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분절음별로, 언어권별로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한국어의 발음
2.1. 분절음 체계의 차이
2.2. 초분절음 체계의 차이
2.2.1. 강세
2.2.1.1. 영어권 학습자
2.2.1.2. 일본어권 학습자
2.2.1.3. 중국어권 학습자
2.2.2. 성조
2.2.2.1. 중국어권 학습자
2.2.3. 장단
2.2.3.1. 중국어권 학습자
3.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음운론은 자음과 모음 같은 분절음에 관하여 연구한 이론이고, 운율론은 성조와 장단 및 억양 같은 초분절음적 요소를 연구한 이론이다. 전 세계 언어별로 제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며 초분절음의 구조와 중요도도 모두 다르다.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를 배운 적이 있고 언어마다 다양한 부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느끼며 대조해보면서 수많은 의문을 품는 동시에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한국어에는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관계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 과연 분절음과 초분절음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본질적이고 습득이 더 빠를까? 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한 가지 놀라웠던 사실은, 태아가 엄마의 배 속에 있을 때부터 어린 시절에는 분절음적인 요소를 습득하고 차이를 인지하기보다는 초분절음적인 요소들을 먼저 습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자음과 모음 중에 구별하기 힘든 음소들도 존재하고 음운변동으로 인해 발음이 변화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초분절음적인 요소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체계를 분석해보고 언어권별로 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마주할 예상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2.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한국어의 발음
2.1. 분절음 체계의 차이
한국어의 분절음 체계에는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며, 각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이러한 분절음 체계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이다.
먼저 한국어의 자음 체계를 살펴보면,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존재하며 이는 모국어에 없는 자질이다.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평음과 경음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하며,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뚜렷한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이를 한국어에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권설음과 경구개음의 차이에 혼란을 겪는다"이다.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도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있다. 일본어에는 없는 한국어의 단모음 /ㅟ/, /ㅚ/와 이중모음들이 발음하기 어렵다. 또한 한국어의 원순모음과 평순모음의 차이도 일본어권 학습자들에겐 구별하기 힘들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ㅢ/와 /ㅟ/의 발음에 혼란을 겪으며, 베트남어와 달리 한국어에는 파찰음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다"이다.
2.2. 초분절음 체계의 차이
2.2.1. 강세
2.2.1.1. 영어권 학습자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강세 체계에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는 강세 박자 리듬(stress-timed-rhythm) 언어로, 강세 규칙에 따라 어느 음절은 강하고 어느 음절은 약하게 발음한다. 이에 반해 한국어는 첫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에서 첫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영...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 백과 - https://terms.naver.com/
이윤희 (2003),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호영 (2006), 한.영 대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영어 초분절음 지도 방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영 (2009),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실태와 한.중 음운 대조,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쩌우 티 투 튀 (201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쌍 (2012), 한국어 음운 발음에 대한 지도 방안 연구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준선 (2014), 한.일 양 언어의 모음의 무성화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소영 (2016),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2019),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악센트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응웬 비 타오 짱 (2021), 베트남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어두 평폐쇄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목정수 (2021), 대조언어학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한재영외 7인(2003). 한국어발음교육. 한림출판사.
허용·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도서출판 박이정.
강혜정(2012), 초분절음중심 듣기수업이 고등학교 초급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재영외 7인(2003),「한국어발음교육」. 한림
허용·김선정(2006),「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한울원격평생교육원,「대조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