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알코올성 간경화의 정의 및 병태생리
알코올성 간경화는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경화증이다. 만성 알코올 남용을 하는 환자들에게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유전적인 특징과 성별의 차이로 음주량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하루 80g(소주 1병) 정도의 알코올을 10~20년 정도 매일 섭취하는 경우 발생한다.
알코올성 간경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광범위한 반흔으로 나타나는 소결절성 경변증이 특징이며, 알코올의 소비량이 중요한 요인이다. 대상자의 영양상태가 나쁠수록 손상이 쉽고 더 심각해진다. 기능적 손상이 진행되기 전까지는 증상이 없거나 비특이적인 증상만 나타난다. 간경변증이 많이 진행한 이후부터 합병증을 유발한다.
간경화에 의해 간 혈류가 막히면 혈액이 문맥계로 역류하여 문맥계의 압력이 증가한다. 정상 문맥압은 5~10mmHg이지만, 문맥압이 하대정맥압보다 5mmHg 이상 상승하면 문맥계의 기능인 지라와 소화기관에서 오는 정맥혈액을 간으로 유입하여 해독, 저장, 대사하고 체순환시키는 기능이 손상된다.
이와 같은 간기능의 저하로 인해 간경변증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식도정맥류, 치질, 복부 메두사머리 정맥울혈, 비장비대로 인한 혈구파괴증가와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위장관 출혈, 복수, 부종, 황달, 성호르몬 대사변화로 인한 남성화 소견, 간성 뇌병증 등이 대표적인 합병증이다.
1.2. 간경화의 원인 및 증상
간경화의 원인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괴사 후 경화증은 사염화탄소나 비소와 같은 간독성 물질에 노출된 후 또는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을 앓은 후에 발병한다. 둘째, 담증성 경화증은 만성 담낭염이나 담관 폐쇄로 인해 발병한다. 셋째, 울혈성 경화증은 만성 심부전에 의해 발병하는 드문 경우이다. 넷째, 알코올성 경화증은 만성적인 과도한 음주로 인해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알코올성 경화증의 특징은 광범위한 반흔 형성이며, 개인마다 알코올 섭취량이 다르지만 대개 하루 80g(소주 1병)의 알코올을 10-20년 정도 섭취하는 경우 발병한다. 또한 영양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손상이 더 쉽게 발생하고 더 심각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간경화의 주요 증상으로는 초기에 만성적인 피로, 식욕부진, 구역질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진행되면 문맥성 고혈압과 관련된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식도정맥류 출혈, 복수 형성, 간성뇌병증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황달, 손바닥 홍반, 거미혈관종,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여성화 소견 등이 관찰된다. 특히 복수가 심해지면 복부 팽만, 측배부 돌출, 함몰된 배꼽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간성뇌병증으로 인해 의식변화, 혼돈, 경련, 혼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3. 간경화의 진단
간경화의 진단은 만성 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이면 항상 고려해야 한다.""만성 간질환의 증상이 있는 환자는 조직검사 없이도 영상 검사와 같은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확진될 수 있다."" 간경화증은 간의 혈청효소(ALT, AST, LDH)가 상승하고, 저알부민혈증과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의 지연, 빈혈 등의 임상검사 소견을 보인다.""명확한 진단은 간 생검을 통하여 내릴 수 있다."" 간경화증의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문맥성 고혈압 및 식도정맥류 출혈은 문맥압의 직접적인 측정은 복부절개 시에만 가능하므로 간스캔(liver scans), 비장문맥 조영술(splenoportography), 복부혈관 조영술(abdominal angiography), 간생검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문맥성 고혈압을 측정한다.""방사선 촬영과 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위장관 출혈과 정맥류 출혈을 구분할 수 있다.""
복수는 복부천자(paracentesis), 복부 X-선 촬영,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술 등이 있다.""이런 검사들은 복강 내에 있는 수분의 위치를 알려준다.""복부천자에서 얻은 복수액을 검사하면 암세포의 발견과 같이 복수의 원인을 알아낼 수도 있다.""
간성뇌병증은 임상검사로 암모니아 수치와 뇌척수액의 글루타민(glutamin) 수치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러나 이것이 뇌병증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이 증후군만을 특별히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혈청 암모니아 수치, 전해질, 혈액 가스 분석 검사와 간기능 검사(빌리루빈, 알부민, 프로트롬빈과 효소들) 등을 병의 진행 전 과정에 걸쳐서 계속 측정해야 한다.""이러한 결과들은 간손상과 기능부전의 정도와 범위를 측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2. 본론
2.1. 간호사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