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오류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오류 분석
2.1. 오류의 개념
2.2. 오류의 유형
2.2.1. 발음 오류
2.2.2. 문법 오류
2.2.3. 화용 오류
2.3. 오류 분석 절차
3. 오류의 원인
3.1. 모국어 간섭
3.2. 목표어 영향
4. 오류 지도 방안
4.1. 발음 오류 지도
4.2. 문법 오류 지도
4.3. 화용 오류 지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은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정확한 발음과 올바른 문법으로 상황과 맥락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여야 한다. 발음이 정확하지 않으면 발음 오류를, 문법을 바르지 못하게 사용하면 문법 오류를, 상황과 맥락에 맞지 않게 사용하면 화용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오류 판단의 기준으로는 먼저 실수(Mistake)와 오류(Error)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실수는 한 번만 등장하는 단순 오기(誤記)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라 별도의 지도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반해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의 부족으로 무엇이 옳은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일관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즉, 같은 문장에서 1번의 잘못된 표현 이후 수정하여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면 단순 실수로 간주하며 2번 이상의 같은 잘못된 표현을 범하면 오류로 간주하여 지도가 필요하다.
2. 오류 분석
2.1. 오류의 개념
오류의 개념은 학습자 언어를 직접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대상어를 잘못 쓴 사례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체계를 의미한다.""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의 부족으로 무엇이 옳은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일관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이에 반해 실수는 단순한 오기(誤記)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라 별도의 지도가 필요하지 않다.""따라서 오류를 판단할 때는 실수와 오류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한 번의 잘못된 표현 이후 수정하여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면 실수로 간주되며, 두 번 이상 같은 잘못된 표현을 범하면 오류로 간주하여 지도가 필요하다.""
2.2. 오류의 유형
2.2.1. 발음 오류
발음 오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가장 흔하게 겪는 오류 유형 중 하나이다. 발음 오류는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 습관이나 언어적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먼저, 가수 헨리의 사례를 살펴보면, 그는 "버섯"을 "버서"로 발음하였다. 이는 한국어의 /ᅡ/와 /ᅥ/라는 두 모음이 모국어인 언어에는 없어서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음 오류는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아줌마는 헨리가 말한 "버서"를 "벗어"로 오해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헨리가 의도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했다.
이처럼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에서 큰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은 영어나 다른 언어와 달리 독특한 체계를 가지고 있어 학습자들이 습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한국어의 받침 발음도 학습자들에게 큰 과제가 된다. 받침 발음은 대부분의 언어에는 없는 독특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발음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섀도잉(Shadowing) 기법을 통해 원어민의 발음을 반복하여 연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한국어 발음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둘째, 최소대립쌍 연습을 통해 유사한 발음을 변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셋째, 교사나 다른 학습자와의 토론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발음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교사의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다.
발음 오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하지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음 지도를 통해 이러한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1-7주차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고은선(2016),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신영주(2020),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조사 오류 양상과 지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양형원(2021),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오류 양상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세종학당재단 (누리세종학당) – 세종한국어 1, 2 (E-BOOK)
https://nuri.iksi.or.kr/front/cms/contents/layout2/textbooks/contentsList.do
국립국어원 (한국어 기초사전) https://krdict.korean.go.kr/mainAction
강남욱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MBC PLUS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www.mbcplus.com/web/program/contentList.do?programInfoSeq=62
강남욱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신규수 (2014), 제2언어 습득, 한국문화사
임병빈 외(2009), 외국어 어떻게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 이퍼블릭
강남욱, 이슬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자 오류 평가에 대한 연구
김성훈,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