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볼링 종목의 스포츠 윤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취미의 역사
1.1. 기원전4천년부터 현대까지 취미의 변화
1.2. 취미의 계급화와 민주화
1.3. 취미에 관한 개념과 철학적 논의
2. 취미생활의 영역
2.1. 여행과 관광
2.2. 운동과 스포츠
2.3. 미술감상과 예술활동
2.4. 취미생활의 발전과 변화
3. 지역사회와 스포츠
3.1. 지역사회 스포츠의 정의 및 기능
3.2. 주 5일 근무제와 생활체육의 전망
3.3. 스포츠 이벤트와 지역사회 개발
4. 스포츠와 대중매체
4.1. 대중매체의 개념과 특성
4.2.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
4.3. 스포츠매체와 매체스포츠
4.4. 올림픽과 대중매체
4.5. 스포츠 저널리즘과 윤리
4.6. 스포츠 이미지 형성과 효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취미의 역사
1.1. 기원전4천년부터 현대까지 취미의 변화
기원전4천년부터 현대까지 취미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기원전4천년에는 최초의 수집 활동이 나타났는데, 이때의 수집품은 주로 석기와 동물 모형이었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다양한 여가 활동이 등장하였는데, 귀족들이 다양한 예술을 향유하고 수집하였다. 중세 유럽에서는 춤과 노래, 체스 등이 대표적인 취미 활동이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취미에 대한 개념이 보편화되었는데, 특히 취미 용어가 미각을 의미하던 것에서 현재와 같은 의미로 발전하였다.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취미를 미를 판단하는 능력으로 규정하였다.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취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바뀌었는데, 일과 여가의 분리와 모범적인 취미 활동을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갤버는 취미가 노동윤리와 자유시장의 가치를 담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00년대 초반 취미 문화가 전해졌으며, 1920년대에 자리를 잡았다. 수집품의 변화를 보면, 기원전3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보석, 조각, 그림 등이 수집되었고, 로마 시대에는 수에토니우스가 광적으로 수집하였다.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와 수도원이 수집을 담당하였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세속 군주와 귀족, 신흥 부자 가문이 활발히 수집하였다. 16세기 영국에서는 귀족만 테니스와 볼링을 할 수 있었고 평민들은 이를 법으로 금지당했다. 이후 축구 등 평민 스포츠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듯 취미 활동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계급화와 민주화, 상업화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발전해 왔다.
1.2. 취미의 계급화와 민주화
취미 활동의 계급화는 주로 16세기와 17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영국을 중심으로 테니스, 볼링 등의 스포츠가 일정한 재산을 가진 계층에게만 허용되었고, 나머지 계층에게는 불법이었다. 이는 일종의 "계급 구분 짓기"로, 특정 취미나 스포츠를 고급 계층의 전유물로 만들어 그들의 지위와 권력을 과시하고자 한 것이었다.
한편 프랑스 혁명을 거치면서 취미 활동은 점차 민주화되기 시작했다. 수집품이 엘리트 계층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계층으로 확대되었고, 사냥에서 낚시로의 전환은 고상한 이미지의 엘리트 스포츠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또한 19세기 초반 영국 사립학교에서 시작된 축구 등의 스포츠가 점차 대중화되면서 엘리트 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취미 활동의 계급화와 민주화는 시대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엘리트 계층이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특정 취미 활동을 제한했다면, 이후에는 보다 넓은 계층으로 확산되면서 민주화의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1.3. 취미에 관한 개념과 철학적 논의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취미를 미를 판단하는 능력이라고 규정하였다. 그에 따르면 취미판단은 개념에 의한 인식이 아닌 감성적 판단이며, 개인의 주관적 효용이나 쾌락과는 구분되는 보편타당성을 지닌다. 즉 취미는 지성이나 욕구와 구분되는 독특한 고유의 영역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취미는 개인의 주관성과 보편타당성이라는 상반된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다. 취미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성에 기반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감을 일으킬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취미는 개인의 주관성과 보편타당성의 긴장관계 속에 존재하는 개념이다.
또한 칸트는 취미판단의 근거를 쾌와 불쾌의 감정에서 찾았다. 즉 어떤 대상을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것은 그 대상이 일으키는 주관적인 쾌감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관적인 쾌감은 개인적인 욕구나 자기만족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오직 그 대상 자체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순수한 향유만을 담보한다.
