 잡아도·····“사랑합니다, 고객님.” 감정노동자의 눈물」, 『한겨레 신문』 , 2011. 9. 15.
「근로기준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21&efYd=20140701#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