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병 간호진단 3개 A 사례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
1.2. 제2형 당뇨병의 정의
2. 제2형 당뇨병의 병인 및 병태생리
2.1. 제2형 당뇨병의 병인
2.2. 제2형 당뇨병의 병태생리
2.3. 당화혈색소(HbA1c) 검사
3. 제2형 당뇨병의 임상증상
4. 제2형 당뇨병의 진단검사
4.1. 혈당검사
4.2. 경구 당 부하 검사
5. 제2형 당뇨병의 협력관리
5.1. 운동요법
5.2. 식이요법
5.3. 약물요법
6. 제2형 당뇨병의 치료 및 간호
6.1. 약물요법
6.2. 식이요법
6.3. 운동요법
6.4. 당뇨식이요법 교육
7. 당뇨병의 합병증 -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
7.1. 병태생리와 원인
7.2. 임상증상
7.3. 치료와 간호
8. 사례연구
8.1. 대상자 사정
8.2. 간호과정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장애, 인슐린의 작용 결함 또는 이들과 관련된 만성적인 다기관질환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한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나뉘며, 제2형 당뇨병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1.2. 제2형 당뇨병의 정의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점진적인 인슐린 분비결함으로 발생한 당뇨병이다.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 전체의 90~95%를 차지하며 발병이 느리게 진행되고 중년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자의 ß-세포에서 인슐린분비장애나 인슐린 표적세포막 수용체의 저항 때문에 발생한다.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분비장애가 발생하는 정확한 기전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인슐린저항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제2형 당뇨병은 가족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유전적 소인이 강한 질환으로 간주된다. 인슐린저항을 극복하고 혈중포도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분비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포도당 내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인슐린을 다량으로 분비하여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된 상태로 혈당치를 유지한다. ß-세포에서 요구량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 혈당치가 증가하고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2. 제2형 당뇨병의 병인 및 병태생리
2.1. 제2형 당뇨병의 병인
제2형 당뇨병의 병인은 인슐린 저항성과 점진적인 인슐린 분비결함으로 발생한다"이다.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 전체의 90~95%를 차지하며, 발병이 느리게 진행되고 중년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자의 β-세포에서 인슐린분비장애나 인슐린 표적세포막 수용체의 저항 때문에 발생한다.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분비장애가 발생하는 정확한 기전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인슐린저항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제2형 당뇨병은 가족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유전적 소인이 강한 질환으로 간주된다.
인슐린저항을 극복하고 혈중포도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분비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포도당 내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인슐린을 다량으로 분비하여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된 상태로 혈당치를 유지한다. β-세포에서 요구량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 혈당치가 증가하고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2.2. 제2형 당뇨병의 병태생리
제2형 당뇨병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인슐린 작용 결함에 의해 발생하며, 3가지 주요 문제가 나타난다. 첫째, 포도당 이용이 감소한다. 골격근, 심근, 지방 조직은 포도당 흡수와 이용을 위해 인슐린이 필요하나,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혈액 내 포도당이 남아 고혈당이 된다. 간은 인슐린 없이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할 수 없어 포도당이 증가한다. 또한 β-세포의 포도당 인지능력 저하로 인슐린 분비가 감소한다. 증가된 혈당은 강한 삼투력을 나타내어 세포 탈수를 야기한다.
둘째, 지방 이용이 증가한다. 포도당을 에너지로 사용할 수 없을 때 지방을 이용하게 되며, 지방 대사 과정 중 대사산물로 케톤체를 형성한다. 케톤체는 혈액 내에 축적되어 신장과 폐를 통해 배설되며, 산-염기 균형을 방해하여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셋째, 단백질 이용이 증가한다. 아미노산이 근육세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 필요한데,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단백질 합성이 저해되고 단백질 이화작용이 증가한다. 아미노산은 간으로 이동되어 당질 신생과정에 이용되어 근육소실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포도당, 지방, 단백질 대사에 문제가 발생하여 고혈당, 케톤증, 근육소실 등의 대사 이상이 나타나게 된다.
2.3. 당화혈색소(HbA1c) 검사
당화혈색소(HbA1c) 검사는 최근 의학계에서 당뇨병의 진단 기준은 물론이고 장기적인 혈당 조절의 평가 지표로도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는 검사법이다. 당화혈색소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혈당 평균치, 즉 혈당 조절의 정도를 반영한다. 정상 범위는 4~6%이며,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화혈색소 검사를 통해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혈당 관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제2형 당뇨병의 임상증상
제2형 당뇨병의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천천히 진행되어 합병증이 나타날 때까지 환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제2형 당뇨병 환자가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은 피로, 반복감염, 반복적인 질내 진균감염, 상처치유의 지연, 시력이상 등이다. 이러한 증상은 천천히 진행되어 합병증이 나타날 때까지 환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증상의 원인을 수면부족, 노화 등의 다른 이유로 돌리기도 한다."
4. 제2형 당뇨병의 진단검사
4.1. 혈당검사
혈당검사는 당뇨병의 진단방법 중 하나로써,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법이다. 최근 개정된 진단 기준에 따르면, 공복 혈당(8시간 이상 금식 후 검사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당뇨의 전형적인 증상인 구갈(목마름), 다음, 다뇨 등이 있으면서 시간과 식사 여부에 관계 없이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일 경우에도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이처럼 혈당 측정은 당뇨병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4.2. 경구 당 부하 검사
혈당 검사에서 당뇨병이라고 할 만큼 혈당 수치가 높지는 않으나 정상 범위 또한 아닌 상태를 내당능장애 또는 공복 혈당장애라고 한다. 이러한 당뇨병의 진단이 모호한 경우에는 확진을 위해 경구 당 부하 검사를 하게 된다. 경구 당 부하 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 후 먼저 공복 상태에서 정맥 채혈을 시행한 뒤, 75g의 경구용 포도당을 물 300ml에 섞어서 마신 후 30분 뒤, 60분 뒤, 120분 뒤에 각각 채혈 ...
참고 자료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2020.08.12.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 2020.08.12.
황옥남 외(2016),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김성태 외(2017),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검사수치/ 기초의학/ 성인간호학], Educase
JOYCE M BLACK 외,『성인간호학』, 이영휘 외 공역.정담미디어(2011), pp1160-1206.
Lewis 외,『성인간호학〔하〕』, 신경림 외 공역.현문사(2007), pp430-476.
차봉수, 2018, 『해부,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N성인간호학 내분비』, 정담
이동숙 외, 2014, 『간호과정』, 포널스출판사
박금주 외, 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양선희 외, 2017, 『기본간호학2』, 현문사
원종순,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김금순, 2017, 『성인간호학1,2.』 , 수문사
성미혜, 2018, 『간호과정의 적용』 , 수문사
박금주, 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 계축문화사
가켄 편집부 2010, 『고혈당과 당뇨 정복하기』 , 랜덤하우스
진은희, 김태경 2011, 『간호와 영양』 ,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