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간 복제의 개념과 현황
1.1. 수정란 분할법
수정란 분할법은 수정란이 4~8개의 세포로 분열한 상태에서 각각의 세포들을 여러 물리·화학·생물학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분리해 내는 기술이다. 수정란 분할법은 인공적인 일란성 쌍둥이들이 나오게 된다.
이 방식으로 인간을 복제하여 생산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윤리적 문제가 많이 제기된다. 먼저, 분리된 수정란 세포가 각각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고유성과 개성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된 세포를 원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간을 수단화할 우려가 크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복제로 태어난 개인들이 기존 가족 구조와 사회 체계를 흔들어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윤리적 딜레마를 야기한다.
따라서 수정란 분할법을 통한 인간 복제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훼손하고 사회 구조에도 큰 혼란을 가져올 수 있기에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1.2. 체세포 핵이식법
체세포 핵이식법은 복제 양 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성체의 체세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즉 성체의 체세포 핵을 분리해, 여러 가지 처리를 거쳐 재프로그래밍시킨 후 수핵 세포질과 수정시켜 새로 분화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체세포 핵이식법은 성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새로운 아기가 탄생하게 된다.
체세포 핵이식법을 이용하면 특정한 개인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방식은 수정란 분할법과 달리 기존의 개인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복제 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다만 체세포 핵이식법의 경우 아직 기술적인 완성도가 높지 않아 시행 과정에서 많은 실험 동물의 희생이 수반되고 있으며, 복제된 개체의 안정성과 건강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 인간 복제의 윤리적 문제점
2.1. 헌법적 문제점
2.1.1. 인간 존엄성
인간 복제는 인간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복제된 인간은 법적으로 인간으로 취급되어야 하는지, 복제된 인간에게 어느 정도의 권리와 의무를 부여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복제를 통해 만들어진 인간은 자연스럽게 태어난 인간과 다른 지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복제된 인간의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복제인간이 기존의 인간보다 우월한 유전적 특성을 가질 경우 이는 인간 간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 복제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자 가치인 인간 존엄성을 위협하므로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2.1.2. 복제인간의 멸종 위험
복제인간의 멸종 위험은 실로 우려할 만한 문제이다. 복제인간이 단순히 장기를 제공하는 존재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인격체가 되어 원래의 인간들보다 더 잘 살아갈 수 있다면, 점차 이들이 인류에서 살아남고 기존의 인간들이 멸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없던 인간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면, 뛰어난 유전자로 만들어진 복제인간들은 경쟁에서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