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서교육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
3. 전문직 개념
3.1. 전문직의 정의
3.2. 전문직의 구조적 특성
3.3. 전문직의 태도적 특성
4. 사서직의 전문직성
4.1. 전문지식·기술 습득
4.2. 자격 인정제의 확립
4.3. 서비스 공공성과 공익성
4.4. 전문직 단체 구성·운영
4.5. 윤리강령의 제정
4.6. 사회적 공인여부
5. 전문직성 강화 방안
5.1.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확장
5.2. 사서직의 정체성 확립
5.3. 도서관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심장'이자 '대학의 절반'이며, '학술커뮤니케이션의 플랫폼'이다. 대학의 사명은 교육, 연구, 봉사이며,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대학의 사명을 지원하는 핵심기관이자 기본 시설이다. 특히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연구·학술 및 강의·학습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 수많은 지식과 정보가 범람하고 있어 이용자들이 자신에게 적절한 정보를 판단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 교직원과 학생들은 지식정보 서비스기관인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게 되며, 도서관 현장에서의 정보서비스는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인 질의응답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사서는 이용자와 정보를 연결하는 중간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정보자료를 수집, 정리, 보관하며, 적시에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서는 전문성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본 과제에서는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직성을 분석하고 이를 강화할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심장'이자 '대학의 절반'이며, '학술커뮤니케이션의 플랫폼'이다. '대학의 심장'이란 대학에서 지식을 순환시키는 핵심기관이라는 뜻이며, '대학의 절반'이란 14세기 이후 대학과 도서관이 하나의 세트로 간주된 이후, 강의가 이루어지는 단과대학과 장서를 소장하는 도서관은 각각 대학의 절반으로 대학 학문활동의 양대 축으로 발전한다는 뜻이다. '학술커뮤니케이션의 플랫폼'이란 도서관이 대학에서의 연구·교육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며 근간을 이룬다는 뜻이다. 대학의 사명은 교육, 연구, 봉사이다.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대학의 사명을 지원하는 핵심기관이자 기본 시설이다. 이러한 대학의 기본적인 역할 중에서, 대학도서관은 특히 대학의 연구·학술 및 강의·학습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현대에 들어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수많은 지식과 정보가 범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에게 어떠한 지식정보가 적절한지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따라 교직원과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식정보 서비스기관인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도서관 현장에서의 정보서비스는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인 질의응답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사서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와 그들이 요구하는 정보를 연결하는 중간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자료를 수집, 정리, 보관하고, 적시에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3. 전문직 개념
3.1. 전문직의 정의
전문직은 "일반인들이 갖지 못한 고도의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갖추고 일반인이 수행할 수 없는 일을 처리하는 직업"이다. 즉, 전문직은 그 직업이 지식이나 기술적 측면에서 다른 직업 또는 활동과 구별되는 "전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전문직에는 보통 사람이 따라하기 어려운 고도의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며, 이러한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은 상당 기간의 교육과 훈련 및 실습을 통해서만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문직은 단순히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역량이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인증되지 않으면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법률에 전문직의 자격요건을 정하고 그러한 요건에 합당한 교육과 경험을 갖춘 자에게 국가공인자격증을 수여하고 있다.
3.2. 전문직의 구조적 특성
구조적, 외적인 특성으로는 인류와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창조적, 이론적, 체계적 지식과 지적 기술이 필요하며, 전문교육기관의 설립과 장기간의 교육 훈련, 전문인 협회의 창설, 윤리강령의 제정, 전문인으로서의 권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특권, 전문인들이 형성하는 문화와 직업의 상근성이 있어야 한다.
3.3. 전문직의 태도적 특성
전문직의 태도적, 심리적 특성은 자기 직업에 대한 고도의 참여의식과 경제적 보상보다는 내면적·정신적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직업에 대한 의무감, 자기분야의 전문인 협회 또는 단체를 주된 준거집단으로 삼는 자세와 공통 규범, 공중에 대한 봉사의 신념과 가치관, 직업활동에 대한 자율적 규제의 신봉, 자기분야에 대한...
