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와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0.11.09
- 최종 저작일
- 2014.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인간복제와 윤리적문제들에 대한 고찰 내용입니다.
발표자료로 사용했던 자료 입니다.
목차
1. 인간배아복제 정의
2. 인간배아복제의 허용범위
3. 인간배아복제 찬성vs 반대
4.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인간배아복제 정의
생물체에서 체세포를 채취해 배양 처리한 후 이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주입해 세포를 융합시키는 과정을 체세포의 핵이식 과정이라고 한다. 이처럼 체세포에 핵이식된 융합난자를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면 정상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된 것처럼 세포가 2, 4, 6, 8, 16개로 분할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에 분할된 난자가 자궁에 착상돼 분만되면 복제된 생명체가 나오게 되며 난자를 자궁에 착상시키지 않은 상태까지를 배아복제라고 한다.
즉, 요약해서 말하자면 인간배아복제란 핵을 제거한 난자와 사람의 귀 등에서 추출한 세포핵을 융합해 배아를 만드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인간배아복제는 영국 정부가 지난 2000년 8월 16일 세계 최초로 의료를 목적으로 한 인간 배아복제를 허용한 이후, 2001년 11월에 미국의 ACT 사가 사상 최초로 성공하였다. 인간배아복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세포 배양 기간 ‘14일’이다. 14일 미만의 배아가 생명체이냐 아니냐에 따라 과학자들과 반대론자들의 입장이 대립한다.
2. 인간배아복제의 허용범위
세계 각국은 연구효과보다 윤리적 측면을 감안, 인간복제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유네스코(UNESCO)는 지난 1997년 '인간게놈과 인권보호에 관한 국제선언'을 통해 인간복제행위 금지를 천명했으며, 유엔(UN)은 2003년 총회에서 인간복제를 금지하는 국제협약을 체결하기로 했으나 국가 간 첨예한 대립과 논란 끝에 이에 대한 논의를 1년간 늦추기로 합의했다.
한편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 및 줄기세포 생산은 몇 개국에서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1) 국내
2000년 1월 법안제정계획이 발표된 이후 과학계와 종교. 사회단체 간의 논란 끝에 2003년 12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생명윤리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인간복제행위는 금지하되, 치료목적의 배아줄기세포연구는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NAVER 영화 - 아일랜드 티저예고편
http://movie.naver.com/movie/bi/mi/mediaView.nhn?code=39879&mid=4047#
NAVER 지식백과 - 배아복제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80&docId=933185&mobile&categoryId=580
NAVER 지식백과 - 인간복제 규제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80&docId=71315&mobile&categoryId=580
매일경제(2004-06-24 17:41, 이명진 기자) - 日 인간 배아복제 허용..한국과 비교해 보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376322
한국일보(2002-07-25 20:49, 양은경 기자) - [외국의 사례] 英·日 복제연구 허용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46467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 정창록 / 2010.10.30.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 2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