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Nanda 당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 선정 동기
1.2. 당뇨병의 구조와 특성
1.3. 병태생리
1.4. 원인과 분류
1.5. 증상과 합병증
1.6. 진단검사
1.7. 치료와 간호
2. 사례보고서
2.1. 간호 정보조사지
2.2. 진단검사
2.3. 임상검사
2.4. 투약 정보
2.5. 간호과정
2.5.1. 간호문제
2.5.2.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 선정 동기
당뇨병은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당뇨환자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스트레스, 음주나 흡연 등의 원인으로 젊은 연령대의 당뇨병 발생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당뇨는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상당히 진행된 이후에야 자각하게 되고 합병증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당뇨병은 단순히 당뇨병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황반변성, 신부전, 당뇨발 등 전신의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만성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건강을 악화시키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만성질환의 발생이 사회·경제적 손실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당뇨의 발병 원인과 종류, 예방법, 진단검사 및 치료법, 적절한 간호와 관리방법에 대해 학습하여 당뇨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당뇨병 환자의 회복과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위해 당뇨병을 사례보고서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1.2. 당뇨병의 구조와 특성
랑게르한스섬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랑게르한스섬은 췌장의 내분비선 구조로, 구형 또는 난원형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자관과 외분비세포들 사이의 공간에 흩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랑게르한스섬은 직경이 100 ~ 200 μm 정도이다. 사람의 이자에는 100만 개 이상의 랑게르한스섬이 있지만, 전체 이자 부피의 1~2% 정도만 차지한다. 랑게르한스섬은 샘꽈리세포 조직과 발생 기원이 같으며, 상피조직에서 파생된다. 각각의 랑게르한스섬에는 샘꽈리세포에 비해 작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세포들이 열을 지어 위치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유공성 모세혈관이 그물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자율신경섬유는 일부 내분비세포 및 혈관과 접해 있다. 대부분의 랑게르한스섬 세포에는 미세한 세포질과립이 있으며, 이들 세포의 미세구조는 분비성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와 유사하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랑게르한스섬 세포들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랑게르한스섬은 섬유로 이루어진 얇은 피막에 의해 주위의 샘꽈리세포 조직과 구별된다."
1.3. 병태생리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작용 결합으로 당뇨병이 발생한다.
인슐린은 정상적으로 하루 40~50단위가 분비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대사를 적절히 조절한다. 인슐린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는 하루 인슐린 양이 실제 부족한 경우이며,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는 인슐린의 절대분비량은 정상이지만 인슐린이 세포에 작용할 때 기능장애를 보이는 경우로 인슐린저항성이라고 한다.
인체가 인슐린저항을 극복할 만큼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한다면 2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인슐린이 부족하면 간은 고혈당증, 고지혈증과 함께 케톤을 생산하고 포도당과 아미노산 흡수가 저하되며 지방조직의 분해로 인해 혈중 유리지방산이 증가한다. 세포에 에너지원이 부족하면 간은 계속 포도당을 생산하여 혈류로 보내므로 고혈당을 더욱 가중시킨다. 근육세포는 에너지원으로 당을 사용하고 당이 부족한 경우 단백질을 분해한다. 아미노산이 근육세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 필요하다. 인슐린이 부족하면 아미노산의 흡수와 단백질의 합성장애로 근육에서 단백질이 이화되고 아미노산은 근육에서 간으로 이동하여 당질신생과정에 이용된다.
1.4. 원인과 분류
당뇨병은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선천적으로 인슐린을 생산하는 랑게르한스섬의 기능에 결함이 있어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으로 유전적인 소질에 기인한다. 주요 원인은 유전적 요인,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바이러스, 자가 면역 이상 등이며, 주로 젊은 연령에서 발병한다. 제1형 당뇨병은 병세의 악화가 빨리 진행되는 급성이며, 마른 편의 어린이에게서 발생률이 높고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잘 일으킨다.
제2형 당뇨병은 연령의 증가나 신체의 비만증으로 인해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거나 그 이용능력의 감퇴(인슐린 저항성)로 인해 발생한다. 유전적인 소인을 가진 사람이 비만, 운동부족,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 고지방·고열량의 식단, 과식, 임신, 외상, 암 등의 환경적 요인에 처하게 될 때 당뇨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나이가 들어가면서 신체의 여러 기관들이 노화하여 혈당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제2형 당뇨병은 대개 40세 이후에 발병하며 만성적으로 완만히 진행된다.
그 밖에도 췌장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감염, 약제, 임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2차성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임신 중에 내당능장애가 발생하거나 처음으로 당뇨병이 발생된 경우를 임신성 당뇨병이라고 한다.
1.5. 증상과 합병증
약한 고혈당에서는 대부분 증상을 느끼지 못하거나 모호하여 당뇨를 지나치기 쉽다. 혈당이 많이 올라가면 다갈, 다뇨의 증상이 있고 체중이 빠지게 된다. 쉽게 피로를 느끼고 의욕이 떨어져 권태감을 호소하는 증상들을 보인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삼투성 이뇨작용과 관련된 다뇨, 야뇨, 삼투성 이뇨로 인한 탈수와 수분 고갈, 이로 인한 저혈압과 빈맥, 다갈, 다식, 체중감소, 피로 등이 있다. 피부 증상으로는 부스럼이 잘 생기고 습진이나 무좀 같은 것이 잘 걸리는데 이것은 감염증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서 곪아도 잘 낫지 않는다. 시력장애로는 망막증, 백내장, 누의 조절 장애 등이 발생하며, 잇몸에서 피의 순환이 나빠져서 잇몸 염증이 일어나고 피가 잘 난다.
합병증은 급성 합병증과 만성 합병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저혈당성 혼수, 고삼투고혈당 비케톤증후군 ...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17),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파주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 2판, 현문사, 서울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권 7th, 현문사, 서울
Kenneth S. Saladin, Robin K. McFarland(2015),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최스미 외(역), 수문사, 파주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증보판, 박은영 외(역), 현문사, 서울
Susan Fickertt Wilson, Jean Foret Giddens(2018), 건강사정6th., 이강이 외(역), 현문사, 서울
세브란스병원, “당뇨”, http://sev.iseverance.com/eye_ent/health_info/nutiritionInfo/nutirition_disease/diabetes/adult/view.asp?con_no=2173. 2020.11.04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2020. 11.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