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권도 동기유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태권도의 가치와 교육적 의의
2.1. 태권도의 정신과 교육적 가치
2.2. 태권도 지도자의 역할
3. 태권도 수련 시 동기유발을 위한 지도방법
3.1. 태권도 수련의 가치지향적인 측면
3.2. 인성 및 건강 측면
3.3. 태권도 지도자의 전문성 측면
4. 태권도 수련생 감소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태권도도장 경영전략
4.1. 태권도의 가치
4.2. 태권도 참여동기
4.3. 태권도 중단동기
4.4. 태권도 도장의 역할
4.5. 태권도 도장의 경영 악화 및 수련생 감소 현황
4.6. 태권도 도장의 효과적인 경영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태권도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발전을 거듭해 온 전통 무예로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슬기가 담긴 고유 무예이다. 지금은 전 세계에 보급되어 명실공히 세계적인 무도 스포츠로서 자리 잡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기이다. 태권도는 지속적인 수련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강인한 체력과 굳건한 의지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감과 정확한 판단력을 함양함으로써 자신의 덕으로 예의 바른 태도를 갈고 닦는 행동 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과거 태권도의 나라답게 우리나라에는 수 없이 많은 태권도장이 있었다. 그만큼 태권도는 국민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던 국민 스포츠였다. 하지만 최근 태권도장은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태권도 도장 시설과 교육 내용들은 차츰 수련생이나 학부모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상업적인 스포츠 시설로서의 도장을 생각해 보았을 때, 기존 수련생 유지 및 신규 수련생 모집을 위해 좀 더 효과적인 홍보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련생들이 태권도를 정진하던 중 중도 포기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살펴보면 태권도 도장의 교육, 지도자, 시설 등이 다른 스포츠보다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건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인 태권도 수련 가치에 미루어 보았을 때,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아동들은 정신적 도야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창조적인 민주시민으로서의 인격을 갖출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효와 충을 겸비한 인격자로 성장할 가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는 건강유지와 스트레스 해소,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태권도 수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태권도장 경영의 악화와 수련생 감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나는 본 글을 통해 태권도 수련생 감소 예방을 위한 태권도 도장의 효과적인 경영전략을 논해 보고자 한다.
2. 태권도의 가치와 교육적 의의
2.1. 태권도의 정신과 교육적 가치
태권도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무예로서 신체와 정신, 기술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운동이다. 태권도는 심신 수련을 통해 인격을 도야하고, 타인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운동으로, 신체의 전신을 단련시켜 중요 부위를 무기화할 수 있도록 체계화되어 있다. 또한 태권도는 인간의 정신세계와 육체를 하나로 만들어 주는 교육과정이자, 타인을 공격하고자 하는 근원적인 욕구를 순화시키는 수양과정이다.
태권도의 정신은 예의(禮意), 염치(廉恥), 인내(忍耐), 극기(克己), 백절불굴(百折不屈)의 다섯 가지 원칙에 기반한다. 첫째, 예의는 서로 공경하고 의리를 지키며 도리를 다하는 것이다. 둘째, 염치는 부끄러움을 아는 깨끗한 마음으로 사람의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셋째, 인내는 어려움을 참고 견디어 내는 것이다. 넷째, 극기는 자기 욕구와 욕망을 제어하는 것이다. 다섯째, 백절불굴은 어려움에도 굽히지 않고 바른 것을 지켜내는 것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정신적 원칙은 태권도 수련을 통해 점차 구체화되고 고양된다.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는 신체 단련과 함께 정신적 도야를 중시하는 무도로서 민주시민의 자질을 기르고 인격 완성을 지향한다. 둘째, 태권도 수련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자발적인 학습 의지가 요구되므로 학습의 가치를 지닌다. 셋째, 태권도 수련을 통해 정신력과 의지력을 기르고, 도덕적 행위의 바탕을 형성한다. 넷째, 태권도 수련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험을 구성하고 자기 교육에 기여한다.
이처럼 태권도는 단순한 무술이나 체육 활동을 넘어, 인간 교육과 인격 완성을 지향하는 고유의 철학과 가치를 지닌다. 태권도 수련을 통해 수련자들은 신체적 건강과 기량 향상뿐만 아니라, 예의범절, 자기 통제력, 협동심, 애국심 등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2.2. 태권도 지도자의 역할
태권도 지도자의 역할은 수련자들이 태권도 수련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즉, 태권도의 지도 목적은 태권도를 수단으로 하여 미완성의 인간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이상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태권도 지도자는 태권도의 기술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태권도의 정신과 교육적 가치를 수련자들에게 이해시키고 습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태권도 수련을 통해 수련자들이 강인한 정신력과 체력, 그리고 바른 인격을 갖출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태권도 지도자의 자질은 리더 역할, 사랑, 이론과 실기, 지도내용, 마음자세, 학부모 관리 등의 요인으로 개념화 할 수 있다. 특히 태권도 지도자는 이론과 실기, 사랑, 지도내용, 마음자세, 학부모 관리, 리더 역할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된다.
태권도 지도자는 실천적 교육자, 민주적 사범, 건강모델로서의 사범, 전문성을 갖춘 사범, 헌신적인 사범, 경영관리 능력을 갖춘 자로 정의된다. 태권도장에서 태권도 지도자의 역할은 단순히 기술 지도가 아닌 수련자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적 지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3. 태권도 수련 시 동기유발을 위한 지도방법
3.1. 태권도 수련의 가치지향적인 측면
태권도 수련의 가치지향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다.