참고 자료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대학도서관운영론 교안
김기영,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접근, 2008, 연세대학교
김세훈,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 200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0756&efYd=20191008&ancYnChk=0#0000 도서관법 시행령[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95681&lsNm=%EB%8F%84%EC%84%9C%EA%B4%80%EB%B2%95+%EC%8B%9C%ED%96%89%EB%A0%B9&bylNo=0003&bylBrNo=00&bylCls=BE&bylEfYd=20170726&bylEfYdYn=Y도서관법 시행령 제4조(사서 등) 사서의 구분과 자격요건[시행 2019. 10. 8.] [대통령령 제30111호, 2019. 10. 8. 일부개정]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95681&lsNm=%EB%8F%84%EC%84%9C%EA%B4%80%EB%B2%95+%EC%8B%9C%ED%96%89%EB%A0%B9&bylNo=0001&bylBrNo=00&bylCls=BE&bylEfYd=20170726&bylEfYdYn=Y 도서관법 시행령[별표1]도서관의 종류별 시설 및 도서관자료의 기준[시행 2019. 10. 8.]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2274&lsId=&chrClsCd=010202&urlMode=lsInfoP#0000 학교도서관 진흥법[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0468&cid=42114&categoryId=42114 [네이버 지식백과] 사서교사 (자격증 사전, SS 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2020.6.12 검색)
http://www.law.go.kr/lsLawLinkInfo.do?lsJoLnkSeq=1002701457&chrClsCd=010202&ancYnChk=0 도서관법 제6조[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95681&lsNm=%EB%8F%84%EC%84%9C%EA%B4%80%EB%B2%95+%EC%8B%9C%ED%96%89%EB%A0%B9&bylNo=0003&bylBrNo=00&bylCls=BE&bylEfYd=20170726&bylEfYdYn=Y 사서의 자격요건[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714 [매일노동뉴스]공공도서관 사서 처우개선, 조례 만들어 풀자(2020.1.29 기사)
http://www.domeri.or.kr/DMR_mailingList/Mailing_View.asp?g_Idx=26020&Page=1&sc=T&st=%EC%A1%B0%EB%A1%80 [대한민국사서공동체도서관] 서울특별시 사서 등의 권익보호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안) 제정 입법예고 안내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45894 [내일신문] 서울시 사서 등 권익보호 조례안, 적용범위 확대해야(2020.4.6 기사)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370918&ref=A [KBSNEWS] 서울시, 국내 최초 공공도서관 사서 처우개선 추진(2020.1.29기사)
https://spsunion.campaignus.me/32 [도서관을 바꾸는 토끼들]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위탁 및 고용실태조사 결과
https://edu.welfare.net/Main.cmd?cmd=centerHistoryInfo&pMode=Info&MENUNO=0 한국사회복지시협회 보수교육센터 보수교육 소개
http://www.law.go.kr/lsLawLinkInfo.do?lsJoLnkSeq=900583641&chrClsCd=010202&ancYnChk=0 [국가법령정보센터]도서관법 제2조(정의)[시행 2020. 6. 4.]
https://blog.naver.com/sstaegyo/221919550409 [네이버 블로그] 송태교이사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역사저널 6편 '아파트 단지내 작은도서관의 재발견'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691&efYd=20160504&ancYnChk=0#0000 [국가법령정보센터]작은 도서관 진흥법 [시행 2018. 8. 22.] [법률 제15368호]
http://www.law.go.kr/LSW/lsRvsRsnListP.do?lsId=011551&chrClsCd=010202&lsRvsGubun=all [국가법령정보센터]작은 도서관 진흥법 제정·개정 이유
http://kiss.kstudy.com.kims.kmu.ac.kr/thesis/thesis-view.asp?key=3765364[Kiss]공공도서관 민간위탁 운영과 도서관 사서 노동실태, 김종진, 윤자호, 홍종윤 (2020. 1)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A%B6%8C%EB%A6%AC&query=%EA%B6%8C%EB%A6%AC&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 [네이버 어학사전] ‘권리’(2020.6.10 검색)
http://www.laborplus.co.kr 김란영, [참여와 혁신], “도서관에 사서가 없다...공공도서관 50곳 사서 0명”, (2019.06.14 작성)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cn=JAKO201413243013992&dbt=JAKO&koi=KISTI1.1003%2FJNL.JAKO201413243013992 [NDSL]김태희, 리상용, “위탁공공도서관사서의계속교육개선방안에대한연구”,(2014. 3. 17 게재)
윤현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서울
서효진. "공공 도서관 방과 후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등학생 영어동화 지도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
송용구.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도입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 비교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