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 모형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의 개요
1.2. 두 모형의 비교
2. 건강신념모형
2.1. 건강신념모형의 개요
2.2.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
2.2.1. 지각된 민감성
2.2.2. 지각된 심각성
2.2.3. 지각된 유익성
2.2.4. 지각된 장애성
2.2.5. 행동계기
2.2.6. 자기효능감
3. 건강증진이론
3.1. 건강증진이론의 개요
3.2. 건강증진이론의 구성요소
3.2.1. 개인적 특성과 경험
3.2.2. 행위 관련 인지 및 정서
3.2.3. 행위결과
4. 사례 적용 및 비교
4.1. 건강신념모형 적용
4.2. 건강증진이론 적용
4.3. 두 모형의 비교 및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의 개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은 인간의 행위가 개인이 목표에 대하여 생각하는 가치와 목표달성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생각에 달려있다고 가정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이 모형은 1950년대 초 미국에서 결핵퇴치를 목적으로 제공된 엑스레이 검진 프로그램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자, 사회심리학자들이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검진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건강신념모형은 개인의 질병 위험을 얼마나 인식하는지와 변화된 행동으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사람들의 병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였다. 이 모형에 따르면 사람들은 행위에 따르는 장애가 적고, 자신이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고 믿을 때 질병예방행위를 한다. 또한 성, 연령, 수입,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인 요인은 개인이 지각하는 위험 정도와 결과에 대한 기대감 및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반면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Model: HPM)은 개인의 특성과 경험, 행위관련 인지 및 정서, 그리고 행위결과 등 다차원적인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건강증진모형은 건강을 강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로 확장되어 전 생애를 걸쳐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2. 두 모형의 비교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과 건강증진이론(Health Promotion Model)은 건강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이론들이다. 두 모형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신념모형은 질병예방행위와 치료적 행동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건강증진이론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위까지 확장하여 설명한다. 건강신념모형이 특정 질병이나 상황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건강증진이론은 일생에 걸쳐 건강관리에 필요한 행위를 포괄한다.
둘째, 건강신념모형은 개인의 지각된 위험과 유익성, 장애성에 따라 행동을 예측하지만, 건강증진이론은 개인의 특성과 경험, 행위 관련 인지와 감정, 행위결과 등 보다 포괄적인 요인들을 고려한다. 즉, 건강증진이론은 다차원적인 인간 특성을 반영하여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동기화의 측면에서 건강신념모형은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위협을 강조하지만, 건강증진이론은 건강 증진에 대한 접근 지향적 동기를 강조한다. 따라서 건강증진이론은 위협감이 동기가 되지 않는 행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건강신념모형이 질병예방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건강증진이론은 일생에 걸친 포괄적인 건강관리 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두 모형은 건강행위에 대한 분석적 접근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건강신념모형
2.1. 건강신념모형의 개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은 1950년대 초 미국에서 결핵퇴치가 목적인 공중 건강 프로그램으로 제공된 엑스레이 검진 프로그램(medical screening programs)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자, 사회심리학자들이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검진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 이는 개인의 질병 위험을 얼마나 인식하는지와 변화된 행동으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사람들의 병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였다. 건강신념모델 이론은 사람이 질병에 대하여 자신이 지각하는 민감 정도에 따라 그 질병의 심각성을 믿고 질병 예방 활동이 이익이 되며, 장애가 적다는 것을 인식하여 건강 관련 문제에 있어 그 질병을 위한 예방 차원의 건강행위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건강신념은 건강행위가 일어나기 전의 심리상태로써 동기 유발에 의하여 높아질 수 있으며, 건강신념모델(HBM)은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행위를 예방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예측인자 활용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강신념모델은 행위주체에 의하여 가치-기대이론으로 건강한 행위 실천도를 설명하는 이념적인 틀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질병 및 건강문제와 직결되는 부분을 다루는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된다.
2.2.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
2.2.1.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민감성이란 건강행동을 실천하지 않을 경우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으로, 개인이 특정 질병에 대해 예민하게 느끼거나 질병에 걸릴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주관적인 위험 정도를 말한다. 이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람들의 인구학적 특성, 사회심리학적 특성, 환경 등에 의해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예방 행위를 실행할 가능성도 개인의 질병 지각 민감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개인이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고 인지할수록 건강...
참고 자료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2019) 보건교육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 정혜선, 박영임(2007), 건강증진이론과 적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원
박영임,유대숭, 김인자, 이인숙(2006),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수문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05),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2019) 보건교육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영임, 정혜선, 박영임(2007), 건강증진이론과 적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원
박영임, 유대숭, 김인자, 이인숙(2006),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수문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05),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명, 고승덕 외 3명 저(2014), 보건교육 건강증진 이론, 계축문화사
Jennie Naidoo 저, 지역보건연구회 역(2019). 건강증진 이론과 실제. 계축문화사
김영임,박영임,이규영(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주은령(2015).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성인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건강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지원(2018).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성인여성의 모발염색 행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정순(1997). 청년의 건강신념과 건강통제위의 상관관계 연구.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 연구소, 군진간호연구. 15(0)
정민수(2014).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건강증진. 동덕여자대학교 출판부
홍성미,김미한,서순림(2010).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및 의료서비스 이용.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9(2)
김성희,이자형(2008).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가설모형 검증. 아동간호학회지
이정렬 외(2012). 역학과 건강증진.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