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서 어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 인권 침해 현황
2.1. 학교 내 인권 침해
2.2. 노동 환경 내 인권 침해
3. 청소년 인권 보호를 위한 방안
3.1. 학교 차원의 대응
3.2. 사회 차원의 대응
4. 청소년 인권 보장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청소년들은 갖은 인권 침해의 현장에 놓여 있다. 학교에서는 교사들로부터 언어적 모욕을 듣기 일쑤고 집에서는 부모로부터 체벌당하게 되어 마음 놓을 데가 없어지기도 한다. 근래에는 체벌 자체가 허용되지 않아 학교에서는 신체적인 체벌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언어적 모욕을 하며 청소년들의 인권 침해를 조장하여 체벌과 맞먹을만한 폐해를 일삼기도 한다. 그리고 부모들은 자녀를 예속물로 생각하여 신체적인 체벌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것이다. 아무도 보는 이들이 없으므로 집에서의 언어적인 폭력도 우후죽순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이에 나는 이와 관련하여 지금부터 청소년 인권 침해의 사례들을 언급하고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어른들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에 관해 논리적으로 서술해보고자 한다.
2. 청소년 인권 침해 현황
2.1. 학교 내 인권 침해
학교 내 인권 침해는 학생들의 자유와 권리를 제약하는 여러 가지 사례들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학생들의 두발이나 복장에 대한 규제가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머리 길이나 염색을 제한하거나, 교복 치마 길이가 정해져 있어 이를 어기면 벌점을 주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통제도 심각한데, 등교 시 일괄적으로 휴대전화를 수거하거나 교내에서 사용을 금지하는 학교도 있다""
이 밖에도 학생들의 생리 결석 시 진료확인서를 요구하거나, 연애 적발 시 벌금을 부과하는 등 학생들의 자유와 사생활을 침해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집단행동 참여를 이유로 퇴학 처분을 내리기도 했다""
이러한 학교 내 인권 침...
참고 자료
폭언ㆍ체벌’...청소년 운동선수 인권침해 여전
-2020.04.12., 이투데이-
체벌 줄었다지만…아동·청소년 30%는 부모에 ‘언어 폭력’ 당해
-2021.04.19., 매일경제-
친구들 앞에서 성적 공개... 그것도 ‘체벌’입니다
-2023.11.06., OhmyNews-
이희성, 『노동법』 이화, 2007.
국가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백서, 2020』 국가청소년위원회, 2019.
원선화, 『청소년복지론』, 올리, 2018.
김선호, 『"아직도 두발·속옷·이성교제 규제…심각한 학생 인권 침해"』, 연합뉴수, 2021.
김태훈, 『알바해 본 청소년 45% “노동인권 침해”』, 경향신문,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