태권도는 신체 수련을 매개로 그 의미를 터득할 수 있는데, 기본기술, 품새, 겨루기, 시범 및 격파, 호신술 등의 수련체계를 가지고 있다. 초창기 태권도를 발전시킨 제 1세대 지도자들 중 최홍희(1966)는 태권도가 신체와 정신 그리고 기술을 연결시키는 운동으로서 심신 수련을 통해 인격을 도야하고, 타인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운동이라고 하였다. 태권도는 인격형성을 위한 무도로서 실천적인 인격수양 방법을 내포하고 있어 신체 여러 부위를 단련시켜 중요부위를 무기화 할 수 있고, 인간의 기본체형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동작이 체계화 되어있다.
태권도 수련은 자기 자신의 이성을 스스로 지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격을 긍정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운동이다. 태권도 수련과정 중 유발되는 여러 장면에서 수련생들은 자제력, 인내력, 용기, 양보, 담력, 관용, 미덕 등을 배양시...
참고 자료
경찰대학(1997). 무도교본. 대한문화사. pp.124-127.
국기원(2005). 국기태권도교본. 서울: 오성출판사.
국기원(2006). 태권도교본. 서울: 오성출판사.
국기원(2007). 3급 사범지도자연수원 교본.
김경지(1993). 태권도학 개론. 경운출판사. pp.123-129.
김기홍, 김동규(2007). 태권도의 무도성과 스포츠와의 공존. 한국체육철학회지, 15(1), 35-52.
대한태권도협회(2011). 태권도 경기규칙해설집. 서울: 대한태권도협회.
대한태권도협회(1975). 태권도 교본. 대한태권도협회 출판부. pp.121-131.
양통일(2007). 태권도 품새 지도에 관한 지도 철학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육군사관학교(1996). 무도교본. 육군사관학교 출판부. pp.78-80.
이경명(2000). 한국전통무예의 철학 태권도. 서울: 대원사.
이봉춘(2002).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환(2000). 스포츠지도자의자질에 관한 소고. 한국체육철학회 2000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임관인(2005). 태권도 품새와 태극권 투로의 비교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임태희(2010). 태권도의 인문학적 이해. 용인: 용인대학교출판부.
임태희(2006). 태권도 사범의 자질 요인 중요도 탐색. 체육과학연구. 17(4).
장 권(2010). 한국 태권도 경기사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병환(1999). 가치론의 역사적 조명. 서울: 서광사.
최영렬(2002).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철학과 지도실제 간의 갈등 원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호정(2004).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홍희(1966). 태권도 교본. 서울: 성화문화사.
정상옥,김인성,and 정창영. "태권도수련생 학부모의 승품심사요인에 대한 만족도." 세계태권도학회지 6.0 (2003): 481-528.
http://www.riss.kr/link?id=A76565618
안명일. "태권도 수련 아동의 리더쉽과 사회성."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충청북도
http://www.riss.kr/link?id=T4671582
최수미.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의 구분과 수련생들의 프로그램 선호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2008.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1464011
윤상화,and 김갑수.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활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武禮知修 12.- (2001)
http://www.riss.kr/link?id=A60187577
양진방. "解放以後 韓國 跆拳道의 發展過程과 그 歷史的意義."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大學校, 1986.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3926
양일중. "태권도장의 유품자 교육과정에 관한 조사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0. 서울
http://www.riss.kr/link?id=T7643464
김삼종 ( Sam Jong Kim ),and 고영철 ( Young Chul Ko ). "태권도 체육관 선택시 고려사항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무도학회지 4.1 (2002): 216-239.
http://www.riss.kr/link?id=A75748769
진중의. "태권도 교육의 가치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논문집 6.- (1990): 97-104.
http://www.riss.kr/link?id=A75038190
심재만. "태권도장 수련생들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2007.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1044160
선석령.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과 정신력과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광주
http://www.riss.kr/link?id=T9372889
국기원(2016). 태권도심사규정.
https://www.kukkiwon.or.kr/front/kor/information/rule.action?cmd=View&seq=143&pageNum=1&searchKey=1&searchVal=
김서경. "태권도 심사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귀납적 논의." 국내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4447934
류호평. "한국 태권도 심사제도 변천의 역사적 고찰." 국내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전라북도
http://www.riss.kr/link?id=T8874880
김병운. (종합)태권도전서. 서울: 서림문화사, 1985.
http://www.riss.kr/link?id=M10355290
이우식. "태권도 승품심사요인에 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3.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8987560
김지원. "태권도 도장의 수업 과정과 맥락에 대한 사례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784615
김길평(Gil Pyung Kim),and 김주훈(Joo Hoon Kim). "현대 무도 교육의 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22 (2004): 9-21.
http://www.riss.kr/link?id=A100579576
신충현. "태권도장 수련생 감소 원인과 활성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2008.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367125
서성원, [사회] 전국 태권도장 평균 수련생 “60명”, ‘가마솥 개구리’ 우려론 확산, TKDBOX, 2017.3.1.
김종원, 성인 태권도 수련 장애요인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2010.
박기용 외,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김두한, 태권도장의 경영환경변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 2013.
조항용, 태권도장의 교육적·사회적 역할과 의미의 변화, 건국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