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과정 4개, 당뇨 케이스, 당뇨병 케이스, 당뇨병, 당뇨병 CASE, 당뇨병 간호진단, 당뇨 간호진단, Case study 간호진단
- 최초 등록일
- 2021.04.01
- 최종 저작일
- 2020.08
- 4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당뇨 CASE STUDY 입니다.
간호과정은 총 4개로 특히 간호수행 부분을 상세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당뇨 교육에 필요한 교육자료 역시 직접 제작했습니다.
실제로 교수님에게 A+을 받았으며, 피드백 받은 부분을 바탕으로 부족한 점은 첨삭을 마친 상태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1) 질환명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치료
6) 간호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약물 요법
5.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체액 부족
2) 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 조직 관류
3) 지시 불이행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4) 질병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6. 결론 및 제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 략>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체액 부족
주관적 자료
- “어제도 토를 했어.”
- “어지러워..”
- “요즘 부쩍 목이 타네.”
객관적 자료
- 대상자 진단명: Diabetes mellitus Type Ⅱ
- 대상자의 가족력: 대상자와 대상자 어머니/ 아버지를 포함해 남매들까지 모두 당뇨병 있음
- 투약 중인 약물: Aldactone tab. 25mg (이뇨제)/ K-Contin Continus Tab 600mg (혈액대용제)
<중 략>
단기목표
1. 3일 이내에 대상자는 구토를 하는 횟수가 전보다 줄었다고 표현한다.
2. 올바른 수분 섭취에 대한 교육 후 대상자는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말로 설명 할 수 있다.
3. 3일 이내 대상자의 BST 측정치가 250mg/dL 미만으로 측정된다.
4. 7일 이내에 혈액검사 결과, 대상자의 Hb 수치가 정상수치인 12.0~15.0에 해당한다.
장기목표
1. 퇴원 시, 대상자의 요비중 측정치가 정상범위인 1.015~1.025 안에 해당한다.
2. 퇴원 시, 대상자의 활력 징후 측정 결과, 측정치가 안정되고 정상범위에 있다.
참고 자료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2020.08.12.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 2020.08.12.
황옥남 외(2016),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김성태 외(2017),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검사수치/ 기초의학/ 성인간호학], Edu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