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입 원아 적응 관찰
1.1. 첫째 날 적응 과정
첫째 날 적응 과정에서 해당 신입 원아는 엄마 손을 잡고 등원한 후 엄마와 웃으며 헤어졌다. 교실에 도착하여 장난감을 하나하나 만져보고 피아노도 쳐보는 등 교실을 탐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교실 안에 있는 친구들에게 관심을 보이며 눈을 마주치는 등 적극적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였다. 간식을 먹고 1시간 후 하원하여 첫 등원 적응에 큰 어려움 없이 지냈음을 알 수 있다.
1.2. 둘째 날 적응 과정
둘째 날, AAA는 엄마와 함께 등원하여 자동차 장난감을 만지며 기찻길을 만들기를 시도하였다. 보호자와 조금 떨어져있을 때는 불안한 반응을 보이며 보호자를 찾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AAA는 아직 엄마와 떨어지는 것이 힘들어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교실에 와서는 간식을 먹고 사운드북을 주의 깊게 읽는 등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AAA가 낯선 환경에 서서히 적응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셋째 날 적응 과정
셋째 날 적응 과정에서 AAA는 보호자와 헤어질 때 조금 울음을 터뜨리긴 했지만, 교사가 안고서 달래주었더니 금방 울음을 그치고 안정을 되찾았다. 그리고 친구 aa가 오자 aa에게 웃으며 반갑게 인사해주었다. 이후 aa와 같이 역할놀이활동을 하며 기분 좋게 활동에 참여하였다. 점심을 먹은 후 하원하였다""
1.4. 넷째 날 적응 과정
넷째 날 적응 과정에서 oo는 아직 보호자와 헤어지는 것이 많이 슬픈지 울음을 터뜨리며 헤어졌지만, 교실에서 금방 안정을 찾았다. 콧물이 조금 나오기는 했지만, 친구들과 같이 역할놀이 활동을 하며 기분 좋게 놀이 활동을 하였다. 자동차를 갖고서 자동차 경주를 하기도 하였다. 퍼즐을 맞추다가 잘되지 않는지 금방 맞추기를 포기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처럼 oo는 아직 보호자와 떨어지는 것에 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점차 교실 내에서 안정을 찾으며 또래와의 놀이에도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 잘 적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다섯째 날 적응 과정
다섯째 날 적응 과정에서 AAA는 감기 기운 때문에 컨디션이 좋지 않았지만, 점심을 먹고 난 후에 기분이 좋아졌다고 한다. AAA는 친구들과 함께 리본막대를 들고서 흔들거리며 활동하였고, 친구의 손을 잡고서 교실을 왔다 갔다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교사는 AAA가 감기 기운에도 불구하고 친구들과 기분 좋게 놀이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 안심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1.6. 여섯째 날 적응 과정
여섯째 날 적응 과정은 보호자와 기분 좋게 헤어진 후 교실에 들어온 oo가 씩씩하게 친구들을 둘러보는 모습이었다. 본인이 좋아하는 친구가 없자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들고서 활동을 했으며, 활동을 하다가 본인이 좋아하는 친구가 오자 입을 활짝 올리며 친구에게 인사를 한 뒤, 친구의 손을 잡고서 역할놀이활동을 했다"는 것이다.
oo는 보호자와의 헤어짐에 불안감을 보이지 않고 교실로 씩씩하게 입장하였으며, 친구들을 관심있게 바라보다가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으로 활동을 하는 등 점차 어린이집 적응에 안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소 친구로 지내던 또래가 등원하자 반갑게 인사하며 함께 놀이하는 등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oo가 여섯째 날 어린이집 생활에 점차 익숙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7. 일곱째 날 적응 과정
일곱째 날 적응 과정에서 AAA는 보호자와 기분좋게 헤어진 뒤 교실로 들어와 겉옷을 벗고 양말을 벗는다. 교실에 있는 와플블록을 몇 개 들고 책상에 앉아 와플블록을 조립한 후 교사에게 자신이 만든 것을 보여주며 "짜잔 내가 만들었지"라고 말한다. 또한 남자 친구들에게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여자 친구들에게만 관심을 보인다. 이를 통해 AAA가 점차 교실에 적응하며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고 또래 관계에서도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 여덟째 날 적응 과정
여덟째 날 적응 과정"
oo는 엄마와 기분 좋게 헤어지고 교실에 들어와서 양말을 벗고 피아노 의자에 앉아 피아노를 연주하며 마이크로 노래를 부른다. 이처럼 등원 시 엄마와 인사를 나누고 교실에 들어와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 적응이 잘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실 내에서 피아노 연주와 노래 부르기 등 자발적인 놀이 활동을 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이러한 oo의 행동은 교실 환경에 대한 관심과 적응력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oo는 엄마와 원활하게 헤어지고 교실 내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즐겁게 놀이하는 등 신입 원아로서 어린이집에 적응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도 함께 관찰되어 교사와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2. 기본생활 및 사회성 발달
2.1. 등원 및 하원 시 모습
등원 및 하원 시 모습은 신입 원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중요한 부분이다. 등원 시 아동은 보호자와 함께 어린이집에 도착하며, 이때 낯설음과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동들은 점차 적응하여 보호자와 어린이집 교사의 도움으로 편안하게 등원하는 모습을 보인다.
첫째 날 등원 시 아동은 보호자와 헤어지기 어려워하며 울음을 보인다. 그러나 교실에 들어와 교구와 친구들을 탐색하며 점차 안정을 찾는다. 둘째 날에는 여전히 보호자와 헤어지기 힘들어하지만, 교실에서 간식을 먹고 놀이하며 교사에게 의지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셋째 날 등원 시에는 교사가 아동을 달래주어 울음을 그치고 친구들과 놀이를 즐긴다. 이후 넷째 날, 다섯째 날로 갈수록 보호자와 헤어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