이처럼 칸트의 취미론은 취미를 개인의 주관성과 보편성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취미판단의 근거를 쾌와 불쾌의 감정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한편 헤겔은 칸트와는 달리 취미를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였다. 그는 취미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보았다. 즉 취미는 개인의 주관적 선호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전통과 사회문화적 관습에 의해 구체화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취미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개인의 주관성과 보편성, 그리고 역사적·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며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취미는 단순한 기호나 선호를 넘어서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 취미생활의 영역
2.1. 여행과 관광
여행과 관광은 인류 문명 발전의 초기부터 시작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고대에는 주로 종교적 이유나 군사적 목적으로 이루어진 여행이 대부분이었지만, 점차 여행이 일상화되고 대중화되면서 그 목적과 양상이 다양해졌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상업, 정치, 문화 등의 목적으로 활발한 여행이 이루어졌다. 로마 제국의 평화와 안정, 교통의 발달 등은 여행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중세에는 십자군 원정, 순례 등의 특수한 형태의 여행이 이루어졌지만, 전반적으로 여행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르네상스 시대부터 지리적 발견과 함께 여행이 다시 활성화되었고, 이는 계급과 상관없이 점차 대중화되어 갔다.""
산업혁명 이후 교통수단의 발달과 경제적 여건이 좋아짐에 따라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여행과 관광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현대에는 개인의 취향과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행의 목적도 단순한 휴식과 위락에서 교육, 문화, 자연탐방 등으로 폭넓어졌다.""
최근에는 여행과 관광이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핵심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세계화와 정보화의 영향으로 국내외 여행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여행상품과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나아가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관광 등 새로운 여행 트렌드도 등장하고 있다.""
2.2. 운동과 스포츠
운동과 스포츠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BC776년 올림픽 경기가 종합운동경기대회로 시작되었고, 로마 시대에는 전차경주와 검투시합이 인기를 끌었다. 중세에는 귀족들의 마상창 시합과 평민들의 민속 스포츠가 행해졌다.
18세기부터 스포츠 종목이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에 크리켓 등 최초의 스포츠 조직이 형성...
참고 자료
-한국체육학회지 (1998), 제37권 김경용•박용범
-한국체육학회지 (2001), 제40권 임태성
-한국스포츠산업 경영학회지 (2001), 제6권 2호
-학위논문 (1996),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스포츠이벤트의
활용전략
-엄영석 (2000), 스포츠이벤트와 지역사회 발전 -질적 성과를 위한 모색-. 제38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pp. 3-7.
-Jones Lang LaSalle (2000), 제주도 국제자유도시 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제주도 (1999), 제주경제발전5개년 계획.
-제주도 (2000), 제주경제발전5개년 계획 추진평가자료.
-스포츠 마케팅. 어떻게 할 것인가 (1999), 김종, 김종환 공역 보경문화사.
-스포츠 마케팅(sports marketing) (1999), 김낙회, 김 호 공역 나남출판.
-스포츠산업육성기획단 (2000), 제주스포츠산업 육성계획(안)
-제주도 (2000), 99 제주도정
-『도시문제』 2000년 10월호 특집
-제주도청(http://www.provin.cheju.kr)
-제주사이버 관광타운(http://www.jeju.go.kr/cybertown/index.html)
-매일경제(http://www.mk.co.kr/)
-http://tour.cheju.cheju.kr
-spobiz-smr.net
-KDI 경제정보센터 (http://epic.kdi.re.kr)
스포츠사회학 저자 : 박홍규 정홍익 임현진, 출판사 : 나남신서 http://bradrok.zio.to
스포츠와 사회환경 저자 : 양재근 김우성, 출판사 : 무지개사 http://www.sportskorea.net
스포츠미디어와 미디어스포츠 저자 : 강효민 남재화, 출판사 : (주)대한미디어
현대 스포츠 사회학 저자 : 한이석 , 출판사 : 형설출판사
스포츠사회학 개론 저자 : 강복창, 출판사 : 태근문화사
스포츠사회학개론 저자 : 임번장 , 출판사 : 동화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