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후광효과에 대해 이론으로 정의하고 사례와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후광효과 개요
1.1. 후광효과의 정의
1.2. 후광효과의 유형
1.3. 후광효과의 발생 배경
2. 후광효과의 사례
2.1. 스티븐 킹과 리차드 바크만의 사례
2.2. 연예인 광고에서의 후광효과
2.3. 식품 표기에서의 후광효과
3. 후광효과의 문제점
3.1. 외모지상주의와 관련된 문제
3.2. 인사고과 오류
4. 후광효과의 해결 방안
4.1. 객관적인 평가 기준 마련
4.2. 인지부조화 극복을 위한 노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후광효과 개요
1.1. 후광효과의 정의
후광효과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인 속성을 통해서 받은 인상으로 인해서 다른 측면에서의 평가나 전반적인 평가가 영향을 받는 부적절한 일반화의 경향을 의미한다. 즉, 사물의 한 단면을 보고 다른 측면까지도 미루어서 짐작하게 되는 것이다. 후광효과를 처음 연구한 손다이크는 후광효과가 일반적으로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하고 그 대상의 구체적인 행위들을 일반적인 생각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경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인간의 인지적인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사항들을 어림짐작을 통해서 평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일단 형성된 인상을 쉽게 바꾸고 싶어 하지 않는 인지적 부조화 현상으로 인해 후광효과가 더욱 커지게 된다.
1.2. 후광효과의 유형
후광효과의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 번째로 외모 후광효과이다. 남성이나 여성의 외모만으로 그 사람이 어떨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 두 번째로 명문대 후광효과이다. 명문 대학교를 나왔다는 것을 알리면 많은 사람들은 뛰어난 인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세 번째로 전문가의 후광효과이다. 전문가라고 불리는 사람을 앞에 두고 있으면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로 디자인 후광효과로 사람의 외모에 대하여 편견을 가지는 것처럼 물건의 디자인에 대해서도 후광효과를 느낄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브랜드 후광효과로 기업이 브랜드 이미지에 많은 공을 들이는 것도 후광효과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연예인 후광효과로 유명한 연예인들을 내세우는 경우도 많다.
1.3. 후광효과의 발생 배경
후광효과의 발생 배경은 인간의 제한된 인지능력에서 기인한다. 특정 대상에 대한 일반적 견해가 해당 대상의 구체적 특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Wells에 의해 처음 발견된 개념이다. 이후 사회학자들이 후광효과의 개념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하며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데 혼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Fisicaro와 Lance는 후광효과의 원인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첫째, 평가자 개인의 대상에 대한 일반적 인상이나 대상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성이다. 둘째, 대상이 가진 두드러진 특성에 대한 평가가...
참고 자료
후광효과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 동아비즈니스리뷰, 2009.01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04.
필 로젠츠바이크, 헤일로 에픽트 (기업의 성공을 가로막는 9가지 망상, 후광효과), 스마트비즈니스, 2007.11.05.
선안남(심리상담가), 기대의 심리학(잘못된 기대로 힘들어하는 12가지 이유), 소울메이트, 2010.11.10.
재미있는 대인관계 심리학 조명실 저 | 계명대학교출판부 | 2020.03.10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Ronald B. Adler, Russell F. Proctor II 저 | 정태연 역 | 교육과학사 | 2015.06.25